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우크라이나에는 어떤 한국 식품들이 판매될까?

우크라이나 KOTRA 2017/12/15

2017-12-15 최기현 우크라이나 키예프무역관

- 다양한 식료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한국 식품 진출 가능성 -

 



□ 시장동향


  ㅇ 우크라이나에 국내 및 외국계 대형 유통업체가 진출한 후, 해당 업체들이 2016년 기준 식품유통 매출의 52%를 차지함. 이들은 기존의 시장 및 가판 판매 위주의 유통구조를 다변화시키고 있음.


  ㅇ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음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

    - 우크라이나에서 약 1100만 명이 사용하는 Facebook, Instagram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아시아 음식점 및 아시아 음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

    - 우크라이나에는 기존에 진출해 현지화에 성공한 일식에 이어, 아시아 음식(베트남, 태국, 한국, 중국식)에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

 

□ 수입 현황


  ㅇ 우크라이나로의 한국 식품 진출은 더딘 상황으로 최근에 들어서야 한국산 김이 수입됨.

    - 주로 러시아 및 중국에서 수입했으나 러시아와의 관계가 악화됨. 2017년 3분기에는 한국 및 중국이 시장의 약 95%을 점유함.

    - 2016년부터 한국산 김 수입을 시작. 최근 경제회복세 및 아시아 음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높은 성장률을 기록

 

우크라이나의 김 수입 규모(HS Code 1212.21)

(단위: 천 달러, %)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17/'16)

2015

2016

2017(3Q)

2015

2016

2017(3Q)

총계

1,020.39

1,092.92

1,193.07

100

100

100

49.9

중국

976.45

1,057.13

796.09

95.69

96.73

66.73

2.7

한국

0

1.89

347.66

0

0.17

29.14

41,837.8

일본

0.03

8.81

30.74

0

0.81

2.58

1,502.6

폴란드

0

1.35

14.1

0

0.12

1.18

944.4

체코

0

0

3.06

0

0

0.26

0

영국

0

0

1.33

0

0

0.11

0

미국

0

0

0.08

0

0.05

0.01

-86

프랑스

6.90

0.24

0.02

0.68

0.02

0

-86.1

이탈리아

0

2.72

0

0

0.25

0

-100

러시아

29.46

20.23

0

2.89

1.85

0

-100

주: 순서는 2017년 3분기 수입액 기준

자료원: WTA

 

□ 우크라이나 대형매장에서 판매하는 한국 식품


  ㅇ 우크라이나 시내에 위치하는 현지 대형매장(Auchan, Silpo, Mega Market)에 방문해 판매하고 있는 한국산 식품을 조사함.

    - 아직까지 한국 음식이 잘 알려지지 않아, 초코파이를 비롯한 과자류 및 김 종류만 판매 중

    - 타국에서 판매가 활발한 한국산 라면, 양념류 등 요리용 식품은 우크라이나에서 볼 수 없음. 일본산, 중국산, 태국산 제품만 판매 중인 상황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체 촬영


□ 전망 및 시사점


  ㅇ 우크라이나 인들의 아시아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현지 바이어의 특성상 제조사와 직접 거래하는 방식을 선호하며, 아직은 한국 식품의 인지도가 낮아 소량만 구매하는 경향임.


  ㅇ 매년 10월 키예프에서 열리는 월드 푸드 전시회(World Food Ukraine)와 같은 전시회 참가 및 현지 유통업체와의 상담하기를 추천함. 현지 시장 파악 및 한국 식품을 알릴 수 있어 진출전략 수립의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WTA, 기타 관련 뉴스자료,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