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카타르, 겨울 캠핑시즌을 공략하라

카타르 KOTRA 2016/12/19


□ 카타르, 겨울시즌 시작과 함께 해안가 캠핑 인기


  ㅇ 카타르는 11월 말부터 3월까지 비교적 온화하고 선선한 날씨를 보여, 해안가를 따라 캠핑을 즐기는 캠핑족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  
    - 현지인들은 주로 해안가에 대형 텐트를 설치해 길게는 수개월씩 장기간 캠핑을 즐기며, 외국인 거주자 및 관광객들은 간편한 캠핑장비를 활용해 여가를 즐기고 있음.


카타르 연평균 기온


자료원: KOTRA 도하 무역관


  ㅇ 카타르 자치환경부(Ministry of Municipality and Environment)는 매년 겨울 캠핑시즌이 다가오는 10월경, 지정된 주요 해안가에 장기간 텐트 설치를 위한 신청을 받고 있음.
    - 신청 자격은 25세 이상의 시민권자(Qatari Citizen)에게 주어지며, 1만 리얄(한화 약 300만 원)의 신청료는 캠핑 기간 종료 후 자연훼손 및 기타 범죄가 없을 경우 전액 반환되고 있음.

    - 자치환경부에서 발표한 2016년 캠핑시즌은 11월 1일부터 2017년 4월 15일로, 지난해 기준 총 23개 지역의 2058명이 신청했으며, 올해는 2500명 이상이 신청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캠핑시즌 도래에 따라 관련 품목 판매 호조세 보여


주요 유통망 캠핑 품목 판매코너 모습  

                                         

자료원: 걸프타임즈(Gulf Times)


  ㅇ 카타르 내 대형 유통망 운영 기업의 관계자에 따르면, 캠핑시즌이 도래하는 10월경부터 캠핑관련 품목의 판매율이 증가한다고 함.

    - 기본적으로 접이식 의자 및 테이블, 텐트, 침낭 등 주요 캠핑용품의 수요와 함께 취사용품, 일회용품, 낚시장비, 충전식 램프 및 배터리, 보온병 등을 찾는 고객도 증가하고 있음.


□ 캠핑용품 수입동향


카타르 HS Code 6306(방수포, 천막 및 차양막, 텐트 등) 수입동향

                                                                                                                                                      (단위: 달러) 

순번

국가명

2013

2014

2015

1

쿠웨이트

2,296,080

2,553,735

2,321,015

2

파키스탄

1,520,199

1,157,014

736,538

3

사우디아라비아

789,638

870,957

825,617

4

중국

710,959

1,699,940

2,021,735

5

아랍에미리트

294,563

389,969

387,970

6

네덜란드

193,417

447,951

433,454

7

인도

189,076

162,431

463,206

8

한국

162,805

352,688

347,714

9

기타

983,099

1,343,043

1,984,793

합계

7,139,836

8,977,728

9,522,042

자료원: 카타르통계청


  ㅇ HS Code 6036류의 수입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15년 기준 952만 달러로 2013 714만 달러 대비 약 33% 성장함.

    - 해당 품목군은 매해 쿠웨이트에서 가장 많은 규모로 수입해오고 있으며, 2015년 중국산 제품의 수입은 2013 대비 184%나 증가한 모습을 보임.

    - 한편, 한국산 제품의 수입은 전체 수입시장의 5% 미만을 점유하고 있으나, 2015년 수입규모는 2013년 대비 2배 이상 증가


 시사점


  ㅇ 매년 거주 및 관광 인구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카타르의 캠핑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할 전망

    - 중저가 제품군의 수요는 지속 증가할 전망이며, 마니아층을 대상으로한 고급 및 특수 캠핑용품의 진출도 기대됨.

 

  ㅇ 캠핑용품에 대한 특별한 수입규제는 존재하지 않으나, 카타르 바이어들이 인근국 수출경험 및 국제인증 보유 제품을 선호하고 있어, 수출경험 및 보유 인증을 적절히 활용해 시장 진출을 준비해야 할 것


   

자료원: 걸프타임즈(Gulf Times), 페닌슐라(Peninsula), 자치환경부(Ministry of Municipality and Environment), 카타르통계청 및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