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체코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주요 도전 과제

체코 Daneš Brzica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Slovak Academy of Sciences Senior Research Fellow 2025/03/1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동부유럽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산업의 부상 및 체코의 도전 과제

전기차는 21세기 자동차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글로벌 지속가능성 및 기후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2019년 ‘유로피안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을 발표한 바 있으며, 동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운송 부문의 탈탄소화를 지목한 바 있다.

*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1990년 대비 55% 감축,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는 이니셔티브

체코의 자동차 산업은 역사적으로 스코다(Škoda)를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특히 내연기관 기술에서 강력한 경쟁력과 전문성을 확보해온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전기화 트렌드는 내연기관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체코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 체코는 ‘클린 모빌리티 국가 행동 계획(National Action Plan for Clean Mobility)*’ 등을 통해 친환경 차량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기존 내연기관 기술 중심의 산업 구조 → 전기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경제구조 재편, ▲노동시장 변화, ▲공급망 재구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체코의 자동차 판매량은 2023년 22만 1,422대, 2024년 23만 1,600대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전기차 판매량은 총 판매량의 5% 미만에 그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체코의 전기차 산업 전환이 단순한 기술적 전환을 넘어서는 국가적 과제임을 시사한다.

* 친환경 교통 수단의 보급과 대체 연료 사용 촉진을 목표로 2024년 제정된 체코 정부의 환경 이니셔티브

체코의 전기차 산업 부문별 평가

(디지털화) 자동화 및 디지털화는 자동차 산업 부문에서 전기화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핵심적인 변화이다. 체코는 조립 라인, 산업용 로봇 등 자동차 산업 관련 자동화 기술의 선도국으로서, 특히 로봇 밀도(Robot Density)* 측면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체코의 이러한 기술적 이점은 향후 인공지능(AI)과 전기차 생산 기술의 통합 등 차세대 제조 역량 개발로 이어질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로봇의 보급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충전 인프라) 현재 체코는 약 5,600개 이상의 공공 전기차 충전소를 보유(EU 내 14위)하고 있다. EU 국가에서는 평균적으로 공공 충전소 당 7.5대의 전기차가 운행되는 반면, 체코에서는 공공 충전소 당 5.2대의 전기차가 운행되고 있는데, 이는 체코의 쾌적한 충전 인프라를 입증하는 지표로 평가되고 있다. 체코의 충전소 중 70.8%는 일반 충전소, 22.1%는 급속 충전소, 7.9%는 초고속 충전 설비이며, 특히 50-150 킬로와트(kW) 전력 범위의 충전소 비중(20.5%)이 EU 평균(약 5%)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노동시장) 전기차로의 전환은 직무 구성과 기술 요구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는데, 가령 전통적인 내연기관 생산에 필요한 기술과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기술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노동자의 대규모 재교육이 필요하다. 전기차 기술의 확산은 조립자, 기계 운영자, 금속 작업자와 같은 저숙련 노동자의 대체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데,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2020-2030년 EU 자동차 산업 내 엔지니어링 및 ICT 직종이 전체 고용 시장의 약 9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망) 한편, 전기차 부문의 가치사슬(value chain) 구조는 체코 산업에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전기 모터, 전력 전자장치 등은 기존 내연기관 부품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이에 따라 체코 부품 제조업체들은 사업 모델을 재정립해야 할 것으로 관찰된다. 아울러,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 코발트, 니켈 등 주요 원자재의 안정적인 확보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체코 전기차 등록 동향

현재 체코에는 약 3만 6,000 대의 배터리 전기차(BEV: Batter Electric Vehicle)가 등록되어 있으며, 약 5,600개 이상의 공공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유럽 대체연료관측소(European Alternative Fuels Observatory)와 유럽자동차제조협회(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10월 기간 EU 내 신규 배터리 전기차 등록은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한 120만 대를 기록한 반면, 체코에서는 같은 기간 약 8,700대의 신규 BEV가 등록되어 61.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그림 1. 2024년 체코 내 배터리 전기차(BEV) 브랜드별 등록 현황
자료: 체코 교통부(2024)


높은 가격으로 인한 전기차 수요 부진 및 생산량 감축

한편,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체코 자동차 기업들의 전기차 생산량 감축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일례로, 노쉬비체(Nošovice) 내 현대자동차 체코 법인은 2024년 수요 부진으로 전기차 생산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확인된다. 노쉬비체 현대는 2025년에도 불확실한 수요로 인해 생산량을 감축할 예정으로, 2024년 생산한 33만 대보다 적은 30만 대 미만의 자동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노쉬비체 공장의 일일 생산량은 2024년 시간당 66대에서 2025년 시간당 60대로 감소하였으며, 직원 감원 계획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수요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전기차의 높은 가격이 지목되고 있다. 2023년 기준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는 가장 저렴한 신형 전기차는 가장 저렴한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약 두 배 이상 비싼 가격에 판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국의 전기차 시장과는 대조적인데, 중국의 경우 일부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적극적인 전기차 산업 정책, ▲전기차 생산에서의 선도국 지위, ▲규모의 경제, ▲낮은 배터리 제조 비용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체코 정부의 전기차 지원 정책

