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리투아니아 대통령, 가자지구 인도적 지원 및 인질 석방 강조하며 ‘두 국가 해법’ 지지

리투아니아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10/0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동부유럽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리투아니아 나우세다 대통령은 유엔총회에서 가자지구 인도적 지원과 인질 석방을 촉구하며, 예루살렘을 공동 수도로 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유럽 의회

□ 나우세다 대통령,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 촉구

o 예루살렘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동 수도로 인정하는 ‘두 국가 해법’ 제안
- 기타나스 나우세다(Gitanas Nausėda)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제80차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두 국가 해법’ 논의를 재개할 것을 촉구함. 특히, 예루살렘을 양국의 공동 수도로 인정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함.
- 나우세다 대통령은 "독립적이고 민주적이며, 영토적 연속성을 가진 주권국가로서의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과 함께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역설함. 아울러, 양국이 상호 인정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가운데 예루살렘을 공동 수도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함.

o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 국가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지지
- 최근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몰타 등 다수의 유럽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한 것에 대해 나우세다 대통령은 지지 의사를 표명함. 이는 유럽 내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됨.
- 한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일부 동맹국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하마스의 잔혹한 만행에 대한 보상"이라고 비판하며,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함.

□ 가자지구 인도적 지원과 평화 구축 촉구

o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봉쇄 해제와 인도적 지원 허용 요구
- 나우세다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대한 봉쇄를 해제하고 인도적 지원을 허용할 것을 촉구하였으며, 특히, 이스라엘군의 하마스 공격이 지속되는 가운데, 가자지구 민간인들의 인도적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 아울러, 가자지구 내 민간인 보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는데, 이는 인도적 지원이 가자지구 주민들에게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됨.

o 하마스의 인질 석방이 가자지구 전투 종식의 핵심 조건임을 강조
-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가자지구 내 전투 상황이 종식되기 위해서는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인질들을 석방하는 것이 핵심적인 조건이라고 강조함. 이는 인질 문제 해결이 가자지구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임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됨.
- 또한, 인질 석방과 함께 가자지구 내 전투 중단이 이루어져야만 실질적인 평화 협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하마스와 이스라엘 양측이 상호 신뢰 구축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됨.

□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 지지 표명

o 미국, 카타르, 이집트의 중재 노력 지지 선언
- 나우세다 대통령은 미국, 카타르, 이집트가 주도하는 중재 노력에 대한 리투아니아의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함. 특히, 이들 국가들의 외교적 노력이 가자지구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함.
- 아울러,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관련국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이는 중재국들의 노력과 더불어 당사국들의 평화 협상 의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관찰됨.

o 중동 평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 강조
-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중동 지역의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평화 구축을 저해하는 어떠한 행위도 규탄한다고 밝혔으며, 이는 중동 평화 프로세스가 특정 국가나 집단의 이해관계에 의해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발언임.
- 또한, 국제사회가 하나의 목소리로 중동 평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하였으며,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일치된 노력만이 중동 지역의 항구적 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메시지 국제사회에 전달함.

<감수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LRT, Lithuanian president urges revival of two-state solution with Jerusalem as joint capital, 2025.9.24
The Baltic Times, Lithuanian president urges revival of two-state solution with Jerusalem as joint capital, 2025.9.24.
Xinhua, Lithuanian president urges revival of two-state solution with Jerusalem as joint capital, 2025.9.24.
UN, Amid Multiple Crises, Secretary-General Urges Leaders to Choose Cooperation over Chaos, as General Assembly Opens High-Level General Debate, 2025.9.23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