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나이지리아 국내 안보와 군의 개입: 치안 구조의 도전과 과제

나이지리아 Moses M. Duruji Covenant University, Ota, Nigeria Professor 2025/06/09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론

나이지리아는 오랜 기간 경찰력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군대를 국내에 배치해 왔는데, 특히 1999년 민주주의로의 전환 이후 무장 반란, 납치, 민족·종교 분쟁 등 복합적 안보 위협이 급증하면서 군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Kalama & Fada, 2019). 경찰의 역량을 초과하는 안보 위협에 직면하면서, 전통적으로 외부 위협에 대응하던 군대가 점차 국내 안보 작전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Gabriel, 2019).

이러한 군 개입의 증가는 나이지리아 안보 환경의 복잡성과 경찰 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반영하고 있다. 군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치안 안정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인권 침해, ▲민간인 피해, ▲민군 갈등 등 심각한 부작용도 초래하고 있다. 

본 기고는 나이지리아에서의 군 개입 실태를 분석하고, 그 구조적 영향과 정책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군의 역사적 역할과 개입의 확대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내 치안은 경찰의 주요 임무이다(Akuul, 2021). 그러나 나이지리아의 경우, 식민지 이전부터 군대가 민간 치안 유지에 반복적으로 투입되어 왔는데, 가령, 1929년 아바 여성 폭동(Ava Women’s Riot)*과 1945년 식민지 산업 복지 분쟁**에서도 군대가 동원된 바 있다(Azinge, 2013).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나이지리아에서 군대가 항상 국가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국내 작전에 관여해 왔음을 보여준다.

     * 1929년 나이지리아 동남부 지역 이그보(igbo) 여성 수천 명이 주도한 대규모 반식민 저항운동
     ** 영국 식민 통치 하의 나이지리아 노동자들이 대대적으로 벌인 총파업

한편, 역사적으로 나이지리아 경찰은 효과적인 치안 유지에 한계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 폭동, 지역사회 분쟁, 기타 치안 불안을 진압하기 위한 군대의 개입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았다(Peterside, 2014). 독립 이후 불과 5년 만인 1965년, 서부 지역 선거 결과에 대한 분쟁으로 인해 발생한 소요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군대가 배치된 바 있다(Kalama & Paul, 2019).

이후, 1966년 1월 나이지리아-비아프라 전쟁(Nigeria-Biafra War)은 동부 지역이 비아프라 공화국으로 분리 독립을 시도하며 시작되었다. 이 지역은 당시 일부 국가들로부터 승인을 받기도 하였는데, 나이지리아 연방 정부는 분리 지역을 강제로 재통합하기 위해 대규모 병력을 투입했다(Onuoha, 2018). 이후 한동안 비교적 평온한 시기를 보냈으나,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북부 지역에서 이슬람 무장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마이타시네 운동(Maitatsine Movement)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다시금 군을 동원하였다(Isichei, 1987).

이후에도 잔고-카타프(1992), 이페-모다케케(1997), 자키비암(2001) 등 각종 지역 분쟁이 발생할 때 마다 군은 반복적으로 치안 임무를 수행하였다(Abe, 2025). 1993년 6월 12일 선거 무효화에 따른 남서부 지역의 폭동, 환경 및 인권운동가 켄 사로 위와(Ken Saro-Wiwa)의 처형 이후 불거진 니제르 델타 지역 불안, 무장 반군인 니제르-델타 해방운동(MEND)의 활동 확대 등도 군의 배치를 촉발했다(Oluyemi, 2020).

2009년 이후에는 북동부 지역에서 극단주의 무장단체 보코하람(Boko Haram)이 출현하여 나이지리아의 안보를 극심하게 위협하고 있다(Adegbulu, 2013). 보코하람은 단순 무장집단을 넘어 사실상 반군 및 테러조직으로 발전했고, 이로 인해 수많은 지역 주민들이 고향을 떠나 실향민(IDP) 캠프에서 생활하게 되었다(Roberts & Lawanson, 2023). 보코하람의 테러는 이슬람국가지부(ISWAP), 안사루(Ansaru) 등의 분리된 조직을 낳으며 북동부·북서부에 걸쳐 활동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 외에도 북중부에서는 목축민-농민 충돌, 도적 활동, 풀라니 지하디스트(Fulani Jihadists)의 공격 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흐무다(Mahmuda), 라쿠루와(Rakurua)와 같은 새로운 무장조직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Victor, 2025; Mohammed, 2024).

국내 안보 작전과 군사 배치 현황

나이지리아 정부는 국가 전역에 걸친 불안정으로 인해 군사 작전에 광범위하게 의존하고 있다. 현재 15개 이상의 주요 군사 작전이 지역 특성과 위협 유형에 따라 육·해·공 합동 작전으로 진행 중이며, 고속도로 순찰, 검문소 운영, 공습 등이 포함된 통합형 작전 구조는 국내 치안 작전에 있어 높은 군 의존도를 보여준다(Akinwale, 2019).
표 1: 나이지리아의 주요 군사 작전 목록
출처: 저자 직접 작성

특히 보르노·요베·아다마와 등 북동부 일부 지역은 보코하람에 의해 점령되었고, 주민들에게 세금이 부과되는 등 실질적 통치를 당하기도 했다. 바마(Bama), 그워자(Gwoza), 아스키라-우바(Askira-Uba) 등은 사실상 출입금지 구역으로 지정되었고, 주민들은 실향민(IDP)으로 전락했다.

