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트럼프 2.0 시대의 아세안-미국 경제 관계와 한-아세안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동남아시아 일반 Truong Quang Hoan Institute for Asia-Pacific Studies, Vietnam Academy of Social Sciences Research Fellow 2025/06/0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론

최근 아세안은 지역 경제 성장을 위협하는 미-중 무역 분쟁 속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2017-2020) 동안 아세안은 전반적으로 미국과 긍정적인 경제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실제 필리핀을 제외한 아세안의 대규모 수출 주도 경제국들은 2018~2020년 동안 대미국 수출이 증가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아세안 경제 및 미국과의 경제 관계에 있어 기회와 도전 과제를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지난 10년간의 아세안-미국 무역 및 투자 관계를 검토하고, 트럼프 2.0 시대의 아세안-미국 경제 관계를 살펴보며, 최근 주요 이슈들과 이들이 아세안 경제 및 아세안-미국 경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아세안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세안-미국 간 교역 및 투자 관계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

가. 교역
아세안과 미국은 1977년 대화 관계(dialogue relationship)를 수립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바 있다. 양측은 지난 2022년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CSP: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을 구축하였으며, 양측 간의 경제 협력은 2006년 수립된 무역투자기본협정(TIFA: Trade and Investment Framework Agreement)과 2012년 출범한 확대경제관여(E3: Expanded Economic Engagement) 등의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강화되어 오고 있다.1)

아래 <그림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측 간 상품 무역 총액은 2012년 1,998억 달러(약 280조 원)에서 2024년 4,769억 달러(약 670조 원)로 증가했다. 동 기간 아세안의 대미 수출은 크게 확대되어 2024년에는 3,523억 달러(약 490조 원)에 도달하였는데, 이는 2012년 대비 약 326.7% 증가한 수치이다. 반면, 아세안의 대미 수입은 2024년 1,246억 달러(약 174조 원)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아세안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상당한 흑자를 기록해왔으며, 대미 무역 흑자는 2012년 약 158억 달러(약 22조 원)에서 2024년 약 2,277억 달러(약 320조 원)로 증가하였다.

<그림 1.> 아세안-미국 상품무역 동향 (2012~2024)
출처: ASEANstats와 미국 무역대표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자 직접 작성

미국은 지난 2023년 아세안 전체 수출의 약 15%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아세안 역내 무역(22.1%) 및 중국(15.9%)보다는 낮으나, EU(8.6%)와 일본(6.7%)보다는 높은 수치이다<그림 2. 참조>.

또한, 2023년 아세안 전체 수입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23.9%)은 중국과 아세안 역내 무역(20.9%)보다는 낮았으나, 한국(7%)과 일본(6.9%)보다는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그림 3 참조>. 전반적으로 미국은 아세안의 수입보다는 수출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2.> 주요 국가별 아세안 총수출 비중 (2023)
출처: ASEAN 사무국(2024), "ASEAN Statistical Highlights 2024", https://www.aseanstats.org/wp-content/uploads/2024/10/ASH-2024-v1-1.pdf, 2025년 4월 22일 접속.

<그림 3.> 2023년 주요 국가별 아세안 총수입 비중
출처: ASEAN 사무국(2024), "ASEAN Statistical Highlights 2024", https://www.aseanstats.org/wp-content/uploads/2024/10/ASH-2024-v1-1.pdf, 2025년 4월 22일 접속.

아세안 각국의 대미 무역에서는 베트남(수출)과 싱가포르(수입)의 성과가 주목된다. 아래 <그림 4.>는 2014년 이후 베트남이 태국과 싱가포르를 제치고 미국 시장에 대한 아세안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하였음을 보여주며, 베트남-미국 무역 관계는 지난 10년 간 급속하게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베트남은 아세안 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대미 무역에서 높은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3년 기준 세계 대미 무역 흑자 3위 국가로 기록된 바 있다. 

한편, 대미 수입 부문에서는 싱가포르가 아세안 국가들 중 1위로 기록되었으며,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이 뒤를 따르고 있다<그림 5. 참조>

<그림 4.> 아세안 6개국의 대미 수출 점유율 (2012~2023)
출처: ASEAN 사무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자가 직접 작성

<그림 5.> 아세안 6개국의 대미 수입 점유율 (2012~2023)
출처: ASEAN 사무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자가 직접 작성

나. 투자
투자 분야 역시 아세안-미국 경제 관계의 핵심적인 분야로 지목된다. <그림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국의 對아세안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12년 183억 달러(약 25조 원)에서 2023년 749억 달러(약 104조 원)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일본, 중국, 한국 등 여타 국가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아울러, 동 기간 아세안 FDI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두 배 가량 확대되어 2023년에는 32.0%에 달했다(그림 7 참조).  

