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파키스탄, 지속되는 안보 불안 요인으로 인한 중국과의 양자관계 위협

파키스탄 AIF - - 2024/12/06

☐ 파키스탄 내 중국인에 대한 테러 공격 증가로 양국 관계 긴장 고조


o 중국 국적자 및 CPEC 프로젝트에 대한 빈번한 공격

- 최근 몇 년간 파키스탄과 중국의 역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는 파키스탄 내 중국 파키스탄 경제회랑(CPEC: China-Pakistan Economic Corridor)과 관련된 테러 공격의 급증으로 인해 경색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2021년 버스 테러로 9명의 중국 기술자가 사망하고, 2022년 파키스탄 카라치 대학 내 공자연구소에 대한 공격과 같은 사건들은 파키스탄 내 중국 국민들이 직면한 안보 위협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테러공격은 CPEC 프로젝트 추진에 차질을 초래하고, 중국 인력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증대시켜 중국이 파키스탄과의 경제적 협력을 재고하도록 만들고 있다.

- 중국인에 대한 테러 위협의 증가는 양국 관계와 공동 경제 사업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속적인 폭력 사태는 파키스탄이 자국에서 추진중인 중국 프로젝트(중국인 포함)에 대한 보호 의지를 무력화시키고 있다.


o 중국의 안보 요구 증가 및 파키스탄의 대응

- 중국은 파키스탄 내 반복되는 테러공격에 대응하여 자국민과 경제 프로젝트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된 안보 조치에 대한 요청을 지속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중국 기술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테러 공격 이후, 파키스탄 내 2개 프로젝트 진행을 일시 중단하고 파키스탄의 對테러 조치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바 있다. 아울러, 주 파키스탄 중국 대사는 최근 파키스탄이 중국 국적자에 대한 공격을 막지 못하는 것을 비판하는 공개적 발언을 하며 중국의 비판적 입장을 더욱 부각시켰다.

- 파키스탄은 자국 내 중국 국민들에 대한 안전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하였으나, 현재(2024.11월 기준)까지 특별한 성과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또한, 신규 군사 및 대테러 작전 강화 노력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軍은 다양한 테러 위협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CPEC의 중요성과 안보 문제로 인한 도전


o CPEC의 경제적 중요성과 파키스탄의 안보적 도전

- 중국 파키스탄 경제회랑(CPEC)은 약 600억 달러(약 80조 원) 규모의 경제 프로젝트로 중국 일대일로(BRI: Belt and Road Initiative)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평가된다. CPEC은 2013년 공식 개시된 이래 고속도로, 발전소, 과다르 항(gwadar port)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며 파키스탄에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약속하고 있다. 아울러, 파키스탄 내 약 15만 5,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외된 지역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여 파키스탄의 경제 개발 전략의 초석이 되고 있다.

- 한편, 상기와 같은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CPEC은 파키스탄에 새로운 안보적 도전을 제기하고 있는데, 가령 앞서 언급한 테러 공격 등은  향후 중국이 對파키스탄 투자를 재고하거나 경제협정에 더욱 엄격한 조건을 부과하게 만들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상황은 경제적 불안정과 심각한 부채 위기에 직면한 파키스탄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


o 발루치스탄 분리주의자 및 TTP의 위협

- 중국 국적자와 파키스탄 내 중국의 이익은 주로 발루치 분리주의 단체*의 표적이 되고 있으며, 파키스탄 탈레반(TTP: Tehrik-i-Taliban Pakistan)은 2차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발루치 해방군(BLA: Baloch Liberation Army)과 같은 단체는 CPEC 프로젝트에 반대하며, 중국이 지역 자원을 착취하면서 지역 주민들에게 이익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BLA는 중국에 발루치스탄을 떠나지 않으면 공격이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이 지역에서 중국의 이익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

     * 발루치스탄 지역은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걸쳐 있으며, 동 지역의 발루치족은 오랜 기간 독립과 자치를 요구 중

- 아울러, TTP는 파키스탄을 '불신의 국가'로 간주하며, 파키스탄과 그 동맹국에 대한 분쟁을 지속하고 있으며, 파키스탄은 이러한 다양한 테러 단체의 위협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양국 간 안보 협력 및 향후 전망


o 파키스탄과 중국의 안보 협력 강화

- 파키스탄과 중국은 공통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도 지속하고 있는데, 실제 양국 안보기관 간 공동 순찰 및 정보 공유 등의 활동은 테러 대응 능력을 강화시켜 파키스탄-중국 관계의 전략적 깊이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 최근 파키스탄과 중국 정부 간의 안보회의는 양국이 직면한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리창(Li Qiang) 중국 총리는 파키스탄을 방문(2024.10월), 셰바즈 셰바즈 샤리프(Shehbaz Sharif) 총리를 포함한 파키스탄의 주요 지도자들과 만나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CPEC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러한 고위급 외교 및 군사 교류는 양자 관계의 지속적인 중요성과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약속을 반영한다.


o 중국의 투자 지속 조건 및 파키스탄의 대응 전략

- 중국은 CPEC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안정적인 사업 환경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중국의 다자안보구상인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GSI: Global Security Initiative)의 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는 대테러 협력 강화, 국경 간 관리 개선, 무기 및 마약 밀수 방지 등이 포함된다.

- 파키스탄은 중국의 요구에 대응하여 안보역량 강화를 위한 약 450억 파키스탄 루피(약 1억 6,200만 달러)의 추가 예산을 승인했다. 이러한 결정은 중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중국의 對파키스탄 투자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안보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Modern Diplomacy, Pakistan-China Security Cooperation: A Strengthened Partnership for Regional Stability, 2024.11.6. 

The Diplomat, Escalating Militant Violence in Pakistan, 2024.11.26. 

South Asian Voices, Pakistan’s Security Challenges Threaten to Undermine Its Relationship with China, 2024.11.20.

Middle East Institute, Pakistan's deepening strategic reliance on China, 2024.10.11.

The Khaama Press, China pledges cooperation with Pakistan in addressing Security Challenges, 2024.11.14.


[관련정보] 

파키스탄, 중국의 공동 안보 요청 보도 일축 및 역내 안보 강화 강조 (2024.11.18)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