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비료산업 동향 및 전망

베트남 KITA 2017/07/12

베트남 비료산업 동향 및 전망
- 비료시장 명(明)과 암(暗) 및 향후전망 - 

 

 1. 베트남 비료산업 개황

 

 □ 비료산업 규모 및 소비

 

  o 베트남의 비료 산업은 성장률 둔화와 과잉설비로 알 수 있듯이 성숙 국면에 있음

 

  o ’09~’13년 연간성장률이 8.6%에 달했지만, ’14년부터는 약 4%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성숙단계로 들어선 것으로 판단됨

 

  o ’15년 FPTS에 따르면 시장 규모는 약 1100만 톤임

 

   - 정확한 통계가 없지만, 추정 비료 소비량은 요소비료(urea) 220만톤, 용성고토인비(P) 180만 톤, 포타슘(K) 96만 톤, 질소인비료(DAP) 90만톤, 황산암모니움비료(SA) 90만톤, 질소, 인, 카리 복합비료(NPK) 400만 톤임 

 

비료 종류별 비중

 

                                                     

자료: FPTS, 2015

 

 □ 수출입 동향

 

  o ’12~’16년 연간 비료 수입은 4백만 톤 수준을 오감

 

   - ’16년 최대 수입 비료는 황산암모니움비료(SA)로 전체 수입의 25.6%에 달했으며, 이어 질소인비료(DAP)가 19.7%, 요소비료(urea)가 14.8%를 차지

 

   - 최대 수입 시장은 중국으로 전체 수입의 46.1%를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러시아가 11.1%, 벨라루스가 6.5%를 차지

 

  o 베트남의 비료 수출은 ’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6년 수출은 746,000톤에 그침

 

   - 질소, 인, 카리 복합비료(NPK), 요소비료(urea), 질소인비료(DAP)가 베트남의 주로 수출되는 비료임

 

   - 캄보디아가 베트남 비료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전체의 34.6%를 차지하며, 뒤를 이어 對한국 수출비중은 11.4%, 對말레이시아 11.3%, 그리고 對필리핀 수출비중은 10.6%로 나타남

 

’12-’16년 베트남의 비료 무역 (톤)

 

 

  자료: 베트남 세관

 

2. 시장 분류 및 주요업체 현황

 

 □ 시장분류

 

  o 비료는 크게 유기비료(organic)와 무기질비료(inorganic)로 나뉨

 

   - 유기비료는 거름, 낙엽, 퇴비와 같이 식물 혹은 동물성 성문을 기반으로 하며 무기질 비료 혹은 합성비료는 인공적으로 제조됨

 

   - 무기질 비료는 함유된 영양소의 개수에 따라 단일 영양소를 함유한 속효성비료(straight fertilizer)와 여러 종류의 영양분을 함유한 복합영양비료(Multi-nutrient fertilizer)로 분류됨

 

  o (속효성비료(Straight fertilizers)) 잎의 성장을 돕는 질소(N)와 뿌리·꽃·씨 및 열매의 발달에 기여하는 인(P), 줄기의 성장 및 물의 이동, 개화와 열매 맺기를 촉진하는 포타슘이 주요 성분임

 

   - (질소비료) 베트남에서 가장 흔한 질소비료는 요소비료(urea)로 하박(Ha Bac) 비료공장, 닌빈(Ninh Binh) 비료공장, 푸미(Phu My) 비료공장, 까마우(Ca Mau) 비료공장에서 제조됨

 

   - 기타로 100% 수입되는 황산암모니움비료(SA)가 있으며 황산염(S)이 단백질 합성을 포함한 식물의 기본적인 기능을 도움

 

   - (인산염 비료) 인산염 비료의 대부분은 과인산비료(superphosphate), 용성고토인비(FMP: fused-magnesium phosphate), 질소인비료(DAP)임

 

  o (복합영양비료-Multi-nutrients fertilizers) 질소, 인, 카리 복합비료(NPK)가 가장 많이 쓰이며 복합 영양비료가 널리 이용되기 때문에 다수의 생산업체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음


 □ 품목별 주요 생산업체 

종류

주요 생산업체

과인산비료 (superphosphate)

Lam Thao Fertilizers & Chemical, Southern Fertilizers & Chemical

용성고토인비(FMP)

Van Dien FMC, Ninh Binh Phosphate Fertilizer, Lam Thao

질소인비료(DAP)

DAP Dinh Vu DAP Lao Cai를 운영하는 DAP Vinachem 유일

포타슘 비료

탄산칼륨(potash) 매장량이 없어 포타슘 비료는 전량 수입에만 의존함

복합영양비료

Lam Thao, Binh Dien, Southern Fertilizer

 

