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브리핑

캄보디아, 한국과 자유무역협정 통한 상호 무역 및 투자 확대 합의

캄보디아 Khmer Times, The Phnom Penh Post 2023/01/31

☐ 캄보디아는 한국과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양국 간 무역 및 투자 등 협력을 확대하는 데 합의함.
- 캄보디아 및 한국은 판 소라삭(Pan Sorasak)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과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에서 양국의 무역 및 투자 증진을 위한 ‘캄보디아-한국 무역·투자 포럼(Cambodia-Korea Business and Investment Forum)’을 공동 개최함.
- 캄보디아와 한국의 자유무역협정은 2022년 12월 1일 발효된 바 있으며, 기존의 한국-아세안(ASEAN) 자유무역협정 및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보다 더 높은 수준의 시장 개방을 골자로 함.

☐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무역 협약이 직물 및 의류에서부터 차량 및 기계, 그리고 농수산물에 이르는 넓은 영역에서 상호 교역을 확장하는 데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함.
- 한국 측은 양국이 디지털경제, 청정에너지 등 다양한 부문에서 캄보디아의 산업구조 발전을 위해 협력할 것이며, 한국은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캄보디아의 기술 발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힘.
- 캄보디아와 한국의 2022년 상호 무역규모는 10억 5,000만 달러(한화 약 1조 2,932억 원)를 기록한 바 있으며, 이는 양국이 재수교한 1997년 무역규모인 5,400만 달러(한화 약 665억 원)에 비해 크게 증가한 금액임.

☐ 소라삭 상무부 장관은 개발도상국인 캄보디아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고급 기술을 보유하고 여러 부문에서 발전을 이룩했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밝힘.
- 소라삭 장관은 캄보디아와 한국이 각각 서로에게 천연자원과 기술발전 지원을 제공하며 경제 및 개발 부문에서 상호 협력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함. 
- 캄보디아 측은 캄보디아가 아세안 권역에서 지리적 중심부에 위치하는 만큼 지역 공급망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한국이 캄보디아와의 교역을 통해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더 큰 규모의 공급망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