체코 국가개발은행의 ‘전기 모빌리티 보증 프로그램(Electric Mobility Guarantee Program)*’(2024.3~10.) 등의 정책적 지원은 전기차 시장 확대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정책 프레임워크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체코는 전기차 보급률에서 EU 내 하위권(2024년 15위)을 유지하고 있는 바, 산업구조 전환의 가속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전기차 및 수소차 구매와 충전소 설치를 지원하기 위해 운영된 프로그램

체코 정부의 주요 교통 정책 프레임워크에는 '2021-2027 교통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문서(Programming document of the Transport Program in the Period 2021-2027)'와 '승인된 프로그래밍 문서 OPT3(the Approved Programming Document OPT3)' 등이 있으며, 동 정책들은 전기차 인프라 구축과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체코 교통부는 상기 정책 아래 대체 연료 인프라, 특히 충전소 건설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지원 사업으로는 ①승용차용 급속 충전 인프라 개발을 위한 전국 대상 10억 코루나(약 600억 원) 지원, ②우선 지원 대상 지역 내 승용차용 급속 충전 인프라 개발을 위한 3억 8,500만 코루나(약 230억 원) 지원, ③도시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용 충전소 인프라 개발을 위한 3억 7,000만 코루나(약 220억 원) 지원 등이 있다.

시사점 및 향후 전망

전기차는 도로 운송 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이며, EU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필수적인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의 높은 가격 등은 보급 확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국은 대규모 생산 및 배터리 제조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가격 경쟁력에서 EU를 앞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유럽은 중국산 EV에 대해 17.4~37.6%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자국 시장 보호에 나서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혁신·시장·에너지·환경 잠재력을 고려하여 생산 시스템을 개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체코는 EU 내 가장 산업화 된 국가 중 하나로서 이러한 변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국가로 평가되고 있으며, 향후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 구조에서 전기차 중심으로의 전환 가속화, ▲현재 강점으로 평가되고 있는 충전 인프라 고도화, ▲OPT3 등의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현지 전기차 산업 지원 강화, ▲EU 그린 딜 이니셔티브 下 주요 국가들과의 기술 협력 강화 등을 통해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자료>
European Green Deal and Green Recovery: time to focus on Electromobility. June 2020. https://www.platformelectromobility.eu
Pipitone E., Caltabellotta S., Occhipinti L. (2021): A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in the European Context, Sustainability 2021, 13. https://doi.org/10.3390/su131910992
Deutsche Umwelthilfe e.V. (2024): 10 facts about the environmental compatibility of electric vehicles: How electromobility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January 2024.
Mizak, J. (2021): Visegrad Electromobility – State, perspectives and challenges. www.forum-energii.eu
iDnes (2024): Čína napumpovala do nastartování elektromobility 5,4 bilionu korun.
https://www.idnes.cz/auto/zpravodajstvi/cina-elektromobil-podpora.A240622_134917_automoto_fdv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8): Electric vehicles from life cycle and circular economy perspectives – TERM 2018: Transport and Environment Reporting Mechanism (TERM) report, No. 13/2018.
MDČR (2020): Vláda schválila aktualizovaný Národní plán. Ministerstvo dopravy ČR. https://www.mdcr.cz/Media/Media-a-tiskove-zpravy/Vlada-schvalila-aktualizovany-Narodni-akcni-plan-c?returl=/Media/Media-a-tiskove-zpravy
CDV (2024a): Prodej elektromobilů v EU během 11 měsíců klesl o 5,4 %, registrovalo se jich přes 1,3 milionu. Tisková zpráva. 19. prosince 2024. Centrum dopravního výzkumu. https://www.cistadoprava.cz/tiskove-zpravy/prodej-elektromobilu-v-eu-behem-11-mesicu-klesl-o-54-registrovalo-se-jich-pres-13-milionu/
CDV (2024b): Přes 57 % veřejných dobíječek v EU je ve třech zemích, Česko čtrnácté. Tisková zpráva. 21. listopadu 2024. https://www.cistadoprava.cz/tiskove-zpravy/pres-57-verejnych-dobijecek-v-eu-je-ve-trech-zemich-cesko-ctrnacte/
MDČR (2024a): Ministerstvo dopravy vyhlásilo dvě nové výzvy na podporu výstavby dobíjecích stanic. https://opd3.opd.cz/stranka/Ministerstvo-dopravy-vyhlasilo-nove-vyzvy-na-podporu-vystavby-dobijecich-stanic
MDČR (2024b): Programové dokumenty. https://opd3.opd.cz/slozka/programove-dokumenty
Websites: www.zdopravy.cz, www.acea.auto (the 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iDnes.cz, Svaz dovozců automobilů.
FEC (2024): The future of European competitiveness Part B. In-depth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September 2024

The English version of the original article can be downloaded below.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