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중동산 원유 의존도 심화와 시사점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유광호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아프리카중동팀 - 2023/11/30



☐ 2022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던 우리나라의 중동산 원유 의존도가 2023년에도 UAE, 카타르 등을 중심으로 심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1)

-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도입 비중은 2016년 85.9%에서 2021년 59.8%로 5년 간 약 26.1%p 감소하였으나, 2022년 한 해 동안 전년 대비 7.6%p 증가하며 67.4%를 기록하였음.

 - 2023년에도 3/4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 72.8%로 추가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분기별로 살펴볼 때에도 1분기 70.2%, 2분기 72.1%, 3분기 76.3%로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음.

 - 반면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원유 도입 비중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3년 3/4분기까지의 비중을 전년과 비교할 때 미주(19.8%→18.3%), 아시아(8.9%→7.5%), 유럽(1.2%→0.1%), 아프리카(2.7%→1.8%) 순으로 감소폭이 컸음.

 ㅇ 특히 유럽으로부터의 원유 도입은 2023년 4월 노르웨이산 원유 72만 배럴 수입을 제외하고는 2022년 10월 이후 전무한 상황임.

 - 같은 기간 카타르(4.7%→7.7%)와 UAE(8.2%→10.5%)의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러시아(2.0%→0.0%), 영국(0.9%→0.0%), 나이지리아(1.0%→0.4%) 등의 감소가 두드러짐.


<그림 1> 우리나라 원유 도입량 지역별 비중 추이 (단위: %)



주: 2023년은 3/4분기까지의 수치임.

자료: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검색일: 2023. 11. 21). 


<그림 2> 원유 도입량 중동 국가별 비중 추이2) (단위: %)



주: 2023년은 3/4분기까지의 수치임.

자료: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검색일: 2023. 11. 21). 


☐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의존도 심화는 러-우 전쟁 장기화의 영향으로 글로벌 원유 지형의 블록화 기조가 고착화되면서 중동 외 산유국에 대한 원유 도입 경쟁이 심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됨.

 - 유럽은 러-우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에 대한 대체 수입처로 노르웨이 등 역내 주변국과 더불어 미주, 아프리카 내 산유국을 주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ㅇ 2023년 2/4분기 EU의 대러시아 원유 도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13%p 감소한 3%를 기록한 반면, 노르웨이(10%,→13%), 미국(11%→13%), 카자흐스탄(7%→10%)으로부터의 원유 도입 비중은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음.3)

ㅇ 2023년 2/4분기 미국 총 원유 및 석유제품 수출 중 대유럽 수출 비중도 2021년과 2022년 동기에 비해 각각 8.5%p, 3.7%p 증가한 27.8%를 기록하였음.4)

 - 반면 유럽 내 러시아산 원유 수요 감소, 서방의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실시 등으로 러시아산 원유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면서 기존 중동의 제1대, 제2대 원유 수출 시장이었던 중국과 인도의 대러시아 원유 도입 비중이 크게 확대되었음.

 ㅇ2023년 1/4분기 중국과 인도의 대러시아 원유 수입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6%p, 22.7%p 증가한 18.5%, 29.5%를 기록하였음.5)

- 이처럼 러-우 전쟁 발발 이후 중동 외 산유국에 대한 원유 도입 경쟁이 심화됐을 뿐 아니라 기존 중동의 주요 수출 시장이었던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도입 확대로 중동산 원유에 대한 접근성이 커지면서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의존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됨.6)

- 우리나라와 상황이 비슷한 일본도 2023년 2/4분기 대중동 원유 의존도가 분기별 사상 최고치인 96.5%를 기록하였음.7)


☐ 중동에 대한 원유 도입 의존도가 커지는 만큼 해당 지역 내 지정학적 갈등 발발에 따른 원유 도입 차질 가능성과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면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도입처 발굴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임.

 - 특히 최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둘러싸고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이스라엘-이란 전면전 등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유 도입 차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ㅇ 2023년 3분기 기준 우리나라는 전체 원유 도입의 76.3%를 호르무즈 해협 주변국에 의존하고 있음.

 ㅇ 전쟁 격화로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거나 해협 내 유조선을 나포할 경우 우리나라 원유 공급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간 무력 충돌이 일단락되더라도 중동 내 지정학적 불안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임.

 - 수입원의 특정 지역 편중은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대중동 원유 도입 의존도가 더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새로운 원유 도입처에 대한 발굴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음.



<그림 3>  일본 원유 도입량과 도입처별 비중 추이 (단위: 배럴/일(좌),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