비료 종류 분류 및 주요 생산업체

 

 

자료: FPTS


3. 원료공급 및 유통 체계

 

 □ 가스 공급 업체

 

   o 비료 원자재는 페트로베트남(PVN)社, 비나코민(TKV)社, 비나켐(Vinachem)社에 의해 제공되는 가스, 석탄, 인회석 등이 있음

 

   o 가스는 요소비료(urea)의 원료로써, 요소비료 공장은 10억이 넘는 가스를 소비하고, 이는 전체 가스 생산량의 11%에 해당됨 

 

    - Phu My Fertilizer는 Bach Ho 및 Cuu Long 지역에 있는 유전에서, Ca Mau Fertilizer는 ‘PM3-Ca Mau'에서 원료를 공급받음

 

    - Phu My Fertilizer 가스가격은 글로벌 연료유(Fuel Oil) 가격에 연동되어 있고, Ca Mau Fertilizer의 가스가격은 평균 ROE가 12%인 수준에서 정해짐

 

베트남의 주요 유전

 

자료: PV Gas

 

 □ 석탄 및 인회석 공급 업체

 

   o 석탄의 가스화 과정은 요소비료(urea) 생산과정에서 반제품인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데 이용됨

 

    - 비나코민(TKV)社는 요소비료(urea) 생산 공장인 Ha Bac社와 Ninh Binh Fertilizer社에 석탄을 공급함

 

    - 베트남 석탄 가격은 시장 가격이 아닌 정부 지시 가격에 기초하며 베트남 국내 석탄의 가격은 국제 가격에 비해 낮게 책정되는 편임

 

    - 용성고토인비(Phosphate) 생산업체들 또한 비나코민(TKV)社의 단골 고객임

 

   o 인회석은 주로 용성고토인비(Phosphate) 생산에 사용됨

 

    - 인회석은 주로 Lao Cai 지역에 매장되어 있는데, Vinachem社가 채굴 및 관리를 하고 있고, 풍부한 매장량과 채굴 제한으로 생산 규모는 비교적 안정적인 편임

 

 □ 유통

 

   o 비료 유통은 도·소매업자, 지역회사를 통하거나 직접 판매로 이루어짐

 

    - 제품의 유통에는 매우 많은 중간상이 연관되어 있어 제품의 품질과 가격 통제에 어려움을 가중시킴

 

    - 모조(fake)비료는 비료의 화학 성분에 있어 대개 기준을 충족하지 못 함

 

    - 비료 가격은 원료가격의 상승 혹은 공급부족으로 인해 크게 변동하는 편임  


4. 비료시장 경쟁(Competition) 분석

 

 □ 시장별로 상이한 경쟁 정도

 

   o (공급자 교섭력) 석탄, 가스, 인회석 등 1차 공급 원료가 국유기업에 의해 독점생산 되기 때문에 공급자의 교섭력은 강함

 

    - 비료 생산에 필요한 2차 원재료를 생산하는 공급자는 선택의 여지가 더 큼

 

   o (소비자 교섭력) 비료 제품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농부, 비료 업체 등 다양한 최종 소비자의 영향력이 큰 편임

 

   o (경쟁자 진입의 위험) 일반적으로 요소비료(urea), 용성고토인비(Phosphate), 질소인비료(DAP) 등은 원재료를 구하기 쉽지 않고, 비료 생산은 큰 규모의 초기 자본과 발전된 기술이 필요하므로 진입장벽이 매우 높음

 

    - 단, 복합비료(NPK)는 원재료가 흔하기 때문에 경쟁자의 시장 진입이 용이함

 

   o (대체제 위험) 무기질비료는 유기농 및 미생물비료(microbial) 등 다른 비료로 대체가 가능

 

    - 유기농비료는 무기질 비료에 비해 환경 친화적이지만 품질 검증이 쉽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미생물비료는 토양에 이롭지만 비료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림

 

   o (종류별 상이한 경쟁 수준) 베트남 현지 요소비료 생산업체는 4개, 질소인비료(DAP) 제조업체는 2개로 경쟁이 치열하지는 않은 편임

 

    - 하지만, 복합비료(NPK) 비료의 경우 생산 공장이 많아 비료 생산업체간 경쟁이 심함

 

    - 일부 비료는 현지생산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값싼 비료를 수입하여 시장을 왜곡시키고 있음

 

5. 비료산업 성장의 명(明)과 암(暗)

 

