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스라엘 산업 개관

이스라엘 KOTRA 2021/09/13

- 서비스 업종의 GDP 비중 지속 증가, 전체 산업 GDP의 70%를 차지 -
- 산업별 균형발전을 위한 제조업 지원 강화 -
- 재생에너지, 푸드테크, 디지털헬스와 같은 미래산업육성 -
 

□ 산업 구조
이스라엘의 전체 산업 부가가치 창출 규모는 2020년 기준 8,837억 셰켈(2,740억 달러 상당)이다. 업종별 GDP 비중은 서비스업이 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뒤를 이어 제조업 및 광업 17%, 건설업 9%, 농림수산업 2%, 전기수도가스 및 폐자원처리 2% 순이다. 최근 10년간(2010년~2020년) 이스라엘의 전 산업 실질부가가치는 60% 증가했다. 업종별 실질부가가치 생산 증가율을 살펴보면, 건설업이 90.9%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서비스업 71.8%, 전기수도가스 및 폐자원활용업 36.6%, 제조업 및 광업 18.8%, 농림어업은 11.8% 순이다. 동기간 전 산업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생산비중은 5% 증가한 반면 제조업 및 광업은 생산비중은 6% 감소했다.

이스라엘의 총 사업자 수는 2020년 기준 621,297개이다. 업종별 사업자 분포를 살펴보면, 서비스업이 82.3%(511,277개), 건설업 11.3%(70,436개), 제조업 및 광업 3.7%(22,858개), 농림어업 2.4%(15,032개), 전기가스수도 및 폐자원처리 0.3%(1,694개) 순이다. 업종별 고용 비중은 서비스업이 전체 고용의 78%, 제조업 및 광업 5%, 건설업 14%, 농림수산업 3%, 전기수도가스 및 폐자원처리업 0.3% 순이다.

이스라엘 산업별 GDP 비중 변화 (2010년-2020년)
(단위: %)
자료: 이스라엘통계청, 2021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2020년 창업과 폐업 건수는 전년대비 각각 12%, 14% 감소했다. 건설업, 소매업, 정보통신업에서는 창업보다 폐업이 더 큰 폭 감소하면서 사업자 수 증가율이 상승한 반면, 여가 및 예술업과 물류운송업, 교육업은 창업이 급감하며 성장 정체를 기록했다. 

이스라엘 창·폐업 현황 (2020년)
(단위: 개사)
주: 2018년 기준 (작성일 기준 가장 최신 발표 자료)
자료: 이스라엘통계청, 2021년
 

이스라엘의 주요 서비스업은 전문과학기술업, 정보통신업, 금융·보험업으로, 이들 업종은 2020년 기준 전체 사업자 수의 26.7%를 차지한다. 특히, 정보통신업은 전산업 GDP 생산의 16%를 차지하며 이스라엘 산업 전체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스라엘 주요 서비스업 현황 (2020년)
(단위: 개사, %)
주*: 2018년 기준 (2020년 기준 자료에는 전문과학기술업과 금융보험업의 합산 GDP 비중만을 발표)
자료: 이스라엘통계청, 2021년
 

이스라엘 제조업은 의약품, 전자부품과 같은 고위기술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있다. 기술 수준별분포를 살펴보면, 고위기술산업이 36%, 저위기술산업 22%, 중고위기술산업 19%, 중저위기술산업17% 순이다. 생산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의약품(12%), 영상기기 및 의료기기(11%), 식료품(11%), 전자부품 및 보드(9%), 조립금속(9%), 석유화학(8%)이고, 이들 업종의 생산은 전체 제조업 생산의 60%에 달한다.

□ 산업 정책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계획 (2030 재생에너지 활용 전력 증대)
이스라엘은 친환경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에너지와 건축 분야에서 탈탄소화 정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30년까지 석탄 사용을 전면 중단하고 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전력 발전 비중을 30%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정 에너지 부문에 대한 민간 투자도 장려하고 있다. 정부의 2030 재생에너지 활용 전력 증대 계획의 중점과제로는 △태양광 발전소 증설, △청정 에너지 개발 투자 확대, △신축건물 재생에너지 발전 설치 의무화, △전기자동차 도입 촉진 등이 있다.

