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18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시장 전망

우크라이나 KOTRA 2018/03/29

2018-03-08 박대희 우크라이나 키예프무역관

-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 2012~2017년 연평균 8.6% 성장 -

- 아디다스, 나이키와 같은 다국적 브랜드가 이미 우크라이나 시장을 장악 -




□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은 2012~2017년 연평균 성장률이 8.6%에 달할 정도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품목별로는 캐주얼 신발(12.4%), 캐주얼 의류(10.4%), 기능성 신발(9.1%) 순으로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2012~2017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 성장률 분석표

구분

2016/17년 
성장률(%)

2012/17년 
성장률(%)

2012~2017년 
연평균 성장률(%)

 운동복

15.3

39.4

6.9

    - 기능성 의류

14.3

30.3

5.4

    - 아웃도어 의류

11.6

1.7

0.3

    - 캐주얼 의류

17.6

63.9

10.4

 운동화

15.6

63.6

10.3

    - 기능성 신발

14.8

54.5

9.1

    - 아웃도어 신발

12.7

14.9

2.8

    - 캐주얼 신발

16.4

79.6

12.4

총계

15.5

51.2

8.6

자료원: Euromonitor


   2017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시장규모는 2016년 대비 15.5% 성장한 205억 흐리브냐(약 7억4000만 달러) 기록

    - 운동복 시장규모는 97억 흐리브냐(약 3억5000만 달러), 운동화 시장규모는 108억 흐리브냐(약 3억9000만 달러) 기록


2012~2017년 품목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시장규모

(단위: 백만 흐리브냐)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운동복

6,989.20 6,285.20 7,322.70 7,296.10 8,447.40 9,739.70

    - 기능성 의류

2,054.40 1,763.90 2,103.30 2,033.10 2,341.70 2,677.30

    - 아웃도어 의류

1,649.30 1,395.80 1,458.90 1,360.40 1,502.60 1,676.80

    - 캐주얼 의류

3,285.40 3,125.40 3,760.50 3,902.60 4,603.10 5,385.60

운동화

6,634.40 6,074.80 6,808.90 7,349.40 9,385.90 10,853.60

    - 기능성 신발

1,613.10 1,393.00 1,582.40 1,700.40 2,169.60 2,491.50

    - 아웃도어 신발

1,013.00 863.9 831.4 819.1 1,033.20 1,164.20

    - 캐주얼 신발

4,008.30 3,817.90 4,395.20 4,829.90 6,183.20 7,198.00
총 합계 13,623.50 12,360.00 14,131.60 14,645.50 17,833.40  20,593.3

자료원: Euromonitor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은 2014년 우크라이나 동부지역 사태에도 불구,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이러한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 성장은 크게 3가지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첫째, 우크라이나 경기가 회복세와 함께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소비자들의 구매 활동 증가

    - 둘째, 건강 및 운동에 대한 우크라이나 대중들의 관심 확대

   - 셋째, 애슬레저(Athleisure) 트렌드 확산에 따른 스포츠웨어 용품에 대한 관심 확대


 

 애슬레저(Athleisure)란?

 - 애슬레틱(athletic)과 레저(leisure)를 합친 스포츠웨어 용어로, '가벼운 스포츠웨어'라는 의미

 - 일상에서도 편안한 스포츠웨어 차림을 하는 현대인의 추세를 반영해, 일상생활과 레저를 동시에 즐기면서도 스타일까지 연출할 수 있는 의상을 애슬레저 룩(Athleisure Look)이라 함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캐주얼하면서도 착용감이 좋은 스포츠 의류(애슬레저 룩)를 선호하는 경향이 확대되는 추세임. 하기 사진과 같은 복장을 한 젊은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음.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애슬레저 룩(Athleisure Look)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키예프 무역관


  ㅇ 또한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해 일반 스포츠용품 브랜드뿐만 아니라 Columbia, Timberland와 같은 유명 활동복 브랜드, SPA 브랜드까지도 애슬레저 트렌드에 맞는 의상을 선보이고 있음.


