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파키스탄 의료기기 산업

파키스탄 KOTRA 2020/11/15

가. 산업 특성

□ 정부 정책
ㅇ 공공 의료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부 주도의 정책 지원
- 파키스탄 의료 산업은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접근성을 높이려는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특히 파키스탄 정부 기획위원회(Planning Commission, PC)는 UN의 지속가능 개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 의료 부문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공공 개발 프로그램(Public Sector Development Programme, PSDP)을 운영 중
- 2019/20 회계연도 기준, PSDP를 통해 62개 의료 환경 개선 프로젝트에 약 240억 파키스탄 루피가 배정되었으며, 뎅기열 통제 등 12개의 주요 프로젝트가 파키스탄 전역에 걸쳐 집중 시행됨.
- 그러나 2020년 발표된 World Bank의 최신 World Development Indicators(2018)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평균 수명, 영아 사망률, 5세 이하 사망률 등의 지표에서 서남아 지역 다른 국가 대비 최하위 평가를 받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임. 

파키스탄 주요 공공 개발 프로그램(PSDP)
1
자료원: 파키스탄 기획위원회(Planning Commission)
주: 상기 리스트는 2019/20 회계연도 Economic Survey에 주요 PSDP 프로젝트로 소개


세계 개발 지표(World Development Indicators)
(단위: 세, 명)
2
자료원: 세계은행(World Bank)
주: 각 지표는2018년(CY) 데이터가 최신


- 또한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확산 등을 계기로 2020/21 회계연도 정부 예산안에서 보건 분야에 배정된 예산이 전년 대비 130.5% 증가한 255억 루피를 기록하는 등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
- 2020년 4월부터 9월 사이에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극복을 위해 한시적으로 의료기기 구입을 위한 저금리 자금 조달, 의료기관 대출 한도 증가 등 의료 업계 대상 파격적인 지원책이 운영되기도 함.

파키스탄 의료 부문 예산 할당액
(단위: 백만 파키스탄 루피, %)
3
자료원: 파키스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 주요 이슈
ㅇ 파키스탄 정부의 전자 의료기기 자체 생산 추진
- 현지 의료기기 수입업체 E사 등 일부 바이어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인공호흡기 등 일부 품목의 경우 2020년 중 일시적으로 수요가 시장 공급을 약 2배 가까이 초과하는 현상이 관측되기도 함.
- 이로 인해 파키스탄 보건서비스규제조정부(Ministry of National Health Services, Regulations and Coordination, NHSR&C)는 2020년 6월 파키스탄 과학기술부(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와 전자 의료기기 자체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MOU를 체결함.
-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전자 의료기기의 자체 생산을 유도함으로써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추후 의료기기 생산 기지로서 수출하는 것까지 염두에 둔 계획임.
- 2020년 7월 파키스탄에서 자체 생산한 첫 인공호흡기가 국가재난관리청(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uthority, NDMA)에 공급되었으나, 품질은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으로 꾸준히 개선해 나갈 예정
ㅇ 수입 의료기기 및 의료 진료비(Consulting Fee) 가파른 상승
- 파키스탄 재무부에서 발표한 Economic Survey에 따르면 2019/20 회계연도 평균 진료비는 2년 전 대비 국가 전체적으로 약 41%가 증가함.
- 2018년 1월 달러당 110 파키스탄 루피 수준에 불과하던 환율은 2019년 IMF 구제금융 협상을 거치며 2020년 11월 현재 달러당 160 파키스탄 루피에 달하는 상황임.
- 이로 인해 의료기기 및 의약품의 현지화 기준의 수입 가격이 대폭 상승하였으며, 이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의료 서비스 비용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파키스탄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년 부터 국가 의료보험 개념의 Sehat Sahulat Program(SSP) 시행 등을 통해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음.

파키스탄 평균 의료 진료비(Consulting Fee)
(단위: 파키스탄 루피(PKR))
4
자료원: 파키스탄 통계청(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 현지 주요 의료기기 취급 기업 현황

5
자료원: 카라치무역관 자체 조사


나. 수급 현황
ㅇ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규모 예산 투입으로 급격한 성장 기대
- 파키스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20 회계연도 기준 의사 및 간호사, 병원, 병상 수 등 의료 인프라 지표는 최근 3년 연속 상승하는 추세임. 
- 2019/20 회계연도 정부 예산은 전년 동기대비 감소하였으나, 2020년 11월 기준 공개된 2020/21 회계연도 예산안에 따르면 의료 관련 예산이 2019/20 회계연도 대비 약 130.5% 증가함.  
- 의료산업 내 대표적인 품목인 HSCODE 9018, 9019, 9020, 9021, 9022의 경우 IMF 구제금융 이후 정부의 무역적자 개선 조치(수출 촉진, 수입 억제) 등으로 인해 최근 수입이 다소 감소함.
- 동일한 이유로 파키스탄에서 미국, 독일, 영국 등지로 의료용 가위, 노즐 등 품목(HSCODE 9018)의 수출 및 재수출이 활성화 됨에 따라 전반적인 수출 규모가 증가하고 있음.

파키스탄 의료 산업 통계
(단위: 개, 명, 백만 파키스탄 루피, %)
6
자료원: Ministry of Finance,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Global Trade Atlas
주: 수출 및 수입 통계는 HS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합계 기준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7
자료원: 카라치무역관 자체 조사


□ 유망분야
ㅇ 인공호흡기 (HSCODE: 9019.2000)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공호흡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2020년 1~7월 인공호흡기 수입액은 약 3,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4.4% 증가한 상황
- 중국산 제품이 2020년 1~7월 기준 파키스탄 인공호흡기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9.0%(1,882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1.0% 증가
- 이어서 미국(18.4%, 706만 달러), 스위스(7.5%, 287만 달러)가 각각 동 기간 수입 시장 점유율 2위, 3위를 기록
- 한국산 제품의 수입 시장 점유율은 3%로 6위에 불과하나,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407% 증가하여 수입 시장 1~6위 국가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냄.
- 파키스탄 보건서비스규제조정부 주도 하에 인공호흡기 등 전자 의료기기 자체 생산을 위한 움직임이 관찰되는 바, 장기적으로 관련 기술 협력에 대한 수요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파키스탄 인공호흡기 수입 동향
(단위: 달러, %)
8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주: HS Code 9019.2000기준


자료원: Ministry of Finance, Ministry of Planning, Ministry of National Health Services/Regulations and Coordination, Federal Board of Revenue,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World Bank, Global Trade Atlas, Business Recorder, The Dawn,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