푸드테크 산업 육성 계획
이스라엘 정부는 북부 농촌지역 경제발전 전략으로 9,000만 셰켈(약 2,777만 달러)을 투자하여 푸드테크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북부 지역은 강수량이 풍부하고 토지가 비옥해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첨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북부지역의 청년인구 유출로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가속화되며 지역경제가 쇠퇴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정부는 이스라엘 최북단 도시 키르얏 슈모나(Kiryat Shmona)를 푸드테크 산업 집중 육성 지역으로 지정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더 나아가 북부지역을 세계적 푸드테크 산업 거점으로 발전시켜 국가적 차원에서의 미래산업 먹거리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푸드테크 산업 육성 계획의 중점과제로는 △푸드테크연구소 설립을 통한 기술 자문, △스타트업 등 소규모 식음료 제조기업 지원, △토지배분 및 투자 관련 인센티브 제공, △푸드테크 분야 혁신기술 및 지식 교류 커뮤니티 설립 등이 있다.

디지털 헬스 산업의 국가 성장 동력화 계획
이스라엘은 디지털 헬스 산업을 차세대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할 산업으로 지목하고 적극적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다. 디지털 헬스 산업 지원을 위해 정부는 2018년부터 5년간 10억 셰켈(3,086억 달러 상당)을 투자하고 있다. 중점과제로는 △디지털 헬스 분야 기업에 전자의무진료기록 개방, △산·학·의료기관 간의 협력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필수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헬스 제품에 대한 임상 지원, △외국 투자자본 유치 촉진 등이 있다.

인더스트리(Industry) 4.0
제조 및 공정 분야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의 정책이다. 인더스트리 4.0의 3대 추진과제는 ① 전통적 제조 방식에 첨단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 및 수익 확대 추진, ② 첨단소재를 활용한 혁신상품 개발로 국내외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 확보, ③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 간 융합을 통해 생산공정 및 공급관리 효율성 제고이다.

2019년에는 제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산학협력을 위한 거점 플랫폼 역할을 담당할 ‘첨단제조연구소(Institute for Advanced Manufacturing)’를 설립했다. 연구소의 주요 역할은 △전문가의 제조 현장 방문 및 기술 자문 제공, △세미나 등을 통해 최신 개발 기술 보급, △효율적인 생산체계 개발 및 구축을 위한 제조공정 시뮬레이션 지원 등이다.

또한 정부는 첨단제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업의 설비 투자도 지원하고 있다. 기업당 300만 셰켈(93만 달러 가량) 범위 내에서 설비투자 금액의 최대 30%까지를 지원한다. 이스라엘 경제산업부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총 58개사를 대상으로 1,460만 달러 상당의 예산이 집행되었다.

규제 산업 : 암호화 산업과 사행(갬블링)산업
이스라엘은 암호화 제품 관계자 명령-1974(5734)에 따라, 국가 안보를 위해 암호화 산업을 국무부가 관리·감독하도록 하고 있으며 기술 개발 및 제품 취급과 관련한 면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무부는 사전기술검토를 받고 정식 출시된 제품에 대해서만 국내 유통 또는 해외 수출을 허가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정부에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하며,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6개국(이란, 시리아, 북한, 레바논, 수단, 쿠바)으로의 암호화 제품이나 서비스 수출은 금지되어 있다.

한편, 카지노나 포커와 같은 사행(갬블링)산업은 이스라엘 형법(Penal Law 5737-1977)에 의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이 모두 금지되어 있다. 국립 복권(현지어명 'Mifal Hapayis', 영문명 the National Lottery)과 이스라엘 스포츠 베팅보드(Israel Sports Betting Board, ISBB)만이 제한적으로 이스라엘 내 사행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다. 이 두 기관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사행산업은 운영이나 참여 모두 금지되어 있으며, 관련 사업을 국내에서 광고하는 행위도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자료원: 이스라엘통계청, 이스라엘국무부, 이스라엘재무부, 이스라엘경제산업부, 이스라엘제조업협회, 텔아비브무역관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