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제르바이잔 조선산업 동향

아제르바이잔 KOTRA 2017/03/07

□ 정책 동향


  ㅇ 현지 정부는 석유 의존경제* 탈피를 위해 산업 다변화 정책을 추진 중. 이를 위한 우선 과제에 '해운업' 및 '해양인프라' 산업 발전**이 정책에 포함됨.

    * 석유가스산업이 전체 GDP의 약 45%, 총 수출의 90%를 차지

    ** 2016-2020 국가발전계획을 통해 세부 계획 수립


  ㅇ 선박 현대화, 조선업 발전, 물동량 확대, 해양 활동의 강화 등을 통해 해운업 및 해양 인프라 개발을 추진

    - 세부 방안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카스피안 선박(Azerbaijan Caspian Shipping)사를 세계적인 운송회사로 탈바꿈시키고 해당 회사가 소유한 Bibiheybat 항만, Zykh 선박정비소*를 대대적으로 정비함.

    * Bibiheybat는 2016~2018, Zykh 2016~2020년 기간 개보수 및 현대화

    - 한편, 2010년 대통령령으로 설립된 바쿠 조선소(Baku Shipyard)를 중심으로 자국 조선업 발전 병행 추진 중


□ 조선·해양 분야 주요 기업


  ㅇ 현지에는 조선소 2개사, 운송사 1개사, 중소 선박 정비소 5개사 등이 있음.


  ① 바쿠 조선소(Baku Shipyard)


  ㅇ 개요: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65%, 이하 SOCAR), 아제르바이잔 투자회사(25%), Keppel Offshore & Marine(10%) 합작으로 2011년 설립된 조선소. 아제르바이잔 최대 조선소임. 


  ㅇ 주요 사업: 각종 선박 건조*, 정비, 선박 변형 및 해양 엔지니어링

    * 해양 및 근해용 선박(Cargo Vessel, Tankers, AHTS, PSV, Crew Boat, Crane Vessel 등)


  ㅇ 특이사항: 한국 조선기자재 사절단 수용 의사 확인(2016년 11, 12월)


 

  ㅇ 홈페이지: www.bakushipyard.com  


  ② 카스피안 조선소(Caspian Shipyard, CSC) 


  ㅇ 개요: 1997년에 설립된 조선소. 주주는 SOCAR(20%), 싱가포르 AzerFels Pte ltd(75%), 네덜란드 Lukoyl Europe Holding B.V(5%)로 구성 국영기업으로 현지정부의 방침으로 최근에는 조선 건조보다는 해운기업으로 탈바꿈 중

    - 최근 바쿠 조선소로의 선박 발주 실시(페리선, 유류선 각 2척, 2016년 11월) 


  ㅇ 주요 사업: 선박 수리, 유지 외 유정 굴착정비 및 서비스 등 


  ㅇ 특이사항: Bibiheybat 항만 내 위치 


  ㅇ 홈페이지: www.socar.az/socar/en/company/joing-ventures/caspian-shipyard-company-llc 


  ③ 아제르바이잔 카스피안 선박(Azerbaijan Caspian Shipping CJSC) 


  ㅇ 개요: 대형 선사*간 합병으로 설립된 해운사. 총 98개사의 선박 보유

    * Azerbaijan state Caspian sea shipping, Caspian sea oil fleet


  ㅇ 주요 사업: 해상운송


  ㅇ 특이사항: Bibiheybat 항만, Zykh 선박정비소 보유 


  ㅇ 홈페이지: www.acec.az  


  ④ 중소 선박 정비소

    - TechMarine LTD(www.techmarine-az.com) 

    - Dalgidj(www.dalgidj.com)

    - AS LTD(www.as-ltd.az)

    - Caspian Marine Service(www.caspmarine.com)

    - SAGA Ship repair(www.saga-service.com) 


 

□ 조선기자재 수입 동향


  ㅇ 주요 품목 기준 시 독일, 영국, 미국산 조선기자재의 수입이 많음. 


  ㅇ 일부 품목에서 한국산 제품은 소량 수입 중임.


  ㅇ 유럽산 대비 가격 경쟁력을 보유한 국산기자재 수출 가능성 다대 예상 


2015년 아제르바이잔 조선기자재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HS Code

842121

840810

840721

840729

825691

8481

수입 총액

17,261.8

9,616.2

238.7

3,316.4

1,661.7

263,711.8

1

(수입액)

독일

(7,626)

독일

(5,106)

일본

(173)

터키

(2,718)

미국

(636)

이탈리아

(135,501)

2

(수입액)

영국

(4,149)

이탈리아

(3,435)

미국

(65)

영국

(589)

독일

(331)

영국

(50,504)

3

(수입액)

이탈리아

(1,563)

노르웨이

(1,041)

우크라이나

(0.2)

독일

(3.6)

멕시코

(276)

미국

(22,734)

한국

(수입액)

20

(29.8)

수입 없음

수입 없음

수입 없음

17

(4.0)

8

(3,677)

HS Code

848710

731210

731290

854449

852610

848790

수입 총액

1633.0

14511.6

2093.5

48,326.8

1,811.6

2,938.0

1

(수입액)

중국

(1,530)

영국

(7,104)

영국

(761)

터키

(23,204)

독일

(422)

중국

(1,498)

2

(수입액)

스페인

(92)

말레이시아

(2,671)

네덜란드

(306)

이탈리아

(13,662)

이탈리아

(421)

영국

(1,316)

3

(수입액)

독일

(6)

이탈리아

(990)

터키

(232)

영국

(3,212)

미국

(239)

미국

(39)

한국

(수입액)

수입 없음

5

(545)

10

(58.1)

6

(948)

수입 없음

수입 없음

 자료원: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ㅇ 세금 : 통상 관세 10~15%, 부가가치세 18%

    - 일부 품목인 경우 관세면제(840810), 0.5% 적용(840721, 8487류)

 

□ 시사점 및 전망

 

  ㅇ 국가 주도의 개발정책 추진을 통해 카스피해를 중심으로 한 해운업 및 해양 인프라 산업 발전이 전망됨.

    - 석유 의존경제를 벗어나기 위해 국가의 비석유 분야 투자는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해양 산업은 개발 중점 분야 중 하나임.

    - 조선, 해양 엔지니어링 등 해양 관련 산업 분야 시장의 확대가 예상돼 장비 및 기자재 수출 가능성이 있음.

 

  ㅇ 조선기자재 등의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수출을 위한 적극적인 시장 진출 필요

    - 현지 최대 조선소인 바쿠 조선소(Baku Shipyard)에서 한국 조선기자재 무역사절단 수용 의사를 확인(외강재, 선박용 케이블 등 소싱희망)

    - 단, 아제르바이잔이 현재 경제위기를 겪고 있음을 고려해 독일, 영국 등 유럽산 대비 가격 경쟁력 확보가 필요


  ㅇ 중고 선박 수출도 유망할 것으로 예상됨.

 

□ 참고사항: KOTRA 바쿠 무역관과 경남조선기자재협동조합은 2017년 8월 조선기자재 무역사절단 추진 확정

 

 

자료원: KOTRA 바쿠 무역관,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아제르바이잔, 주요 원유가스전 현황 2017-03-07
다음글 아제르바이잔 조선시장 노려라 2017-03-1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