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EV(전기자동차) 정책으로 날개 다는 인도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

인도 KOTRA 2017/10/11

2017-09-29 김태룡 인도 첸나이무역관

- 꾸준히 성장하는 인도 배터리 시장, 인도 정부의 EV정책과 함께 급성장 전망 -

-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에 부는 Make in India -

 

 


□ 인도 배터리 시장동향

 

  ㅇ 시장규모와 특성

    - 수입에 의존하는 인도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은 전자제품 제조업에 사용되는 저가 중국산 제품과 단발성 프로젝트(태양광 발전소, 풍력발전소, ESS(에너지 저장시스템) 등 프로젝트 수요에 따라 변동 폭이 큰 산업용 배터리 시장으로 나뉘어져 있음. 지난 4년간 수입 평균액은 2억2600만 달러 규모임.

    - 3월까지의 리튬이온 배터리 수입액은 전년대비 19.94% 성장했으며, 이는 전기차분야의 영향보다는 인도 내 휴대전화 생산량 증가에 따른 증가로 추정됨.


2016~2017년 인도 수입동향(HS Code 850760)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인도 상공부

 

  ㅇ 인도 정부의 EV(전기차) 정책

    - 인도 정부는 현재 친환경 자동차산업 육성을 위해 2015년 4 FAME-India 제도*를 도입함. 2016년에 3900만 달러, 2017년에 8025만 달러를 배정했으며 2018년에 2700만 달러를 증액해 총 1억5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

    * FAME: Faster Adoption and Manufacturing of Hybrid & Electrical Vehicles in India

    - 지난 5월 인도 정부 싱크탱크인 NITI Aayog에서 발표한 'INDIA LEAPS AHEAD: TRANSFORMATIVE MOBILITY SOLUTIONS FOR ALL'을 통해 2030년부터 인도에서 판매되는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바꾸는 내용을 포함한 대대적인 변호를 제안함.

    - 인도 정부는 기존의 FAME-India 제도의 기간을 연장하며 후속 정책에 대한 준비를 시작했으며, 빠르면 4분기 초 NITI Aayog의 발표에 따른 정책플랜을 발표할 전망

    - 시장조사기관 BMI의 인도 배터리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가전제품 및 프로젝트 중심의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은 EV시장의 형성과 함께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


  ㅇ 현지 업계 반응

    - 시장조사기관 BMI에 따르면 올 9월 인도 Mahindra &Mahindra와 미국 Ford Motor는 전기차 관련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으며, 현지 언론들은 Isuzu 등 일본 기업들과 중국의 BYD, 상하이자동차 역시 관련 시장진입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음을 보도했음.


  ㅇ 한국의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동향

    - 한국의 대인도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액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최근 3년간 연평균 98.6%의 높은 성장률을 보임. 하지만 현재까지는 EV 관련한 별다른 동향은 보이지 않으며, 중국 등에 비해는 인도 내에서 직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비함.

 

한국의 리튬이온 배터리(HS Code 850760) 인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K-stat

 

□ 전망  
 

  ㅇ 인도 수출 전망

    - 단기적으로는 인도 국내 생산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하지만 시장조사 전문기관 BMI에 따르면, 높은 수요에 따라 인도 내 배터리 공장 투자가 증가할 전망. 이에 해외기업과 인도 기업의 합작 또는 자체 생산능력 확보에 따라 점차적으로 인도 현지 생산제품이 증가하고 수출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측됨. 다만, 현지 생산시설 도입과 정상적인 운영 및 품질 안정화 단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인도 정부의 정책에 따른 시장수요 변화에 따라 그 시기는 다소 변동이 예상됨.

 

  ㅇ 수입 관세 상향 및 비관세 장벽

    - 현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관세는 10%(-인도 CEPA 0%), 교육세 3%, IGST 28%(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입의 경우 5%)가 부과되고 있음. IGST 28%는 인도 GST제도에서 가장 높은 세율로 인도 정부의 관련 산업 육성의지를 보여주고 있음. , 인도 정부가 적극 추진 중인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는 낮은 세율을 유지하고 있음.

    - 인도는 Make in India 정책을 펼치며 과거 낮은 관세를 유지하던 관련 부품들의 관세를 상향 조정한 바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 역시 같은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측됨. 이와 함께 비관세장벽을 통한 자국산업 보호 역시 인도 정부가 선호하는 방식으로 BIS를 통한 관련 인증강화 조치가 잇따를 것으로 보임.

 

□ 시사점

 

  ㅇ 리튬이온 배터리 업체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한-인도 CEPA 등을 활용한 수출로 시장선점 전략이 유효함.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Make in India 전략에 발맞추어 현지생산 또는 현지 업체와의 JV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


  ㅇ 인도의 EV 도입은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 등을 중심으로 우선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상용차용 제품의 단기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전기버스 상용화 관련 현지 보도

external_image

자료원: The Times of India, Econmictimes


  ㅇ 특히 인도 1위의 상용차 제조회사인 Ashok Leyland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해외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바라고 있음을 밝힘. 첸나이 무역과 자체조사 결과, 현재 Ashok Leyland에서 시험 중인 전기버스의 경우 미국 Vvalence사의 제품을 사용 중이나 높은 단가로 인해 대량생산의 장애물로 작용

 


자료원: NITI Aayog, BMI, 인도 상공부, K-stat, The Times of India, Econmictimes, KOTRA 첸나이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