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러시아 관계 | |||
---|---|---|---|
국가 | 러시아 | 등록일 | 2024-06-24 |
한국과 러시아는 1990년 9월 수교 이후 20차례에 걸쳐 양국 정상의 상호방문 및 30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 정무·경제·문화·영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협력 관계를 확대·발전시켜 오고 있음. 2020년 9월 30일은 한국과 러시아의 30주년을 맞은 날. 한국과 러시아는 1884년 조로수호통상조약 체결부터 깊은 공감대를 형성한 우호적 관계를 맺어 왔음. □ 최근 교류 요약 ㅇ 한-러 서비스·투자 FTA 협상 - 2019년 6월 한-러 서비스·투자 FTA 협상 개시 선언, 2019년 6월~2020년 7월까지 5차례 협상 개최 ㅇ 한-러 정상회담 - 2020년 9월 28일 문재인 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수교 30주년을 맞아 전화 통화로 양국 관계 평가 및 실질 협력증진 방안 논의 ㅇ 한-러 상호교류의 해 폐막식 - 2021년 10월 27일 양국 외교부 공동 주최로 2020-21 한-러 상호교류의 해 폐막식 개최 □ 정무관계 ○ 러시아 인사 방한 10.11 메드베데프 대통령 방한(G20 정상회의 참석) 12. 3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한 러 정상회담 12. 9 APEC 정상회의 계기 한 러 정상회담 13. 9 G20 정상회의 계기 한 러 정상회담 13.11 푸틴 대통령 방한 15.11 COP21 계기 한 러 정상회담 17. 7 G20 정상회의 계기 한 러 정상회담 18.11 EAS 정상회의 계기 한 러 정상회담 19. 6 G20 정상회의 계기 한 러 정상회담 ○ 한국 인사 방문 10. 9 이명박 대통령 방러(야로슬라블 포럼 참석) 11. 5 김영삼 전 대통령 방러 11.11 이명박 대통령 방러 16. 9 박근혜 대통령 방러(제2차 동방경제포럼 참석) 17. 9 문재인 대통령 방러(제3차 동방경제포럼 참석) 18. 6 문재인 대통령 국빈 방러 □ 군사관계 ○ 2005년부터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우리군에 자국의 무기를 구매 요청하며 러시아와 한국군과의 접촉이 잦아지고 있음. ○ 1996년 11월 냉전 시대의 적대국인 대한민국과 소련의 계승국인 러시아연방이 군사 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하며, <한·러 군사교류협력 양해각서> 체결. ○ 1996년 체결된 이 〈군사협력 양해각서〉는 1992년 러시아 국방장관 방한 때 체결된 〈1993∼1994 한·러 군사교류 양해각서〉보다 한 단계 발전된 양국 군사협력 실행을 위한 일반적 포괄적 내용을 규정한 군사협력 각서임. □ 영사관계 ○ 1990년 9월 30일 외교관계 수립 ○ 공관현황 : 1990년 10월 주소련 대한민국 대사관 개설(23.7월 이도훈 제16대 주러시아대사 부임) ○ 1990년 12월 주한 소련대사관 개설(24.1월 지노비예프(Georgiy Zinoviev) 제10대 주한러시아대사 부임) ○ 교민현황 : 고려인(’22) : 121,188명, 재외국민(’22) : 4,842명 ○ 한 · 러 영사협약(1992년 3월 체결, 1992년 7월 발효) ○ 2004년 9월 한·러 외교관 여권 소지자에 대한 사증요건의 면제에 관한 협정을 체결 2004년 11월에 발효. ○ 2008년 9월 단기 방문사증 발급 간소화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고, 2010년 1월 9일에 발효. □ 비고 : FTA 정보 ○ 협상개시 : 2011년 10월 ○ 진행상황 : 2019년 6월 한 러시아 서비스, 투자 FTA 협상 개시 선언, 2019년 6월~2020년 7월까지 5차례 협상 개최 출처 : 외교부, 주한러시아대사관, 관세청 FTA 포탈 www.mofa.go.kr https://overseas.mofa.go.kr/ru ko/index.do 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main.do (*) 2024년 6월 30일 기준 |
|||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