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러시아 스킨케어 및 보호제품시장도 K-Beauty가 주도

러시아 KOTRA 2020/10/07

- 한국산 2020년 상반기 시장점유율 5위 -
- 러시아 제조사 경쟁력 및 글로벌 기업의 진출 확대로 현지 진출방향 전환 필요 -

□ 러시아 스킨케어 및 보호제품 시장 개요
ㅇ 스킨케어 및 보호제품(HS Code 340130)은 ‘피부를 씻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외용 제품으로서 천연, 고형, 크림, 액체 형태’를 의미함.
- 스킨케어(피부 관리) 및 보호기능 제품은 대표적으로 샤워 및 목욕제품, 샴푸 등 거품 젤 형태, 로션 형태, 크림 형태, 액체 클린징, 필링 제품, 색채화장 제거 제품, 피부 소독, 스크럽(각질 제거), 세안 제품 등임.
- 기능면에서는 피부를 보호 및 살균, 보습, 윤기를 내는 제품으로 나눠볼 수 있음.

ㅇ Euromonitor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러시아 스킨케어 제품 시장규모는 약 20억 달러임.
- 2019년 러시아 스킨케어 제품 시장규모는 1338억 루블로 환율 변동을 감안하지 않으면 2014년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2018년부터 환율변동폭이 안정화되면서 달러 기준 감소폭이 크게 감소함.

1


ㅇ 2019년 기준 러시아 스킨케어 제품 매출규모는 2014년 대비 53.6% 증가
- 러시아 스킨케어 제품을 액상 세정제, 샤워 및 목욕 젤, 핸드 제품, 여드름 치료제, 세안제, 미용 마스크, 보습제 등으로 분류함.
- 분류된 제품 중 연간 매출규모가 가장 큰 제품은 보습제로 2019년 기준 873억 루블(약 13억8000만 달러)이며 2014년 대비 60%가 성장
- 두 번째로 큰 매출 규모의 제품은 샤워 및 목욕 젤로 2019년 기준 148억 루블(약 2억3000만 달러)이고 2014년 대비 32%가 성장함.
- 세 번째로 큰 규모의 제품은 세안제(클린저)로 2019년 기준 102억 루블(약 1억6000만 달러)이고 2014년 대비 54.5% 성장

2


ㅇ 2019년 기준 러시아 스킨케어 제품 중 보습제가 전체의 65.2%를 차지
- 샤워 및 목욕 젤 제품이 다음으로 비중이 높으며 전체의 11%를 차지하고 있고, 세안제가 7.6%, 핸드 제품이 5.35%, 여드름 치료제가 4.8%, 페이스 마스크가 3.7%, 액체 비누가 2.3%를 차지하고 있음.
- 2019년 기준 전년대비 제품별 성장세로는 페이스 마스크가 18.1%로 가장 크며, 세안제가 4.8%, 보습제 2.7%, 여드름 치료제 1.8%, 액상 비누 1.4%, 샤워 및 목욕 젤이 0.9% 성장했음.
- 핸드 제품은 2014~2017년 크게 성장하다가 2018년부터 하락했고, 2019년 기준 전년대비 -4.6%를 기록

□ 제품 트렌드
ㅇ Euromonitor 분석에 따르면, 2019년 러시아 스킨케어 시장의 특징으로 보습제 사용보다는 미용 마스크 및 세럼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함.
- 미용 마스크와 패치는 일회용 사용으로 간편하기 때문에 러시아 도시 여성들의 선호도가 급격히 증가 추세임.
- 크림 타입의 보습제는 경제적인 면에서 수요를 유지하고 있으며, 바디 및 페이스 크림과 같은 패밀리용 보습제의 인기도 지속되고 있음. 반면, 손 보습제(핸드 크림)와 같이 국소 부위의 미용제품들은 수요가 다소 감소 중임.
- 2019년 시장 특징으로 오가닉(천연)과 세럼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

ㅇ 2019년 스킨케어 시장 특징 중 하나로, 액체 세정제가 일반 고형비누보다 소비량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점임.
- 액체 손 세정제는 고형 비누보다 사용이 편리하고 더욱 위생적이기 때문에 대중시설에서 사용이 급격히 증가 중임.
- 액체 세정제는 하계기간 소비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이 특징임.

