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15년 이라크 프로젝트 시장 전망

아프리카ㆍ 중동 기타 KOTRA 2015/01/27

2015년 이라크 프로젝트 시장 전망

- ISIL 반군사태, 저유가 등의 난재로 이라크시장에서 끈기가 요구되는 시점 -

- 민간중심의 석유·가스전 개발수요 프로젝트는 지속 전망 -

 

 

 

□ 이라크 프로젝트 시장 개요

 

  이라크는 중동지역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UAE에 이어 제3위의 플랜트 프로젝트 시장

  - 특히 2009년 이후 이라크 정부는 일일 300만 배럴에 지나지 않았던 석유 생산량을 2017년까지 일일 1200만 배럴까지 끌어올린다는 국가적 목표 하에 석유부문을 중심으로 과감한 시설 투자 및 투자유치에 착수

   · 정부뿐만 아니라 이라크 유전에 투자한 석유 메이저 업체 역시 각종 석유 플랜트, 가스 포집시설 등 거액의 프로젝트를 발주

 

  또한 2003년 2차 걸프전 이후 다수의 인프라가 파괴되면서 석유·가스 플랜트뿐만 아니라 상하수도, 통신, 교통, 교육, 보건, 주거 등을 비롯한 전반적인 사회 인프라 건설에 대한 수요도 높은 편

  - 2013년 이라크 내각회의에서 채택한 5개년 ‘국가개발계획’에 따르면 이같은 인프라 개발을 위해 필요한 투자자금을 4000억 달러로 추산

 

  한국 업계에 있어서도 이라크는 70, 80년대부터 인연이 깊은 시장으로,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높은 수주 실적을 기록 중

  - 한화건설이 2011년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77억 달러) 등 다수의 수주실적

 

□ 최근 3년간 이라크 프로젝트 시장 동향

 

  Middle East Business Intelligence지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에 이르기까지 이라크에서 발주된 주요 프로젝트 총액은 277억 달러가량

  - 발주 물량의 80%가량은 석유플랜트 부문으로, 그동안 이라크 정부의 적극적인 석유증산 방침을 반영

 

  특히, 2013년 발주분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2014년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전년실적과 유사한 발주액을 기록

 

이라크에서 발주된 주요 프로젝트 추이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2

2013

2014

상반기

하반기

석유플랜트

3.084

9,466

9,264

1,071

10,335

非석유플랜트

1,145

2,654

862

221

1,083

자료원: Middle East Business Intelligence(MEED)  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

 

  그러나 지난 6월 ISIL 사태가 본격화되면서, 이라크에서의 프로젝트 발주 실적은 급감

  - 발주실적만 급감했을 뿐만 아니라, 서부 안바르, 북부 살라후딘, 디얄라 등지에서 추진 중이던 프로젝트가 대거 중단되는 사태 발생

 

□ 한국 업계의 최근 수주실적

 

  한국 업계는 상기 주요 발주 프로젝트 중 2012∼2014년간 111억 달러의 수주실적을 거양

  - 이는 전체 발주액의 40%에 달하는 금액으로, 현대건설의 카르발라 정유소(60억 달러, 이라크 정부), 삼성엔지니어링의 바드라유전 가스처리 시설(9억 달러가즈프롬 발주) 등 메이저 계약에 의거한 것

  - 이 밖에도 대우건설과 STX중공업 등이 한국가스공사가 발주한 아카스 가스전 시설(7억5000만 달러) 및 가스관(4억5000만 달러) 공사 수주

 

지난 3년간 한국 업계 프로젝트 수주 추이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2

2013

2014

상반기

하반기

석유플랜트

3.084

9,466

9,264

1,071

10,335

자료원: Middle East Business Intelligence 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

 

  그러나 이와 같은 승승장구에도 불구하고 2014년 6월 ISIL 사태는 한국 업계의 신규수주에도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

 

  한국 업계의 프로젝트 현장의 대다수는 이라크 석유시추의 중심지인 바스라를 비롯한 남부에 밀집돼 있어 추진 중인 프로젝트의 대다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아카스 가스전 개발 및 베이지-키르쿡 가스관 등 주요 프로젝트가 무기한 연기되기에 이름.

 

□ 2015년 이라크  프로젝트 시장 전망

 

  ISIL 사태라는 전례없는 국가위난 상황에 처한 이라크의 2015년 시장은 전년대비 축소가 불가피

 

  무엇보다 석유가 이라크 정부 재정수입의 95%를 차지하는 가운데, 최근의 저유가 사태는 이라크 정부 재정 확충에 적신호로 작용

  - 이에 반해 ISIL 반군에 대응해 지출해야 할 군비가 폭증하고, 이라크 내 200만 명을 상회하는 난민 구제 등의 수요로 인해 신규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기에 어려운 상황

 

  1월 20일 현재 국회에 상정된 정부재정안에 따르면, 약 1000억 달러 예산 규모에 200억 달러 적자를 상정

  - 그러나 이 역시 국제유가 60달러를 가정하고 나온 수치이기 때문에, 이라크 국회 일각에서 이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는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내의 프로젝트 시장이 완전히 침체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음.

  - 2014년 9월 출범한 신정부(총리:하이더 알 아바디)는 석유 증산을 통한 경제개발 방침을 명확화했으며 브리티시 페트롤륨 역시 지난해 말, 이라크 남부 루마일라 등 유전에서의 원유 생산량을 2020년까지 현재의 두배가량인 일일 210만 배럴까지 증산할 계획이라고 발표

  - 때문에 적어도 정부가 아닌 민간 부문에서의 발주는 2015년 중에도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

 

  또한 이라크 정부는 추진 중이거나 입안 중인 각종 프로젝트를 전면 취소하기보다는 투자 또는 연지급(Deferred Payment) 방식으로라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음.

  - 따라서 지역 금융기관과 연계해 이라크 프로젝트시장을 진출할 경우, 오히려 과거에 비해 더 쉽게 프로젝트를 수주할 가능성도 있음.

 

  이라크에서 한국 기업의 성가는 매우 높은 편

  - 이라크 정부 공무원은 한국 기업이 추진한 프로젝트가 100% 성공을 거뒀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더 많은 한국 기업이 참여해주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파악

 

  올 한해 일부 어려운 점이 예상되기는 하지만, ISIL 문제가 해결되고 유가가 다시 반등할 때까지 끈기를 잃지 않고 꾸준히 이라크시장을 두드리는 노력이 필요

  - 또한 정부 입찰에만 매달리는 평면적인 접근법보다 한국 또는 지역 금융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창조적 진출방안을 마련할 때임.

 

 

자료원: MEED, 현지 정부인사 면담 등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요르단 주요 쇼핑몰 살펴보기(2) 2015-02-02
다음글 사례로 보는 카타르 진출 2015-02-0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