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정책] 포스트코로나 시기 우즈베키스탄의 산업정책과 시사점

우즈베키스탄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발간일 : 2021-04-15 등록일 : 2021-04-23 원문링크

ㅇ 우즈베키스탄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

 

(코로나19 동향) 우즈베키스탄은 2020년 3월 15일 코로나19 최초 확진자, 3월 27일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2021년 3월 30일까지 누적 확진자 수 8만 2,536명, 누적 사망자 수 626명을 기록함.
(코로나19 대응 펀드 조성)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보건·의료 부문 지원과 취약업종, 중소기업, 실업자 등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13.3억 달러 규모의 위기대응펀드를 조성하여 보건·의료 부문, 도로·상수도·학교·스포츠시설·주택 등의 교통 및 사회인프라 건설, 취약계층 및 고용, 병원 및 방역 시설 확충 등에 지원하였음.
 

ㅇ 미르지요예프 행정부의 주요 경제정책

 

(주요 전략) 중장기 발전전략, 연도별 발전 프로그램 등을 통해 경제·사회 발전, 민주주의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7~2021 발전전략, 연도별 국가 프로그램, 2035 발전전략 등이 수립되어 실행되고 있음.
(주요 경제정책) 포스트코로나 시기에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민영화 정책, 대외경제협력 확대, 투자유치정책, 빈곤감축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음.
 

ㅇ 포스트코로나 시기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부문별 산업정책

 

(주요 산업정책) 포스트코로나 시기에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디지털산업 발전, 신재생에너지, 섬유산업, 자동차산업 등의 발전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ㅇ 포스트코로나 시기 한-우즈베키스탄 협력 현황 및 전망

 

(양국의 협력 현황과 전망)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간에는 무역협정 체결 추진, 제조업·농업 부문 기술지원과 투자 및 정책 자문, 에너지 설비 개선 및 광물 부문, 디지털산업, 보건·의료 및 환경 분야 등에서 협력이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관련 부문의 협력이 유망한 것으로 평가됨.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