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브리핑

캄보디아, 2022년 경제생산성 제고 및 생산시설 발전 주력

캄보디아 Khmer Times, Fibre 2 Fashion 2023/01/02

☐ 캄보디아가 2022년 성공적으로 추진한 주요 사업으로 경제생산성 제고를 위한 국가정책프레임워크 시행, 씨하눅빌(Sihanoukville) 항만시설 확충, 아시아개발은행의 차관 지원, 그리고 국내 생산시설 개선 사업 등이 꼽힘.
- 캄보디아 현지언론 크메르타임즈(Khmer Tiemes)는 2022년 11월 캄보디아 정부가 발표한 2022~2035년 캄보디아 경제생산성 국가정책프레임워크(National Policy Framework for Cambodia’s Economic Productivity 2022-35)를 주요 사업 중 하나로 꼽음.
- 아운 폰모니로쓰(Aun Pornmoniroth) 캄보디아 경제재무부 장관 겸 캄보디아 국가경제생산성위원회(National Committee for Economic Productivity of Cambodia) 의장은 해당 프레임워크가 수입 증대, 경제 안보, 국가적 수요에의 대응, 글로벌 공급망 및 에너지 불안정성 대응 등을 목표로 한다고 밝힘.

☐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은 2022년 12월 캄보디아 무역 및 경쟁력 프로그램 하위 사업에 대해 5,000만 달러(한화 약 631억 5,000만 원) 규모의 차관을 제공함.
- 해당 차관 지원사업은 캄보디아의 경제 다양화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또한 아시아개발은행은 차관 제공을 통해 캄보디아의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경제 회복 및 투자·경영 환경 개선에 대한 지원 효과 또한 도출될 것이라고 밝힘.

☐ 캄보디아의 의류 수출산업은 2022년 1월에서 10월까지 총 77억 5,000만 달러(한화 약 9조 7,882억 5,000만 원)의 수출액을 기록함.
- 이는 2021년 65억 4,000만 달러(한화 약 8조 2,600억 2,000만 원) 대비 증가한 규모로, 2022년 캄보디아의 의류 수출액은 전체 대외 수입액의 41.3%를 차지함.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