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르헨티나 그린 에너지 성장세, 신정부 출범 이후 제동 우려

아르헨티나 Bloomberg 등 2020/02/19

☐ 마크리 전 대통령, 해외 민간 투자 유치로 에너지 공급 다각화 정책 추진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 3년간 재생가능에너지 시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해당 산업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6.5기가와트(GW) 규모의 재생가능에너지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미 5GW에 해당하는 전력이 사용 중에 있거나 발전소가 건설 중에 있으며, 이로 인해 약 75억 달러(한화 약 8조 9,10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하고 약 1만 1,00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의 경제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정치적, 재정적 문제 극복을 통한 시장 안정화와 해외 투자자 유치, 그리고 재생가능에너지 개발 프로젝트 추진 등이 아르헨티나 신재생에너지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제기되었는데,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노력으로 풍력 및 태양열 에너지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저렴한 주요 국가 에너지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르헨티나는 재정난과 경기침체로 에너지 부문의 성장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2015년 출범한 마우리시오 마크리(Mauricio Macri) 아르헨티나 전 대통령 정권 하에 에너지·광업부(Ministry of Energy and Mining)는 발전 부문에 대한 해외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해 에너지 공급 다각화를 추진하면서 재생가능에너지 부문의 성장을 이루었다.

 


마크리 정부 출범 이후 아르헨티나의 재생가능에너지 프로젝트가 활발해짐에 따라 해당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난 2017년 아르헨티나는 언스트&영(Ernst&Young)의 재생에너지 국가 매력도 지수(RECAI)에 처음 진입한 이후 2019년에는 전 세계 9위, 라틴아메리카 국가들 중에서 1위로 상승했다. 또한, 지난 해 실비오 실비오 마카치(Silvio Marcacci) 에너지 이노베이션 커뮤니케이션 책임은 포브스(Forbes)지를 통해 아르헨티나의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한 바 있다.

 

☐ 현 정부, 에너지 발전보다 경제 회복 집중으로 그린 에너지 투자 지속 우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 아르헨티나의 경기침체 상황과 마크리 대통령 재임 실패 이후 새로운 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Fernández) 대통령 정부의 정책에 따라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역시 제기되었다. 페르난데스 정부는 새로운 가격 책정 체제를 모색하며 지난 해 6개월 간 전기세를 동결한 바 있는데, 이는 향후 대통령이 전력구매협정에 관여할 수 있다는 우려를 심화시켜 신재생가능에너지 프로젝트의 투자 심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이미 석유 산업 관계자들을 만나 투자 세이프가드(safeguard)에 대한 법안 마련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재생가능에너지 전력 생산업체들에게는 유사한 행보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loombergNEF)의 나탈리아 카스틸로스 라이플(Natalia Castilhos Rypl) 남미 전문가는 “아르헨티나 정부가 발전 산업에 대한 민간 개발 장려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 같다”고 전하며 “이에 재생가능에너지 목표 달성이 점차 관심에서 멀어질 수 있다”고 첨언했다.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자본 통제 심화와 국제통화기금(IMF) 등과의 채무 조정 협상 역시 해당 산업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 감수 : 김영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Bloomberg, Argentina’s Clean Energy Future Is at Risk Under New Leadership, 2020.01.28.
Forbes, Argentina May Be the Hottest Renewable Energy Market You Haven’t Heard Of. Can It Spur a Global Boom?, 2019.10.15.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