□ 수입동향


   우크라이나 스포츠용품은 주로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방글라데시와 같은 동 아시아 국가에서의 수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인건비가 저렴하고 제조 공장이 위치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많음.

    - 한편,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됨.


   운동복(HS Code 6112) 수입의 경우 2017년 기준 중국(51.81%), 캄보디아(8.43%), 이탈리아(7.99%)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은 없는 것으로 조사됨.


2015~2017년 우크라이나의 운동복(HS Code 6112) 수입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

전체

4.177

5.722

5.720

100.00

100.00

100.00

-0.03

1

중국

2.205

2.290

2.964

52.79

50.62

51.81

2.33

2

캄보디아

0.458

0.414

0.482

10.97

7.24

8.43

16.42

3

이탈리아

0.530

0.881

0.457

12.68

15.40

7.99

-48.11

4

폴란드

0.042

0.164

0.333

1.00

2.86

5.82

103.48

5

베트남

0.160

0.342

0.254

3.82

5.98

4.45

-25.70

6

방글라데시

0.059

0.152

0.195

1.40

2.66

3.41

28.17

7

스리랑카

0.089

0.144

0.160

2.13

2.51

2.80

11.63

8

인도네시아

0.213

0.117

0.153

5.11

2.05

2.68

30.82

9

크로아티아

0.016

0.095

0.134

0.39

1.66

2.34

41.06

10

세르비아

0.011

0.039

0.085

0.27

0.68

1.49

120.00

51

대한민국

0.000

0.000

0.000

0.00

0.00

0.00

0.00

자료원: WTA


   운동화(HS Code 6404) 수입의 경우 2017년 기준 중국(56.74%), 베트남(26.33%), 인도네시아(6.82%) 순으로 나타났음.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은 매우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2015~2017년 우크라이나의 운동화(HS Code 6404) 수입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

전체

37.456

51.038

51.318

100.00

100.00

100.00

0.55

1

중국

26.992

30.572

29.120

72.06

59.90

56.74

-4.75

2

베트남

5.234

12.221

13.509

13.98

23.95

26.33

10.54

3

인도네시아

2.094

3.701

3.498

5.59

7.25

6.82

-5.48

4

프랑스

0.161

0.860

0.705

0.43

1.69

1.37

-18.03

5

태국

0.312

0.326

0.605

0.83

0.64

1.18

85.43

6

터키

0.326

0.387

0.597

0.87

0.76

1.16

54.23

7

이탈리아

0.756

0.428

0.587

2.02

0.84

1.14

36.92

8

캄보디아

0.117

0.273

0.536

0.31

0.54

1.05

96.45

9

폴란드

0.170

0.361

0.322

0.45

0.07

0.63

-10.74

10

루마니아

0.194

0.116

0.223

0.52

0.23

0.45

100.09

35

대한민국

0.032

0.017

0.012

0.09

0.03

0.02

-29.13

자료원: WTA


□ 우크라이나 내 주요 스포츠 브랜드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은 Adidas, Reebok, Nike와 같은 브랜드 인지도가 강한 다국적 스포츠용품 메이커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 2017년 기준 브랜드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시장점유율은 아디다스(18.9%), Reebok(7.2%), Nike(3.8%), New balance(2.4%) 순으로 나타남.


브랜드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시장점유율(%)