 □ 성장요인

 

   o 베트남 비료 산업은 왕성한 농업분야에 의해 주도됨

 

    - 베트남 농업은 2,300만 명이 종사하는 주요 분야로, 삼림과 수경재배지를 제외한 농지는 1,020만 헥타르에 달함

 

    - 베트남 비료 소비는 태국(152.3kg/ha), 필리핀(183.1kg/ha), 인도네시아(211.8kg/ha) 등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 비교하여 많은 152.3kg/ha임

 

   o 베트남 인구가 약 1억명에 달해 농업 및 비료에 대한 수요가 막대함

 

    - 베트남 정부는 첨단기술을 활용하며 자연친화적인 농업을 개발할 계획이며 시장의 규모와 농산물 소비 증대 노력은 베트남의 비료 산업에 유리함

 

 □ 장애요인

 

   o 베트남 비료산업은 과도한 수입으로 인한 공급과잉, 비료 가격 하락, 불리한 세금 정책 등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베트남에서 생산하는 비료로 용성고토인비(Phosphate), 요소비료, 복합비료(NPK)의 수요를 충족하지만, 수입되는 비료로 과잉공급의 문제에 직면함

 

    - 비료 가격은 주로 작물 가격과 관련성이 큰데, 작물 가격은 한동안 하락세를 보여 와서 비료 가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함

 

    - 최근 메콩 강 삼각주(Mekong Delta) 염수 침입과 같은 자연재해는 비료 소비를 감소시킴

 

6. 향후 전망
 
 □ 가격 전망

 

   o 세계은행(WB)은 ’17년 글로벌 비료 가격이 전년 대비 1% 상승할 것으로 전망

 

    - 요소비료(urea) 가격은 미국 수요와 중국의 공급제약에 맞물려 15% 상승 전망됨

 

    - 대부분의 다른 비료 가격은 계속되는 공급과잉으로 인해 감소할 것으로 예상
 
   o 베트남 비료산업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은 부가가치세(VAT) 정책과 글로벌 가격보다 높은 베트남 현지의 석탄 가격임
 
 □ 정책 환경 전망

   o 베트남 정부는 비료 생산과 유통 촉진에 관한 규정을 제정(Decision No. 6886/QD-BCT, 2010)

 

    - 요소비료는 현존하는 시설을 이용해 국내 수요를 충족하는 정책방향이며, 용성고토인비(혹은 과인산 비료, FMP 비료) 공장 건립이나 확장을 장려하고 있지 않음

 

    - 복합비료(NPK)는 낙후된 기술과 저품질 비료들을 단계적으로 시장에서 사라지도록 재정비할 계획임

 

    - 질소인비료(DAP) 생산시설은 국내 시장수요 충족을 위해 현존 공장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공장 건립을 장려

 

    - 황산암모니움비료(SA)는 해외투자를 통해 베트남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할 계획

 

   o ’15년 1월부터 발효된 베트남 법(Law No. 71/2014/QH13)에 따르면 비료는 부가가치세 납부 면제 품목으로 비료 생산업체들은 부가가치세 환급의 대상이 아님

 

    - 비료 생산업체 Lam Thao Fertilizer & Chemical社은 부가가치세로 500억~600억 VND를 납부하였으나 ’15년 개정법 발효 후 부가가치세 환급 자체가 안 되어 전체적으로 1,800억 VND를 납부

 

□ 수출입 전망

 

   o ’17년 비료의 자동 수입 허가가 폐지되면서, 중국으로부터의 막대한 비료 유입이 차단됨

 

   o 베트남 비료 회사들은 중국의 수출세 인하 정책에 대항하여 비료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 부과를 베트남 정부에 요청

 

    - ’17년 중국은 요소비료(urea)의 수출세를 톤 당 80RMB에서 톤 당 0RMB로 낮추고, 질소인비료(DAP) 수출세를 톤 당 100RMB에서 0RMB로, 복합비료(NPK) 수출세는 30%에서 20%로 인하

 

   o 하지만, 수입기간, 수입으로 인한 해당산업에의 심각한 영향의 존재 여부 측면에서 베트남 정부가 세이프가드 조치를 부과할 가능성은 낮은 편인 것으로 사료됨

 

    - 중국으로부터의 비료 수입은 ’17년 1/4분기에 급증했기 때문에 수입으로 인해 비료 시장에 영향을 끼친 기간이 충분히 길지 않음

 

    - 이미 ’16년 10월 베트남공정위(VCA: Vietnam Competition Authority)는 비료 수입이 국내 비료생산업체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음

 

    < 끝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