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슬로바키아, 러시아산 석유 대체 위한 신규 노선 모색...미국의 압박 속 신중한 대응

슬로바키아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9/26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동부유럽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슬로바키아는 러시아산 석유·가스 의존 축소 압박 속에서 아드리아 파이프라인 등 대체 노선을 모색하고 있으나, 지리적 제약과 공급 불안정으로 인해 헝가리와 함께 점진적 전환을 추구하며 신중한 대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Clipart Korea
□ 슬로바키아, 러시아산 석유·가스 수입 중단에 대한 미국의 압박 직면

o 트럼프 대통령과 미 정부 고위 인사들,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중단 촉구
-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월 13일 NATO 회원국들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 중단을 전제로 러시아에 대한 '대규모(major)' 제재를 실시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발표함. 이어 14일에는 "천연가스든 담배든 상관없이 러시아로부터의 모든 제품 구매를 중단해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표명함.
- 크리스 라이트(Chris Wright)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브뤼셀(Brussels) 방문 중 EU의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조기 중단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며, 린지 그레이엄(Lindsey Graham) 공화당 상원의원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슬로바키아와 헝가리에 대한 잠재적 제재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경고함. 

o 슬로바키아-헝가리, 미국과 EU 간 입장차 활용 시도
- 야노스 보카(János Bóka) 헝가리 EU담당 장관은 "미국이 EU보다 헝가리와 슬로바키아의 특수한 상황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보이고 있다"고 언급하며, 헝가리 정부가 "언론이 아닌 미국 정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소통하고 있다"고 강조함. 이는 양국이 EU의 압박을 상쇄하기 위해 미국과의 개별적 협상을 시도하고 있음을 시사함.
- 특히, 슬로바키아와 헝가리는 내륙국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강조하며,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의 특수성을 인정받으려 노력하고 있음. 이는 NATO의 주요 회원국인 튀르키예가 여전히 러시아산 석유의 주요 수입국이라는 점과 연계되어 논의되고 있음.

□ 슬로바키아 정부, 대체 수송로 확보를 전제로 한 단계적 전환 추진

o 사코바 경제부 장관, 실용적 접근 강조하며 미국과의 협상 진행
- 데니사 사코바(Denisa Saková) 슬로바키아 경제부 장관은 9월 15일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된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국가 산업과 경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조건이 선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함.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슬로바키아가 모든 에너지 수송 파이프라인의 종착점에 위치하게 되었다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함.
- 아울러, 사코바 장관은 "슬로바키아가 에너지원 다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이웃 국가들의 수송 인프라 확충 계획과 수송 용량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함. 이는 대체 수송로 확보가 단순히 슬로바키아의 의지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지역적 협력 사안임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됨.

o 아드리아 파이프라인을 통한 대체 수송로 확보 노력과 한계
- 슬로바키아 소재 슬로브나프트(Slovnaft) 정유사는 크로아티아 오미샬리(Omišalj) 항구에서 시작되는 아드리아(Adria) 파이프라인을 통해 非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시작함. 파이프라인 운영사는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내 정유소 수요를 완전히 충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나, 슬로브나프트는 수송 비용과 공급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함.
- 특히, 드루즈바(Druzhba) 파이프라인을 통한 공급이 완전히 중단될 경우를 대비한 대체 수송 능력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지난 8월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에너지 기반시설 공격으로 드루즈바 파이프라인을 통한 공급이 수차례 중단된 바 있어, 대체 수송로의 안정성과 용량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 슬로바키아-헝가리 양국, 에너지 안보 위협 속 공동 대응 강화

o 헝가리, EU의 대러 제재에 대한 거부권 행사 가능성 시사
- 게르게이 굴리아스(Gergely Gulyás) 헝가리 내각수석은 "에너지 구매와 같이 국가 이익에 직접적으로 반하는 EU의 조치에 대해서는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명확히 밝힘. 이는 EU의 對러시아 제재가 실효성이 없다는 판단하에,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는 추가 제재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임.
- 슬로바키아의 피코 총리 역시 EU 집행위원회의 러시아산 가스 수입 중단 이니셔티브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음. 양국 모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원 다변화를 추진해왔으나, 여전히 러시아산 에너지를 전략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음.

슬로바키아, 러시아산 석유 대체 위한 신규 노선 모색...미국의 압박 속 신중한 대응 
- 슬로바키아는 현재 아드리아 파이프라인을 통해 전체 석유 수요의 약 1/3을 非러시아산으로 충당하고 있으며, 서방 가스 공급업체들과 유연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공급원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음. 그러나 대체 공급 경로의 최종단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러시아산 공급의 완전한 중단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임.
- 양국은 미국과 EU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대체 인프라가 확보되기 전까지는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을 유지한다는 기조를 고수하고 있음. 이는 에너지 안보와 경제적 실익을 고려한 실용주의적 접근으로, 향후 대체 수송로 확보와 에너지원 다변화를 위한 지역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

<감수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Radio Slovakia International, Slovakia Ready to Import Non-Russian Oil and Gas if Transport Routes Are Available, Says Economy Minister, 2025.9.18
Luxembourg Times, Slovakia, Hungary resist Trump’s bid to halt Russian energy, 2025.9.18.
IDNES, Ruskou ropu nahradíme, až budou nové trasy, vzkázalo Slovensko Trumpovi, 2025.9.17.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