순위

브랜드명

소유 회사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

Adidas

Adidas Ukraine DP

25.9

20.7

20.7

18.9

2

Reebok

Adidas Ukraine DP

3.9

6.5

7

7.2

3

Nike

Delta Sport DP

7.6

7.9

5.6

3.8

4

New Balance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1.4

2.1

2.5

2.4

5

Columbia

Sportmaster-Ukraina TOV

2

2.1

2.1

2

6

Puma

Puma Ukraina TOV

1.5

2.1

2

2

7

Arena

Euroline TOV

0.7

0.6

0.8

1

8

adidas Kids

adidas Ukraine DP

1.3

1

1

1

9

Asics

Asics Europe BV

0.9

0.9

0.9

0.9

10

Skechers

MTI TOV

0.5

0.5

0.5

0.5

11

Timberland

MTI TOV

0.8

0.5

0.6

0.5

12

Converse

Delta Sport DP

0.3

0.3

0.3

0.3

13

The North Face

Vf SNG OOO

0.1

0.1

0.1

0.1

기타 브랜드

53

54.5

55.8

59.5

총계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


   브랜드 소유 회사별로 보았을 때는 Adidas Ukraine DP가 전체 시장의 27.1%를 차지, 스포츠웨어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남.

    - Adidas(18.9%), Reebok(7.2)%, Adidas kids(1.0%)가 Adidas Ukraine DP 소속 브랜드


기업별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시장점유율(%)

순위

 기업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

Adidas Ukraine DP

31.2

28.2

28.8

27.1

2

Delta Sport DP

7.9

8.2

5.9

4.4

3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1.4

2.1

2.5

2.4

4

Sportmaster-Ukraina TOV

2

2.1

2.1

2

5

Puma Ukraina TOV

1.5

2.1

2

2

6

Euroline TOV

0.7

0.6

0.8

1

7

MTI TOV

1.3

1

1.1

1

8

Asics Europe BV

1.1

0.9

0.9

0.9

9

VF SNG OOO

0.1

0.1

0.1

0.1

기타 브랜드

53.5

53

54.5

59.5

Total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


   B’Fit, Flyingbro, Athletics68와 같은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메이커도 있음. 그러나 기업규모가 작고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져 다국적 브랜드에 비해 소비자 신뢰도가 낮은 수준임.

    - 다국적 브랜드에 맞서 제품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 전개에 애로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 브랜드 Flyinbgro의 설립자(Maksim Sitailo)는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도 우크라이나 브랜드가 다국적 브랜드와 경쟁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지목

    - 우크라이나의 평균 임금 수준이 200달러, 중국이 400~500달러 수준으로 우크라이나가 우세한 것처럼 보임.

    - 그러나 중국은 제품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원부자재를 쉽게 공급받을 수 있지만, 우크라이나는 모두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실정으로 제품 단가가 중국이나 터키산보다 높을 수밖에 없음.


  ㅇ 한편, 브랜드가 없거나 짝퉁 제품의 경우 주로 중국, 터키 등지에서 수입되어 재래시장이나 지하 상가에서 판매되고 있음.


□ 품목별 관세율


우크라이나 운동복(HS Code 6112) 관세율

HS Code

6112 20 0000,  6112 19 0000,
6112 31 9000, 6112 39 9000,
6112 41 9000,  6112 49 9000

6112 11 0000

6112 31 1000,  6112 39 1000,
6112 41 1000, 6112 49 1000

관세율

12%

0%

8%

VAT

20%

자료원: MD office (УКТВЕД)


우크라이나 운동화(HS Code 6404) 관세율

HS Code

 6404 11 00 00, 6404 19 10 00, 6404 19 90 00, 6404 20 10 00, 6404 20 90 00

관세율

10%

VAT

20%

자료원: MD office(УКТВЕД)


□ 전망 및 시사점


   Euromonitor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스포츠웨어시장은 지속 성장 2022년에 약 1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 자유로운 여가 활동을 중시하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정서상 경제 회복과 함께 건강, 운동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들어 퍼스널 트레이닝, 크로스 핏, 폴 댄스, 필라테스와 같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시설들이 늘어나는 추세임.


   건강과 운동에 대한 관심은 관련 스포츠용품에 대한 소비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고기능성 스포츠웨어에 대한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또한 애슬레저 트렌드로 패셔너블하면서도 실용성을 강조한 의상을 찾는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전망



자료원: Euromonitor, WTA, KOTRA, 기타 관련 뉴스자료 종합,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료 종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