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최근 필리핀 경제성장 호조 배경 및 전망

필리핀 신민금 KIEP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원 2013/01/28

■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빠르게 성장하던 주변 신흥국에 비해 경제성장이 다소 더뎠던 필리핀이 최근 이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음.


- 필리핀은 2012년 1~9월에 6.5% 성장함에 따라 ASEAN-6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음.


그림 1. 동남아 주요국의 분기별 실질GDP 성장률 추이
                                                                                          (단위: %)


자료: 필리핀중앙은행, 글로벌인사이트.


■ 2012년 1~9월 필리핀 경제가 비교적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낸 배경으로는 전년동기간대비 민간소비와 정부지출이 증가한 점을 들 수 있음.


- 위 기간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소비 규모는 약 1,380억 달러로, 전년동기간대비 약 8.9% 늘어났으며 이주노동 송금액이 이를 뒷받침하였음.
ㅇ 같은 기간 이주노동 송금액 유입 규모는 약 156억 달러로, 주요국의 경기 악화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간대비 5.5% 증가하였음.
- 필리핀 정부지출 규모는 약 200억 달러로, 전년동기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해당 자금은 주로 빈곤퇴치 및 사회개발 프로그램인 'Pantawid Pamilyang Pilipino Program' 지원, 사회간접자본 건설 등에 사용됨.


표 1. 필리핀의 GDP 구성요소별 규모(2012년 1~9월)
(단위: 백만 달러, %)

구성요소

규모

증가율(전년동기간대비)

민간소비

138,204

8.9

투자

14,316

6.3

정부지출

20,244

18.6

수출

52,705

9.5

수입

58,798

4.2



주: 페소로 표시된 항목은 저자가 달러로 환산함(2013년 1월 24일 기준 달러당 40.64페소).
자료: 필리핀중앙은행, 필리핀통계조정위원회(NSCB), CEIC, 글로벌인사이트.



■ 주요 경제전망기관은 필리핀이 2012년에 6% 안팎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2013, 14년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한 바, 우리 기업은 내수시장 진출, 사회간접자본 건설 프로젝트에의 참여 등을 통해 필리핀과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음.


- 막대한 이주노동 송금액을 바탕으로 민간소비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우리 기업은 필리핀 내수시장 진출을 더욱 활발히 할 수 있음.
- 필리핀 정부는 열악한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2016년까지 80여 개의 사회간접자본 건설 프로젝트를 PPP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이어서 우리 기업이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할 수 있음.


표 2. 주요 기관의 필리핀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위: %)

전망기관

일자

2012

2013

2014

글로벌인사이트

2013.01.20

6.0

4.5

4.8

EIU

2013.01

5.9

5.8

6.5

세계은행

2013.01

6.0

6.2

6.4

유엔

2013.01

6.2

5.4

5.5



자료: 글로벌인사이트, EIU, 세계은행, 유엔.


<자료: 국내외 언론 및 분석자료>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