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방글라데시, 美 대선 이후 정치·경제·안보 지형 변화 예상

방글라데시 AIF 2024/11/15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외교 및 경제적 영향

◦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경제 중심 외교 추진 전망
- 최근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집권 이후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의 기존 정책 대비 경제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춘 외교 정책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글라데시는 미국 민주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바 있으나, 미국의 잠재적인 정책 변화로 인해 對방글라데시 지원이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 상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의 외교 정책이 주로 국익에 의해 결정됨을 강조하며, 방글라데시 임시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력 의사를 표명하고 있어 향후 양국 간 긍정적인 관계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방글라데시 내 이주민 및 소수민족 문제 등 특정 사안에 대한 우려를 표명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한편, 미국의 핵심적인 이익이 위협받지 않는 한 방글라데시에 대한 대대적인 조치는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 방글라데시 섬유봉제산업 수출 부문, 미국 보호주의 정책 속 어려움 가중 전망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보호주의 경제 정책은 타국 수입품에 대한 높은 관세 및 무역 장벽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방글라데시의 기성복(RMG: Ready Made Garment) 수출 부문에 중대한 도전을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첫 임기 기간 유사한 정책이 양국 간 무역 긴장을 초래한 바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 재개는 방글라데시의 수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방글라데시 임시 정부는 잠재적인 무역 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다변화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관찰된다.
- 한편, 일부 방글라데시 경제분석가들은 미국-중국 간 무역 분쟁이 對미국 RMG 수출 증대의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60%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바 있으며, 방글라데시는 이러한 상황을 활용하여 보호주의 조치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고 미국과의 경제적 유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60%의 관세, 타국 제품에 대한 10%~20%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바 있음

□ 이주민·난민 및 소수민족 관련 사안에 대한 영향

◦ 이주민으로부터의 송금 감소 및 로힝야 난민 문제 어려움 가중 전망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임기 기간 엄격한 이민 정책을 전개한 바 있으며, 이번 임기에서도 유사한 접근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방글라데시 국민의 對미국 이주에 대한 제한으로 이어져 방글라데시 경제에 상당 부분을 기여하고 있는 송금 유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엄격한 이주 정책은 방글라데시 내 약 100만 명에 달하는 로힝야(Rohingya) 난민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방글라데시 임시 정부는 잠재적인 지원금 감소에 대비하고 난민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관찰된다.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방글라데시 소수민족에 대한 폭력 규탄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10월 31일 소셜미디어 ‘X’를 통해 방글라데시의 힌두교도 및 여타 소수민족에 대한 폭력을 규탄하며, 자신의 리더십 아래에서는 이러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상기 발언은 미국의 對방글라데시 접근방식 변화 기조를 시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향후 미국은 방글라데시의 소수민족 관련 사안에 대해 인도와 유사한 입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는 방글라데시 내 힌두교도를 대상으로 한 폭력 사태 관련 보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음

□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 기회 및 도전 과제

◦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방글라데시 협력의 기회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안보 분야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방글라데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은 중국의 인도-태평양 내 영향력 확장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바, 방글라데시는 지리적 이점을 기반으로 미국과의 국방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

◦ 미국의 인도-태평양 핵심 파트너인 인도와의 관계로 인한 도전 과제 부상
- 인도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핵심 파트너이며, 방글라데시의 정치 지형에 대한 인도의 부정적인 견해와 양국 간 긴장 고조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對방글라데시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 인도는 지난 8월 발생한 방글라데시의 정권 교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한 바 있으며, 방글라데시 또한 인도와의 국경 인근에서 안보를 강화하며 對인도 접근 방식에 대한 전환 기조를 나타낸 바 있다. 향후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인도와의 관계를 우선시할 경우 방글라데시 임시 정부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이러한 상황 속, 전문가들은 방글라데시 임시 정부가 인도·미국 양국과의 관계를 관리함에 있어 신중한 입장을 취해야 할 것으로 전망하며, 외부적 요인에 의해 자국의 이익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The Diplomat, What a Second Trump Presidency Means for Bangladesh, 2024.11.14.
The Diplomat, Bangladesh’s New Border Stance Signals a Shift in Its Approach to India , 2024.09.04.
Voice of Amercia(VOA), India on alert at Bangladesh border, confirms Hasina in New Delhi, 2024.08.06.
Relief Web, Rohingya Refugee Response/Bangladesh: Rohingya Population by Location (as of 30 September 2024), 2024.10.10.
Dhaka Tribune, What will a Trump presidency mean for Bangladesh?, 2024.11.06.
The Business Standard, Will Trump 2.0 change US policy towards Bangladesh?, 2024.11.1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