또한, 북부의 테러리스트 세력들은 학교를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아 왔으며, 이는 교육 인프라의 붕괴와 사회적 충격을 야기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는 2014년 치복(Chibok) 지역에서 발생한 여학생 289명 집단 납치 사건으로, 이 사건은 전 세계적 분노와 함께 국제 인권 캠페인(#BringBackOurGirls)을 촉발했고, 결국 나이지리아 정부가 북동부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권침해 논란과 구조적 한계

나이지리아 군대의 국내 안보 작전 확대는 시민사회와 인권단체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들 비판의 핵심은, 군이 단기적 치안 안정이라는 명분 아래 반복적으로 인권을 침해해 왔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는 다수의 연례 보고서를 통해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최소 7,000명의 민간인이 군 구금 중 사망했다고 지적한 바 있으며, 특히, 북동부·남동부·니제르 델타에서는 과도한 무력 사용, 고문, 자의적 처형 등의 사례가 빈번히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Ogbaje, 2021).

가장 논란이 된 사례 중 하나는 2020년 10월 20일 발생한 '레키 톨게이트 사건'이다. 이 사건은 #EndSARS 시위* 도중 군인이 비무장 시민을 향해 발포한 것으로 알려지며 국제적 공분을 일으켰다. 나이지리아 정부와 군 당국은 공식적으로 발포 사실을 부인했지만, 다수의 목격자 진술과 영상 증거는 군이 시위 진압에 치명적인 무력을 사용했음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Busari et al., 2020).

     * 2020년 나이지리아 전역에서 발생한 반경찰폭력 시민 저항운동으로, 특히, 경찰 특수부대 SARS(Special Anti Robbery Squad)의 인권 침해와 잔혹 행위에 항의하기 위해 시작된 전국적 대중 시위

이러한 사건들은 단지 군의 이미지 훼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군대 간의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시키고, 나이지리아 안보 정책의 정당성과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표 2: 군사 작전에서의 민간인 피해 사건
출처: 저자 직접 작성

2008년 이후 나이지리아 정부는 국방 분야에 막대한 예산을 지속적으로 책정해 왔는데, 실제 국방 예산은 수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했지만, 군이 반란 세력을 효과적으로 제압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전문가들은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FEF, 2020; Terzungwe et al., 2024). 특히, 증가된 예산이 현장 병사들의 복지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Abbey, 2025). 

이로 인해 군 내부의 사기 저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이러한 사기 저하가 대테러 작전의 실행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나아가, 열악한 복지와 안전 문제는 청년층의 군 입대를 기피하게 만들며, 이는 군 당국의 인력 확보에도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Utman, 2024).

