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스탄불 제3공항 2018년까지 완공하기로 발표

튀르키예 KOTRA 2015/07/15

이스탄불 제3공항 2018년까지 완공하기로 발표

- 제3공항 전체가 완공되면 연 1억5000만 명 항공여객 수용 예상 -

- 최근 환경 및 지형상 논란으로 공사가 지연된 바 있어 -

 

 

 

□ 터키공항공단, 2018년 1분기까지 이스탄불 제3공항 완공 및 운영 개시하기로 발표

 

 ○ 터키공항공단(DHMi) 후세인 일드름 이사장, 7월 5일 언론 인터뷰에서 밝혀

  - 이스탄불 제3공항은 2018년 1분기 2개의 착륙장과 1개의 터미널로 개항할 예정임.

  - 개항 후에도 공사를 지속해 2개의 착륙장이 추가되고 최종 4개의 터미널과 부속시설이 모두 가동되면 연간 1억5000만 명의 방문객을 수용할 것으로 예상됨.

  - 개항 초기 두 번째 터미널 완공 전까지는 국내선과 국제선이 같은 터미널을 이용하게 될 것

  - 터키 국영 은행들이 첫 단계 소요예산 45억 유로 중 35억 유로를 지원, 나머지 10억 유로는 러시아의 Sberbank를 포함한 주요 민간은행들이 조달지원하기로 함.

   · 터키공항공단은 1933년 설립, 터키 공항의 관리, 항공운송의 규정 및 통제를 담당하는 터키 수송부 산하의 공기업으로 그 시설과 장비는 터키 민영항공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음.

   · 이스탄불 제3공항의 최종 완공 시까지 총 소요예산은 100억 유로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

 

 ○ 후세인 이사장, 제3공항 공사가 추가 지연될 것이라는 주장을 일축

  - 최근 제3공항 공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개장이 추가로 지연될 것이라는 주장을 일축함.

  - 그러나 공사를 담당해온 컨소시엄이 공사 부지가 옛 광산지역 상에 위치하고 있어, 몇 가지 문제에 직면한 바 있다고 확인

  - 공사 부지 내 지하 호수가 있다는 주장에 대해 “이러한 문제의 정도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알지 못함. 그러나 공사부지 내 일련의 시추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에는 약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밝힘.

  - 건설부지는 과거에 광산으로 개발된 지역이고 지하호수가 있을 수 있어 시공업체들이 개항 연기 신청을 해온 바 있으나, 이에 관해서도 후세인 이사장은 더 이상의 지연은 없다는 입장을 발표

  - 제3 공항의 건설부지는 이스탄불 북쪽의 산림지역 한 가운데에 위치, 많은 사람들에 잠재적 환경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

 

□ 제3공항 건설 개요

 

 ○ 2013년 Cengiz-Kolin-Limak-Mapa-Kalyon 터키 기업 합작 컨소시엄이 터키 정부에 2017년부터 시작해 25년간 221억 유로를 터키 정부에 납부하기로 약속하고 낙찰받았으며, 2014년 6월 공사가 개시됨.

 

 ○ 제3공항 여객 수요

  - 이스탄불에는 아타튀르크공항(이스탄불 유럽지역 소재, 연간 4500만 명 수용 능력)과 사비하괵첸공항(이스탄불 아시아지역 소재, 연간 1500만 명 수용 능력) 등 2개 공항이 운영돼 왔음.

  - 이들 2개 공항은 유럽과 중동 및 아시아를 연결하는 허브공항들로, 계속 수요가 증가하고 터키의 국적항공사인 터키항공(Turkish Airlines) 또한 규모가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대규모의 제 3공항이 필요하게 됨.

 

 ○ 주요 제기 이슈

  - 제 3공항은 이스탄불 북쪽 50㎞의 테르코스 호수 인근에 건설 중임.

  - 규모면에서 76㎢ 면적에 달하는 대규모 공항으로서 이와 연결될 보스포러스 제3대교 및 고속도로 공사가 연계돼 이루어짐에 따라 삼림 및 자연생태계에 대한 영향 우려가 제기된 바 있음.

 

□ 시사점

 

 ○ 터키공항공단이 공사 진행을 강행하기로 발표한 것은 현재 조정된 2018년 개장 목표가 환경, 지형상의 논란을 이유로 더 이상 연기할 수 없음에 따른 것으로 보임.

 

 ○ 이스탄불 제3공항의 중요성 및 공사 강행의 의지는 올해 2월 다부토울루 총리에 의해서도 이미 확인된 바 있음. 제3공항과 고속도로로 연결될 보스포러스 제3대교 또한 2015년 연내 완공을 목표로 높은 진척도를 보임. 이에 따라 향후 제3공항의 공사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휴리옛데일리, 시공사 사이트,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