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캄보디아, 글로벌 전기차 기업의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
캄보디아 김소은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동남아대양주팀 전문연구원 2024/12/02
□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 BYD가 캄보디아에 전기차 공장 설립을 확정함.
- BYD는 캄보디아 정부와 전기차 공장 설립 협상을 마무리하며, 글로벌 기업 중 세 번째로 캄보디아에 전기차 공장을 설립할 예정임.
- 이번 공장은 BYD가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세우는 생산 거점으로, 연간 2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함.
ㅇ BYD는 2024년 7월 태국에 연간 15만 대 규모의 전기차 제조 공장을 설립함.
- 캄보디아에는 이미 포드(Ford)와 도요타(Toyota)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각각 2022년 7월, 2024년 5월에 자동차 제조 공장을 설립한 바 있음.
□ 캄보디아 정부는 자동차 및 전기차 산업 육성을 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 중임.
- 캄보디아는 봉제 산업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벗어나 자동차 및 전자부품 산업 등 고부가가치 제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임.
- 특히, 훈마넷 총리 취임 이후 자동차 및 전자 산업을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설정하며 관련 정책을 강화하고 있음.
ㅇ 2023년 1월 ‘캄보디아 자동차·전자 부문 발전 로드맵’을 발표해 자동차 수출 5억 달러, 전자 수출 16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함.
ㅇ 2024년 7월 ‘2024-2030 전기 자동차(EV) 개발 정책’을 발표해 2030년까지 △전기 대형 차량 5,000대, △전기 차량 및 경차 25,000대, △전기 삼륜 차량 20,000대, △전기 오토바이 720,000대 등 총 770,000대 등록을 목표로 함.
- 정부는 2021년 ‘탄소 중립 경제 달성’ 목표를 선언하며, 2050년까지 전체 자동차의 40%, 도시 내 대중교통 차량의 4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계획을 수립함.
-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 당초 30%였던 전기차 특별세를 10%로 인하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함(표 1).
□ 캄보디아 전기차 시장은 정부 정책 및 글로벌 기업 투자에 따라 급속히 성장하는 중이며, 이는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 2020년 첫 전기차 등록 이후 2024년 6월까지 정부에 정식 등록된 전기차는 약 1,614대, 전기 삼륜차(일명 툭툭이) 440대, 전기 오토바이 914대로 집계됨(표 2).
- 중국 BYD, 일본 도요타, 미국 테슬라가 주요 인기 브랜드로 부상했으며, 2024년 상반기 기준 캄보디아 내 전기충전소 시설은 총 18대로 인프라도 확충 중임.
- 한-캄보디아 FTA 발효 이후 점진적 관세 철폐 및 원산지 기준 완화로 한국 기업의 진출 및 사업 확장 여건이 개선됨.
ㅇ 승용차 부문의 관세 10년 철폐, 전기차 역내가치포함비율 40% 적용에 따른 원산지 기준 인정
- 현재 캄보디아에 진출한 한국 전기차 브랜드로는 베리워즈(Verywords) 전기 이륜차가 유일한 상황이며, 현대차의 공식 대리점인 캄코모터(Camko Motor)는 정부 측에 전기차 조립 공장 설립 타당성 조사를 위한 승인을 요청한 상태임.
---
*각주
1) Electrek(2024). ‘BYD chases Ford, Toyota with new EV plant in Cambodia’ 온라인 기사 (검색일: 2024.11.26.)
2) Ibid.
3) MarkLines(2023). 'RMA Automotive reveals plan to expand production of Ford vehicles in Cambodia' 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11.27)
4)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Cambodia. (2023). ‘Automotive and Electronics Sectors Development Roadmap’ p.2
5) The Phnom Penh Post(2024). ‘Cambodia aims for 770,000 EVs by 2030’ 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11.26.)
6) Xinhua(2024). ‘Cambodia targets 40 pct of electric cars, 70 pct of electric motorbikes by 2050: minister’ 온라인 기사 (검색일: 2024.11.26.)
7) B2B Cambodia(2024). ‘BYD Expansion Into Cambodia Is Part Of Its Global Strategy - Kingdom’s EV Targets Are Highly Ambitious’ 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 11. 26).
8) 관계부처합동(2021). ‘한-캄보디아 FTA 상세설명자료’ p.32
9) Construction & Property. (2024). ‘Korean company Camko Motor plans to assemble electric cars in Cambodia for export to the world market’ 온라인 기사 (검색일: 2024.11.26.)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월간정세변화] 아세안 주요 국가들의 브릭스(BRICS) 가입 추진 동향 | 2024-11-29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태국, 캄보디아 반정부 활동가 강제 송환으로 인권 침해 논란 직면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