결론

나이지리아 군대는 전통적인 국가 방어를 넘어선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현재도 그러한 임무를 지속하고 있다. 북동부에서의 보코하람 대응, 북서부의 무장 단체 소탕, 전국적인 시민 불안 요인에 대한 대응 등에서 군대는 국가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헌신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국내 안보는 본질적으로 지역 치안기관(경찰, 소방 등)의 책무이며, 군대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민주주의 제도, ▲인권 보호, ▲장기적 평화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특히, 치안 기관이 담당해야 할 안보 문제에 군대가 장기간 관여할 경우 군의 공적 이미지가 훼손될 수 있으며, 이는 시민 사회와의 신뢰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현재와 같이 경찰 역량이 부족하고, 테러리스트 위협이 심각한 상황에서는 단기적으로 군의 개입이 국가의 안정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이자 필요 조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나이지리아는 현재의 안보 구조를 재설계해야 할 것이다. 경찰 및 지역 치안 기관의 역량을 강화하고, 군은 전략적·긴급한 개입에 한정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균형을 마련해야 한다. 나이지리아의 궁극적인 안보 목표는 단순한 전투의 승리가 아니라, 정의롭고 평화로운 통합 국가의 실현에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Abe, Bankole (2025) Still under siege: Insecurity persists nationwide two years into Tinubu’s presidency, ICIRNigeria.org, May 3, Insecurity persists nationwide two years into Tinubu's presidency 
Abbey, Nathal (2025) Mounting Disquiet in Military over delay of operational Allowances, The Southern Examinerh, May 14, Mounting Disquiet in Military Over Delay of Operational Allowances
Adegbulu , Femi (2013)Boko Haram: The emergence of a terrorist sect in Nigeria 2009-2013, African Identities 11(3):260-273, DOI: 10.1080/14725843.2013.839118
Agbakwuru, Johnbosco (2025) Nigeria: Insecurity - Over 100 Military Personnel, 200 Civilians Killed in 5 Months – Report, Vanguard, May 14, Nigeria: Insecurity - Over 100 Military Personnel, 200 Civilians Killed in 5 Months - Report - allAfrica.com
Akinwale, Yekeen (2018) 124,000 Active Military Personnel, 291,685 Policemen – Are Nigerian Security Agencies Weighed Down by Conflicts? Sahara Reporters, May 29 124,000 Active Military Personnel, 291,685 Policemen – Are Nigerian Security Agencies Weighed Down By Conflicts? | Sahara Reporters
Akuul, Timbee (2021) The Role of the Nigerian Police Force in Maintaining Peace and Security in Nigeria,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ume 3, March pp. 16-23 Microsoft Word - page 16-23 _236_
Azinge, Epiphany (2013) Military in Internal Security Operations: Challenges and Prospects. A Paper Presented At The Nigerian Bar Association 53rd Annual General Conference 28th August 2013, Tinapa Calabar, Nigeria (99+) MILITARY IN INTERNAL SECURITY OPERATIONS: CHALLENGES AND PROSPECTS BY PROFESSOR EPIPHANY AZINGE SAN DIRECTOR GENERAL NIGERIAN INSTITUTE OF ADVANCED LEGAL STUDIES A PAPER PRESENTED AT THE NIGERIAN BAR ASSOCIATION 53 Introduction
Busari, Stephaniei, Nima Elbagir, Gianluca Mezzofiore, Katie Polglase, Alex Platt and Barbara Arvanitidis (2024) Analysis of CCTV footage from Lekki toll gate raises new questions about shooting, Cable News Netwoork, November 24 Nigeria protests: Analysis of CCTV footage from Lekki toll gate raises new questions about shooting | CNN
Daniel, Daniel (2025) JUST IN: President Tinubu Issues Fresh Directive to Nigerian Military Over Insecurity, PoliticsNigeria.com , May 3 JUST IN: President Tinubu Issues Fresh Directive to Nigerian Military Over Insecurity
Friedrich Ebert Foundation (2020) Defence Budget& Spending Implications and Options for Post Covid-19 Nigeria, FES Nigeria Policy Brief ,18220.pdf
Giwa, Gabriel (2019) Internal security and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armed forces, Vanguardngr August Internal security and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armed forces
Kalama, John & Fada Doupere Paul (2019) ‘The Role of the Military in Maintaining Internal Peace and Security in Nigeria’, Research Journal of Humanities, Legal Studies & International Development, Volume 3, Number 1, p- 2536-6564
Mohammed, Yakubu (2024)Lakurawa: What we knew about ‘new’ terror group before Nigerian military flagged it, Premium Times, November 2, Lakurawa: What we knew about 'new' terror group before Nigerian military flagged it | Premium Times Nigeria
Odeniyi, Solomon (2025) Over 326 security personnel killed in one year – Report, Punch, February 5 Over 326 security personnel killed in one year – Report
Ogbaje, Sumaila (2021) ANALYSIS: Examining high and low moments of Nigerian military operations in 2020, Vanguardngr January 1ANALYSIS: Examining high and low moments of Nigerian military operations in 2020
Olaoye, Lawrence (2025) Tinubu Vows Tech-Driven Fight Against Insecurity, NewTelegraphng, May 3 Tinubu Vows Tech-Driven Fight Against Insecurity
Oluyemi, Opeoluwa Adisa (2020)The Military Dimension of Niger Delta Crisis and Its Implications on Nigeria National Security Sage Open https://doi.org/10.1177/2158244020922895
Onochie, Bridget Chiedu, Joseph Chibueze, Bertram Nwannekanma and Somtochukwu Okoro (2024) Nigerians pay N2.2tr ransom in 51.9m crime cases, resort to self-help, Guardian, December 18 Nigerians pay N2.2tr ransom in 51.9m crime cases, resort to self-help
Onuoha, Godwin (2018) Memory, Reconciliation, and Peacebuilding in Post-Civil War Southeastern Nigeria,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Working Papers: No. 19, African Peacebuilding Network APN
Peterside, Zainab Brown (2014) The Military and Internal Security in Nigeria: Challenges and Prospects, Mediterran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ume 5, Number 37 PP/1301-1307
Roberts, Rebecca Enobong & Taibat Lawanson (2023) Understanding IDPs in Nigerian Cities, Researching Internal Displacement – Working Paper No. 36 , Enobong_Nigeria-City-ID_220523.pdf
Siolun, Max (2021 )Nigeria’s Military is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Foreignpolicy.com, June 7  Nigeria’s Military Is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Tribune (2019)  June 12: When the military murdered sleep, Tribune June 12, June 12: When the military murdered sleep - Tribune Online
Utman, Ismaeel (2024) Harsh training discouraging youths from military service’, Punch,October 12,‘Harsh training discouraging youths from military service’
Victor, Chigozie (2025) Everything We Know About Mahmuda, the New Terrorist Group in Nigeria, Zikoko  April 24, Everything We Know About Mahmuda, the New Terrorist Group in Nigeria | Zikoko!

The English version of the original article can be downloaded below.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