ㅇ 2019년 기준 샤워 및 목욕 제품 중 750ml 샤워젤 소비가 급격히 증가
- 750ml 샤워젤은 패밀리 용량으로 온라인 쇼핑에서 인기 품목으로 부상 중인데, 이는 큰 용량 제품이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온라인 쇼핑으로 배달까지 가능하는 점이 주 인기 요인임.
- 샤워 및 목욕 제품 소비는 가격에 매우 민감한 편이기 때문에 2019년 동안 패밀리 용량 제품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소비 감소
- 샤워 및 목욕 제품은 가격이 저렴한 현지산이 수입산보다 수요가 큰 편임.

ㅇ Euromonitor는 2020년 러시아 스킨케어 시장 성장률이 코로나19 영향으로 5%가량 감소하고 2021년부터 소폭씩 증가 전망
- 2020년 상반기 생필품을 제외한 소비가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한해 기준 매출도 전년대비 5%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14~2019년 꾸준히 성장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추세였다가 2021년부터 소폭씩 회복할 것으로 전망
- 다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위생 관련 제품(액상 비누 등)과 홈 뷰티케어 제품(페이스 마스크 등)의 소비는 2020년에 소폭 증가 전망 

3


□ 수입 동향
ㅇ 러시아의 스킨케어 및 보호제 품목 수입규모는 약 1억 달러이며, 2020년 상반기 기준 전년동기 대비 약 5% 감소함.
- 2019년 기준 러시아의 수입규모는 1억2620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11.6% 증가
- 2019년 기준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터키, 폴란드, 독일, 이탈리아, 한국(6위)임.
- 2020년 상반기 주요 수입국으로 한국이 5위로 상승했으며, 2019년 대한국 수입은 전년대비 43.8%가 오르고 2020년 상반기 기준 전년동기대비 3.3%가량이 상승  

ㅇ 주요 수입국별 점유율로는 1위 국가인 프랑스가 23%(2020년 상반기)이며, 한국은 약 7%로 2019년보다 상승
- 2019년 기준 주요 수입국별 점유율은 프랑스가 21%, 터키 14.8%, 폴란드와 독일이 각각 11%, 한국이 5.8%이었음.
- 2020년 상반기 기준 프랑스 점유율은 23% 증가했고, 터키도 16.8%까지 증가했음.
- 해당 기간 독일은 2019년도와 동일한 수준인 11%이며, 폴란드는 7.4%까지 감소함.

4


ㅇ 2017~2020년 상반기 대한 러시아의 스킨케어 제품 수입은 꾸준히 증가세이면서 단가는 소폭씩 감소세임.
- 2017년 기준 대 한국 러시아 수입 단가(금액/톤)가 7125달러였으며 2020년 상반기 기준 단가는 6462달러로 낮아짐.

5


□ 경쟁동향
ㅇ 러시아 스킨케어 및 보호 제품 상세 분류에 따라 현지 제조품과 수입품 간의 경쟁력이 차이가 있음.
- 액상 비누, 샤워 및 목욕 제품 등은 가격면에서 현지 제조품의 경쟁력이 강하고, 크림, 보습기능제품, 페이스 마스크 등은 수입산의 경쟁력이 강함.
- 한편, L’Oreal 과 Henkel과 같은 다국적 기업들은 러시아 제조업으로 진출해 현지 제조품으로 취급됨.

ㅇ 샤워 및 목욕 제품은 외국 기업의 현지 제조업 진출로 시장 점유가 높은 편임.
- Avon(8.9% 점유), Colgate-Palmolive(7.1%), Unilever(6%), Beiersdorf(5.1%) 등이 대표적인 사례
- 러시아 순수 브랜드로는 Faberlic, PCC Vesna, Kalina 등임.

ㅇ 스킨 케어 화장품의 경우도 L’Oreal, Beiersdorf 등의 외국 기업의 현지 제조업 진출로 시장 점유를 높임.
- L’Oreal(14.1% 점유), Beiersdorf(4.8%), Clarins(4.2%), Yves Rocher(3%), Mary Kay(2.9%) 등임.
- 러시아 순수 브랜드로는 Kalina(12.7%)가 가장 대표적이고, Faberlic(2.5%), Natura Siberica(1.6%) 등도 현지산으로서 시장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음.  

6

7


ㅇ 러시아 스킨케어 및 보호제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한국 기업(브랜드)은 대부분 중소중견기업들임.
- 한국 제품은 대부분 수입산이며, 페이스 마스크, 세안제, 샤워 및 목욕 젤 등이 인기가 높음.
- 최근 모공 관리, 부분 마스크(아이팩, 립 팩, 턱 팩 등), 미용 오일 등으로 제품군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음.

