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 봉제산업의 현재

캄보디아 KOTRA 2016/11/23

- 급격한 임금 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에도 공장 수, 수출은 늘어 -

- 상대적 저임금을 기반으로 생산성 향상 노력이 관건 -

 

 


□ 캄보디아 봉제산업 개요


  ㅇ 봉제산업은 캄보디아 산업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지난 십수년 간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의 중요 요소 중 하나임. 봉제산업은 약 60억 달러, 캄보디아 전체 수출의 약 80%를 차지하며, 60만 명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음. 캄보디아 봉제협회 추산 589개의 봉제공장이 있으며, 노동자 중 90% 이상이 여성임.


 캄보디아 봉제 섬유 및 신발 수출액

 


 자료원: 캄보디아 상무부


 캄보디아 봉제 섬유 및 신발 주요 수출국 수출액 

external_image 

자료원: 캄보디아 상무부


  ㅇ 캄보디아는 세계 경제 위기에도 지속적으로 투자를 유치하며 수출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이는 낮은 임금과 무역특혜협정이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음. 또 1990년대 봉제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이 시기에 다른 국가의 노동임금이 상승하는 동안에도 캄보디아는 저렴한 임금을 유지했음. 이에 추가로 유렵시장과 미국시장 관세·쿼터면제 등 무역특혜협정이 제공됨으로써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음.   

 

□ 봉제산업 근황

 

  ㅇ 캄보디아는 최근 경제 발전, 노동분쟁, 정치적 영향에 따라 지난 수년간 최저임금이 연 20% 내외로 지속적으로 급격히 상승했으며, 2016년 140달러에서 2017년 153달러로 확정

    - 인근국인 베트남 내 일부 지역보다 캄보디아의 최저임금이 높아졌으며, 베트남은 2017년 인상률이 최저임금 도입이래 가장 낮은 인상으로 타결됨.


최저임금 및 노동자 수 변화 

자료원: 캄보디아 노동부


베트남 지역별 최저임금  

external_image

자료원: 베트남 노동보훈 사회부 


  ㅇ 캄보디아는 지역별 구분 없이 모두 최저임금이 동일함.

 

  ㅇ 한편, 캄보디아 내 근로자들의 노동 분쟁의 횟수가 지난 수년간 증가해옴. 분쟁의 양상은 주로 과거에 근로 여건에 대한 내용에서, 신속한 해결이 어려운 급여나 기타 금전적인 혜택을 요구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 


파업 횟수 변화 

 external_image

 

자료원: GMAC(Gar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in Cambodia)


 법을 잘 지키지 않는 공장 수의 변화 

 external_image

자료원: better factories Cambodia


  ㅇ 교민 업체에 따르면, 급격한 임금 상승과 파업에 따른 납기 지연 등으로, 생산 및 경영상 문제해결이 어려운 일부 업체(sub-con)들이 실제로 폐업하거나, 폐업을 고려 중이며, 일부 기업들은 추가 투자를 보류하기도 하거나 입지 매력이 상대적으로 더 좋은 인근국으로 투자를 이전하기도 함.

 

  ㅇ 한편, 캄보디아 봉제생산자협회(GMAC) 등 현지 봉제 업계에서는 절대적 노동임금도 중요하지만 공장 가동률, 손실률등을 포함하는 임금대비 생산성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생산성 향상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각 공장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특수 부서를 개설하기도 함. 

 

아세안 국가 간 노동 관련 지표 비교

external_image

자료원: ASEAN Community 2015(ILO+ADB, 2014) 


□ 산업 전망

 

  ㅇ 경제 성장에 따른 임금 향상은 불가피한 문제이며, 최저임금 상승 후에도 캄보디아의 노동임금은 방글라데시, 미얀마, 라오스 등과 함께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여 투자자들에 아직은 매력적인 시장임. 따라서 임금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체 공장 수는 오히려 다소 증가했으며, 2016년 상반기 수출도 전년대비 9.4% 증가함.

 

국가별 최저임금 

external_image 

 자료원: ILO Cambodia 


  ㅇ 한편, 최근 미국 GSP 특혜관세 수정안에 따라, 캄보디아산 여행용 제품(짐 가방, 배낭, 핸드백, 지갑 등)이 미국에서 면세 허용을 받으면서 향후 수년 동안 여행상품 생산 및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ㅇ 베트남의 경우, 미국, 일본 등과 함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가입함으로써 섬유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섬유업체들이 베트남 공장 증설에 나서고 있음. 그러나, 국가별 무역 특혜로 인한 절세 또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만큼 캄보디아 업계에서는 유럽, 캐나다발 오더 등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 함. 또한, 베트남에서 충족시키지 못한 물량의 작업이 캄보디아에서 이루어지는 등 봉제 현장에서의 급격한 오더 감소 등은 감지되지 않음. 

 

 

료원: 캄보디아 상무부, 캄보디아 노동부, 베트남 노동보훈 사회부, GMAC(Gar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in Cambodia), better factories Cambodia, ASEAN Community 2015(ILO+ADB, 2014), ILO Cambodia 및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