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이집트, 5G 출시와 함께 ‘디지털 이집트’ 전략 공개

이집트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6/13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이집트 정부, 5G 출시와 함께 ICT 산업 육성 통한 경제발전 추진

o 마드불리 총리, 5G 서비스 공식 출시... ICT 산업을 경제성장 핵심동력으로 강조 
- 모스타파 마드불리(Mostafa Madbouli) 이집트 총리는 기자(Giza) 피라미드 지역에서 개최된 5G 이동통신 서비스 공식 출범식에서 '디지털 이집트'(Digital Egypt) 전략을 발표함. 동 전략은 ICT 산업을 농업, 산업, 관광과 함께 이집트의 4대 경제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특히, ICT 산업이 2023/2024 회계연도 기준 약 14.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집트 최고 성장 산업으로 부상한 점을 강조함.
- 아울러, 마드불리 총리는 이집트가 아프리카 기술 투자 부문 3위, 전자정부 발전지수 6위를 기록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5G 서비스 출시를 통해 교육, 의료,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망함.

o ICT 산업, 서비스 중심에서 생산 중심 산업으로 전환 추진
- 이집트 정부는 'ICT 2030 전략'을 통해 ICT 산업의 GDP 기여도를 현재 수준에서 약 7%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는데, 이를 위해 디지털 인프라, 사이버보안, 디지털 문해력 프로그램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 또한, 아프리카연합(AU)의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디지털 무역 의정서 채택에 동참하여 개인정보보호, 국경 간 데이터 이전 등에 대한 국제 표준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ICT 산업을 단순 서비스 제공자에서 생산적 산업으로 전환하여 일자리 창출과 수출 증대를 도모하고 있음.

☐ 통신 인프라 투자 확대 통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o 2024년 20억 달러 규모 통신 인프라 투자 진행
- 이집트는 2024년 통신사업자들을 통해 20억 달러(약 2조 7,000억 원) 규모의 통신 인프라 투자를 진행함. 이를 통해 통신탑을 약 37,000개로 확대하였으며, 텔레콤 이집트, 보다폰, 오렌지, E& 이집트 등 주요 통신사에 장기 5G 라이선스를 발급함. 특히, 국가통신규제청(NTRA)은 외국 위성사업자의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통신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고 있음.
- 데이터센터 시장은 2억 7,800만 달러(약 3,788억 원)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및 AI 수요 증가에 힘입어 아프리카 데이터센터와 카즈나(Khazna) 등 신규 사업자들의 진출이 이어지고 있음. 이집트 정부는 2024년 8월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을 도입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라이선스 요건, 공공조달 접근성 규정, 상호운용성 요건 등을 명시함.

o 통신사업자들의 적극적인 5G 네트워크 구축 추진
- 이집트 통신기업 E& 이집트는 2025년까지 약 3억 6,300만 달러(약 4,946억 원) 규모의 인프라 및 네트워크 투자 계획을 발표함. 또한, 보다폰 이집트는 카이로에서 약 2,000개 이상의 현장에 5G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향후 수주 내 5G 보급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임.
- 모하메드 압달라(Mohamed Abdallah) 보다콤 이집트 CEO는 5G 네트워크가 의료, 산업, 교육 등 주요 분야에서의 혁신을 지원하고 스마트시티 구축을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함. 특히, 보다폰 그룹의 글로벌 5G 기술 구축 경험을 활용하여 이집트 시장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함.

☐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과제 직면

o 도시-농촌 간 인터넷 보급률 격차 지속
- 2025년 초 기준 이집트의 인구는 약 1억 1,700만 명으로, 이 중 9,630만 명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약 81.9%의 보급률을 기록함. 그러나 도시지역의 인터넷 이용률이 84%인 반면, 농촌지역은 63%에 그쳐 약 2,450만 명의 농촌 주민이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됨. 
- 한편, 통신 품질 측면에서는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모바일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가 22.11Mbps에서 24.17Mbps로, 유선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는 64.53Mbps에서 76.67Mbps로 향상됨. 그러나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의 주요국과 비교할 때 여전히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됨.

o  디지털 포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이집트는 2020년 10월 개인정보보호법을 시행하여 데이터 처리에 대한 명시적 동의 요건, 데이터 주체의 접근·정정권, 데이터 보안 조치 등을 규정한 바 있으며, 2024년 2월에는 국가사이버보안전략을 수립하여 입법 프레임워크 개선, 국내 협력 강화, 사이버 방어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음.
- 소셜미디어 이용자는 5,070만 명(전체 인구의 43.1%)으로 증가하였으나, 여성 이용자 비율이 41.5%에 그쳐 약 17%p의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됨. 이집트 정부는 2022년 9월 아동온라인보호전략을 개정하여 유해 콘텐츠 차단, 긴급 대응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디지털 포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ITIDA, Egypt unveils “Digital Egypt” strategy with 5G launch, 2025.6.5.
NAOS Solution, Egyptians and Digital 2025 Report, 2025.4.24.
Digital Policy Alert, DPA Digital Digest: Egypt [2025 Edition], 2025.4.23.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