8


ㅇ 현지 제조업 진출 기업을 포함한 러시아 주요 수입 제조사는 Avon, Colgate, Beiersdorf 등 유럽계 기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
- Alticor와 같이 미국 기업도 러시아의 주요 수입 제조사로 알려져 있으며, 현지 진출보다는 수출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유럽계 기업들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9


ㅇ 현지 제조품과 수입품의 가격 차이는 적게는 2배, 많게는 20배임.
- 한국산 제품은 페이스 마스크, 일반 스킨 케어(로션, 토닉 등)가 인기가 좋은 반면 가격이 현지산보다 3~5배까지 높은 편임.
- 액상 비누는 현지산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격 면에서 수입산보다 경쟁력이 높음.
- 샤워 젤은 태국, 한국 등의 아시아 지역 수입산이 인기가 좋으며, 페이스 마스크는 일본과 한국 산이 고가 고품질로 인기가 좋고 현지산은 가격이 10배~20배 저렴함.

10
11
12


□ 유통구조
ㅇ 유통구조 및 진출방법
- 중국 기업들은 일반 화장품 유통사를 통해 유통 마진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선호함.
- 글로벌 중견급 제조사들은 브랜드 전용 유통업체를 지정하여 수출하거나, 현지 제조업과 수출을 병행하고 있음.
- 일부 다국적 기업들은 현지 제조공장을 인수하거나 제조사를 M&A해서 진출하고 있음.
- 한국 기업들은 대부분 전문 화장품 유통업체를 통해 수출하고 있으며, 신중한 시장 분석으로 접근 중
- 한편, 신규 제품 개발 연구를 러시아 현지 기업과 협업하면서 진출하는 경우도 있음.

13


ㅇ HS Code 3401 30 제품의 러시아 수입관세는 6.5%이며, 부가가치세 20%가 적용되고 소비세는 없음.
- 일반적으로 EAC(EurAsian Economic Union)에서 승인받은 인증센터를 통해 적합성 신고로 의무인증을 취득
- 관세동맹 기술규정 TR CU 009/2011(향수 및 코스메틱 제품 안전성에 대하여, 2011년 9월 23일 CU 위원회 결정 #799에 의해 승인되어 2012년 7월 1일에 시행)이 적용되고 있음.

□ 관련 전시회

14


□ 시사점
ㅇ Reed Exhibitions Russia(전시회 전문)의 Ann Dychova 대표에 따르면, 러시아의 스킨케어 제품 시장은 코로나19 등 외부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시장임.
- 홈 뷰티케어, 스킨케어 등 미용 제품은 개인 관리뿐만 아니라 심리적 위로 및 레크리에이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팬데믹과 같은 외부 환경 악화에도 수요는 유지될 것이라고 Dychova 대표는 강조하고 있음.
- 한편, 코로나19의 대표적인 방역 제품인 살균제와 마스크, 보호 장갑 등의 사용으로 피부 트러블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보호 및 보습 효과의 스킨케어 제품 수요는 오히려 증가할 것임.

ㅇ Unilever의 Irina Bakhtina 러시아 부 법인장은 코로나19 의무격리가 본격화된 3월부터 페이스 마스크, 마사지 크림, 헤어 제품 등의 매출이 급격히 증가함.
- 의무자가격리동안 홈 뷰티 케어 제품의 수요는 자연스럽게 증가했고, 미용실 등의 미용관리 센터 방문이 불가능해지면서 자가 헤어 관리로 관련 제품 온라인 주문이 증가하였음.
- 한편, 항바이러스 살균 등 위생 관리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 세정제, 세안제, 액상 비누 등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ㅇ 현지 제조 경쟁력 강화 및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확대로 진출 방법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음.
- 최근 5년 동안 대러시아 한국 수출제품 중 화장품 등 미용 관련 제품은 가장 성공한 사례이나 현지 제조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고 다국적 기업들의 현지화 진출로 기업 간 경쟁은 심화될 조짐
-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지 신규제품 공동개발, 천연 제품 개발, 현지 제조업 진출, 위생 및 살균 기능 제품 개발 등으로 러시아 시장 경쟁력 제고 필요


자료: 관련 언론보도 및 보고서(https://www.kp.ru/putevoditel/krasota/luchshie-maski-dlya-litsa/, https://yandex.ru/turbo/forbes.ru, https://apieu.lauty.ru/, https://holyskin.ru/anskin, www.globusfea.com, https://www.kommersant.ru/doc, https://moscow.cataloxy.ru/firms/www.optcosmetics.ru.htm, https://koreatrade.ru/article/tendentsii), IFCG Analytics & Legislation(https://www.ifcg.ru/en/), 러시아 관세청 및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 인터뷰 및 자료 편집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