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우크라이나, 미국의 중재로 ‘30일 휴전’ 제안 동의... 러시아는 제한적 합의만 수용

우크라이나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3/2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열린 미-우크라이나 회담에서 휴전 합의 도출

o 우크라이나, 미국의 ‘30일 휴전’ 제안 수용
- 지난 3월 11일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제안한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30일 휴전'에 대한 수용 의사를 표명함. 양국 대표단은 이번 휴전 결정이 상호 합의에 따라 연장 가능하며, 러시아의 동의와 동시 이행을 전제로 한다고 밝힘. 
-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미 국무장관은 “이제 공은 러시아 쪽으로 넘어갔다”고 강조하며, 해당 휴전안을 러시아에 제안할 예정이라고 밝힘.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보 공유 중단을 즉시 해제하고 안보 지원을 재개하기로 결정함. 지난 2월 28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의 불화로 중단되었던 미국의 지원이 재개됨에 따라 우크라이나의 방위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됨. 양국은 인도주의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특히 포로 교환, 민간인 억류자 석방, 강제 이송된 우크라이나 아동들의 귀환 등을 논의함.

o 장기적 평화 협상을 위한 체계 구축 및 경제 협력 논의
- 양국은 협상 팀을 구성하고 우크라이나의 장기적 안보를 보장하는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협상을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함. 미국은 러시아와 해당 사안을 논의하기로 약속하였으며,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EU회원국들이 평화 구축 프로세스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함. 
- 양국 정상은 ▲우크라이나의 경제 회복, ▲미국 지원 비용 상쇄, ▲안보 보장을 위해 우크라이나 내 중요 광물 자원 개발에 관한 포괄적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함. 우크라이나 측은 국가 방위를 지원한 트럼프 대통령, 미국 의회, 그리고 미국 국민들에게 사의를 표함.

□ 러시아, 전면 휴전 거부... 제한적 합의만 수용

o 푸틴 대통령,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만 동의
- 지난 3월 18일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이 제안한 ‘30일 전면 휴전’을 거부하고, 대신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만 중단하는 제한적인 휴전에 합의함. 러시아는 전면 휴전을 이행하기 위해서 서방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모든 군사 지원이 중단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함.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됨.
- 푸틴 대통령은 과거에도 임시 휴전이 우크라이나와 서방국에게만 이익이 될 것이라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 그는 지난 1월 “목표는 단기적인 휴전이나 군대 재편성과 재무장을 위한 휴식이 아니라 우크라이나 지역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 모든 국가의 정당한 이익을 존중하는 장기적인 평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음. 이러한 발언은 러시아가 자국의 안보 이익이 보장되는 조건에서만 평화 협상에 임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시사함.

o 러시아, 이후 평화 협상에서도 기존 입장 고수 예상
-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유선 회담 이후 장기적 해결책을 위해 미국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으나, 푸틴 대통령은 분쟁의 해결책이 “위기의 근본 원인과 러시아의 정당한 안보 이익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강조함. 러시아는 과거 우크라이나에 NATO 가입 포기, 대규모 군축, 러시아가 병합을 선언한 4개 지역에서의 철수 등을 요구한 바 있음.
- 빅토르 소볼레프(Victor Sobolev) 러시아 연방 하원의원은 제다 회담 직후 “임시 휴전은 수용할 수 없다”고 언급함. 그는 미국이 계속해서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한 ‘30일 휴전’에 대한 합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함. 러시아 내 일부 국제관계 전문가들 또한 푸틴 대통령이 휴전안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함.

□ 미국의 적극적 중재에도 불구하고 러-우 간 공습 지속

o 양국 간 공격 지속으로 합의 이행 불투명
- 미국-러시아 유선 회담 이후 체결된 우크라이나 내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 합의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공습을 멈추지 않음.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약 40개의 드론을 자국 영토로 발사했으며, 병원을 포함한 민간 인프라를 타격했다고 밝힘. 그는 러시아가 사실상 “전면 휴전 제안을 거부했다”고 비판하며, 서방의 지속적인 무기 지원을 촉구함.
-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크라스노다르(Krasnodar) 지역 석유 저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주장함. 러시아 국방부는 57개의 우크라이나 드론을 격추했다고 발표하였으며, 대부분 쿠르스크 국경 지역에서 격추되었다고 설명함. 드미트리 페스코프(Dmitry Peskov) 러시아 정부대변인은 우크라이나가 ‘30일 휴전’을 준수하는 상호주의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비난함.

o 미국의 적극적 중재 노력과 향후 협상 전망
-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평화 중재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그는 푸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1시간 동안 통화하며 양측의 요구사항과 필요성을 조율하는 데 집중함.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러-우 전쟁 휴전 협상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고 전하며, 루비오 국무장관과 마이클 월츠(Michael Waltz) 국가안보보좌관이 가까운 시일내 “논의된 사항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함.
- 미국은 오는 3월 23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휴전 후속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며,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트럼프 대통령 특사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다시 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갈등에도 불구하고 타결된 합의에 따라 각각 175명의 포로를 교환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Ukrinform, Ukraine ready to accept U.S. proposal for immediate 30-day ceasefire – Presidential Office, 2025.03.11.
AzerNews, Ukraine signals readiness for 30-day ceasefire, awaits Russian response, 2025.03.12.
The Moscow Times, Ukraine Accepts ‘Interim Ceasefire’ as U.S. Resumes Intelligence Sharing and Military Aid, 2025.03.11.
TASS, Ukraine expresses readiness to agree to immediate 30-day ceasefire — statement, 2025.03.12.
IPN, Results of peace talks in Ukraine. Talks between Trump and Putin follow, 2025.03.12.
RT, US resumes intelligence and military aid to Ukraine, 2025.03.11.
The Moscow Times, Ukraine Will Propose Air and Naval Ceasefire During Saudi Arabia Talks – AFP, 2025.03.10.
Euronews, Zelenskyy said Putin had effectively "rejected" an partial ceasefire proposal hours after it was agreed, 2025.03.19.
France24, Russia, Ukraine trade accusations of violating deal not to target energy infrastructure, 2025.03.19.
Responsible Statecraft, With forced withdrawal, Russia takes away Ukraine's Kursk cards, 2025.03.17.
The Kyiv Independent, Ukraine brings home 175 prisoners of war in swap with Russia, 2025.03.19.
CNBC, Trump says Ukraine-Russia talks are ‘on track’ after call with Zelenskyy, 2025.03.19.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