<그림 6.> 아세안 FDI 유입 동향 (2012~2023)
출처: ASEAN 사무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자가 직접 작성

<그림 7.> 아세안 FDI 내 미국 점유율 (2012~2023)
출처: ASEAN 사무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자가 직접 작성

이러한 투자 동향은 미국 기업들이 아세안의 경제적 잠재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를 인식한 결과로 분석된다.2)

트럼프 2.0 시대의 아세안-미국 경제 관계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되는 관세 발표(4.2)를 통해 아세안 국가들을 포함한 수많은 국가들의 무역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4월 9일부로 ‘해방의 날’ 발표한 관세를 약 90일 간 유예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아세안 국가들은 양자 및 다자간 채널을 통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나서고 있다<표 1. 참조>.

<표 1.> 미국의 對아세안 관세 부과 비율 및 각국의 주요 대응 전략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은 아세안 국가들에게 도전 과제 및 경제적 기회를 동시에 제시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전과제 1: 중국 대체 공급망에 대한 제재 강화) 
아세안 국가들은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무역 감시를 경험할 수 있다. 실제, 미국은 베트남 및 태국 등이 중국 FDI 유치를 확대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잠재적인 우회 수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아세안 국가들의 대미 수출을 저해하고 역내 FDI 흐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전과제 2: 통화 정책 제약)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 지정학적 갈등, 물가 변동성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국 내 수입 및 소매업자들은 해외보다 국내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 물가에 대한 하방 압력을 제한하고, 기업들의 투자 판단에도 신중함을 요구하게 하는 바, 결과적으로 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의 통화정책 완화 시점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아세안 국가들로 하여금 자국 통화가치를 방어하고, 자본 유출을 차단해야 한다는 강한 정책적 압박에 직면하게 만든다. 아울러, 미국이 일부 아세안 국가들을 상대로 환율 조작 혐의를 제기하고 있는 만큼, 아세안의 통화정책 선택지는 한층 더 제약될 가능성이 높다.

(기회요인 1: 중국 제품과의 경쟁 우위 확보) 
미국은 특히 중국에게 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 아세안 섬유 및 의류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서 중국 제품 대비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아세안 섬유에 약 10-2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으나, 이는 중국에 부과되는 관세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러한 이점은 여타 섬유 및 의류 산업 중심 국가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이며, 아세안 국가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현지 제조 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관찰된다.

(기회요인 2: 여타 국가들로부터의 FDI 유치 증대 가능성)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기조와 미-중 무역 전쟁의 위험이 고조되는 상황 속, 아세안 국가들의 낮은 노동 비용 및 광범위한 FTA 네트워크 등은 주요 FDI 투자국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한국, 대만, 일본 내 다국적 기업(MNEs: Multinational Enterprise)들의 생산기지 이전을 촉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아세안 경제에 글로벌 가치 사슬(GVCs: Global Value Chains)로의 통합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아세안 경제 협력에 대한 시사점

아세안 국가들과 한국은 트럼프 2.0 시대를 맞이하여 ▲회복력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산업 공급망 강화 및 조정, ▲새로운 공급망 구축, ▲수출 제품 다변화, ▲신(新)시장 진출 기회 모색 등 다양한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양측은 현재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고 일부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경제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아세안 협력은 특히 전자제품, 자동차, 중소기업의 GVC 참여, 디지털 경제 등에 중점을 둘 수 있으며, 한국의 기업들이 이러한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 전자상거래, 교육 기술(Edtech), IT 금융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對아세안 투자를 확대할 수 있으며, 이는 아세안 디지털 경제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한국과 아세안은 미국의 신뢰할 수 있는 무역 파트너로서 자리매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은 이를 위해 무역 관행 및 금융 상품의 투명성을 제고해야 하며, 미국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및 항공기 수입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대미 무역 흑자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다 엄격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여 중국의 잠재적인 우회 수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LNG와 항공기는 미국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


---
*각주
1) See ASEAN Secretariat, "ASEAN-US Economic Relation", https://asean.org/our-communities/economic-community/integration-with-global-economy/asean-us-economic-relation/, accessed on 22 April 2025.
2) KW Group (2024), "US Investment in ASEAN Hits Record High, Outstripping Traditional Markets," https://www.kwglobaltrade.com/post/us-investment-in-asean-hits-record-high-outstripping-traditional-markets, accessed on 23 April 2025.

[참고자료]
ASEAN Secretariat, “ASEAN-US Economic Relation”, https://asean.org/our-communities/economic-community/integration-with-global-economy/asean-us-economic-relation/
ASEAN Secretariat, ASEANSTATS KEY INDICATORS, https://data.aseanstats.org/
ASEAN Secretariat (2024), “ASEAN Statistical Highlights 2024”, https://www.aseanstats.org/wp-content/uploads/2024/10/ASH-2024-v1-1.pdf
KW Group (2024), “US Investment in ASEAN Hits Record High, Outstripping Traditional Markets,” https://www.kwglobaltrade.com/post/us-investment-in-asean-hits-record-high-outstripping-traditional-markets
Nelson, D. (2024). “Trump Trade 2.0”, https://www.csis.org/analysis/trump-trade-20.
Trade Compliance Resource Hub (2025), “Trump 2.0 – Tenth-Day digest for ASEAN and China”, https://www.tradecomplianceresourcehub.com/2025/04/14/trump-2-0-tenth-day-digest-for-asean-and-china/

The English version of the original article can be downloaded below.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