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브라질, 미국·호주·캐나다 관광객들의 입국 비자 의무화
브라질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4/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남미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브라질 정부, 상호주의 원칙에 기반한 비자 의무화 정책 시행
o 2025년 4월 10일부터 3개국 대상 비자 의무화 전면 시행
- 브라질 정부는 상호주의 원칙(principle of reciprocity)에 입각하여 미국, 호주, 캐나다 국민들을 대상으로 입국 비자를 의무화하기로 최종 결정함. 브라질 외교부는 “일방적인 방문 비자 면제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재확인하였는데, 이는 브라질 국민들이 해당 3개국 방문 시 비자를 필요로 하는 상황을 고려한 상호주의적 조치라고 할 수 있음.
- 해당 국가의 국민들은 브라질 입국을 위해 전자비자(eVisa)를 의무적으로 신청해야 하며, 비자 발급 수수료는 80.90달러(약 11만 5,000원)로 책정됨. 전자비자는 국적에 따라 최대 10년간 유효하며, 복수 입국이 가능하고 1회 방문 시 최대 90일까지 체류할 수 있으며, 추가로 90일 연장이 가능함.
o 전자비자 시스템 도입을 통한 행정절차 간소화 추진
- 브라질 정부는 전자비자 시스템을 통해 기존 총영사관 방문을 통한 비자 신청 절차 대신 온라인 제출 방식으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함. 신청자는 유효한 여권, 최근 촬영한 사진, 상세 여행 일정표 등의 필수 서류를 전자적으로 제출해야 하며, 발급 기간을 감안,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신청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셀소 사비노(Celso Sabino) 브라질 관광부 장관은 “특히 미국과는 양국 국민들의 상호 비자 면제를 위한 협상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히며, “향후 양국 간 관광 및 비즈니스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강조함.
☐ 비자 의무화 결정의 정치·경제적 배경 및 파급효과
o 정권 교체에 따른 대외정책 기조 전환
- 2019년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전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과의 우호적 관계를 바탕으로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3개국에 대한 비자 면제를 단행함. 이는 브라질의 전통적인 외교 원칙인 상호주의에 위배되는 조치였으나, 당시 관광산업 부양을 위한 전략적 결정인 것으로 평가됨.
- 한편,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이전 정부의 일방적 비자 면제 정책을 중단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함. 당초 정책 시행이 세 차례 연기되며 해당국들과의 상호 비자 면제 협상을 시도하였으나, 실질적 진전을 이루지 못하자 최종적으로 비자 의무화를 결정한 것으로 파악됨.
o 미국과의 통상마찰 심화로 인한 정책 강경화
- 최근 미국이 브라질 수출품에 대해 10% 관세를 일방적으로 부과하면서 양국 간 통상마찰이 격화되고 있는데, 브라질 의회는 이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상호주의 원칙에 따른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이를 통해 특정 국가들을 대상으로 보복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함.
- 브라질 상원은 올해 초 3개국에 대한 비자 면제 유지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 이후 우고 모타(Hugo Motta) 하원의장은 해당 법안의 최종 표결이 무기한 연기될 것임을 시사함. 이는 미국의 통상 압박에 대한 브라질 정부의 강경한 대응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됨.
☐ 비자 의무화에 따른 관광산업 영향 및 향후 전망
o 주요 관광객 유입 감소 우려와 경제적 파급효과
- 브라질 국제관광진흥청(Embratur)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인 관광객 728,537명, 캐나다인 96,540명, 호주인 52,888명이 브라질을 방문한 것으로 집계됨. 관광업계는 비자 의무화로 인한 행정부담 증가 및 추가 비용 발생이 이들 국가로부터의 관광객 유입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음.
- 2022년 기준 외국인 관광이 브라질 전체 관광 지출의 약 4.9%를 차지하였으며, 2033년까지 연간 약 5.5%의 성장이 전망되었으나, 비자 의무화에 따른 행정적 부담 증가는 외국인 관광 부문의 성장 잠재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
o 정치권 내 비자 정책을 둘러싼 갈등 지속 (상/하원 간 입장 차이)
- 브라질 상원은 카를로스 포르티뉴(Carlos Portinho) 야당 의원이 발의한 비자면제 유지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당초 해당 법안에는 일본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일본이 2023년 8월 브라질과 별도의 비자면제 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제외됨.
- 한편, 하원에서는 미국과의 통상마찰 심화로 인해 법안 처리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임. 특히 여당 지도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비자 의무화 정책을 당분간 유지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양국 간 통상 관계 개선 여부가 비자 정책 변화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됨.
< 감수 : 김영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Nearshore Americas, Brazil Reinstates Visa Requirements for U.S. and Canadian Travelers, 2025.4.15.
Fragomen, Brazil: Visa Requirement Reinstated for Nationals of Australia,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2025.4.10.
Newland Chase, BRAZIL – Visa requirement reinstated for U.S., Canadian, and Australian citizens., 2025.4.10.
AP, Brazil will require visas for US, Canadian and Australian citizens, 2025.4.9.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브라질, 베트남과 육류 수출 협정 체결...2030년까지 교역액 2배 증대 목표 설정 | 2025-04-11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세계은행, 파라과이에 20억 달러 투자 발표...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인프라 개발 강화 지원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