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모잠비크, FDI 동향과 우리 기업의 현지 투자진출 방안

모잠비크 KOTRA 2020/11/27

- 모잠비크 정부, FDI 유치를 통한 경제성장 지속 추진 중 -
- 한국기업, 모잠비크 중점 성장추진 분야, 제조업 등에 대한 현지 투자진출 모색 필요 -

□ 모잠비크 FDI 현황
◦ 2016년 모잠비크 정부는 투자 및 수출진흥기관인 APIEX를 공식 설립하였으며 특히 외국인 투자유치를 원동력으로 하는 경제성장 정책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 외국인투자유치액
- 모잠비크 무역진흥기관인 APIEX에 따르면 2019년 모잠비크의 FDI 금액은 약 6.4억 달러로 전년대비 2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 (참고) 모잠비크 수출투자진흥기구 통계로 UNCTAD 등 국제기구에서 발표한 자료와는 금액의 차이 발생한다.

< 최근 3년간 모잠비크 외국인투자유치 금액 >
1
자료 : APIEX


◦ 외국인투자유치 주요 분야
- 에너지 분야가 3.4억 달러로 전체의 53.7%를 차지하고, 산업 분야가 1.2억 달러(전체 중 18.1%), 서비스 분야는 0.7억 달러(전체 중10.5%)에 달한다.

< 2019년 분야별 FDI 내역 >
2
자료 : APIEX


◦ 투자진출 주요 국가
- 모잠비크에 투자하는 국가들은 주로 인접한 남아공, 중국, 유럽 국가들이다.

< 2019년 모잠비크 투자 국가 현황 >
3
자료 : APIEX


□ FDI 관련 주요 규정
◦ 외국인의 모잠비크 투자는 법령 3/1993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 다만, 이 법률은 원유, 천연가스, 광물채굴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 외국인이 모잠비크에 투자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모잠비크 정부의 승인이 필요한데 투자금액에 따라 보통 아래 3가지 형태로 진행된다.

◦ 모잠비크 무역투자진흥청인 APIEX 청장 승인
- MZN 25억(약 3,500만 달러)을 초과하지 않는 투자건
- 특별경제구역, 산업자유지역 등에 투자되는 건

◦ 기획재정부 장관 승인
- MZN 135억(약 1.9억 달러)를 초과하지 않는 건

◦ 국무회의 승인
- MZN 135억을 초과하는 투자건수
- 1만 헥타르 규모 이상
- 10만 헥타르 이상의 숲을 개발해야 하는 경우

□ FDI 제한 분야
◦ 모잠비크 정부는 국가안보 등과 관련된 일부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 분야에서 외국인 직접투자가 가능하도록 행정지원, 절차 간소화 등을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 외국인투자유치가 제한된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국방 : 안보, 주권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군사산업 등에선 제한한다.
- 여행업 : 여행사의 소유권은 모잠비크 국민만 가능하다.
- 사설경비업체 : 소유자는 모잠비크 국민이어야 하며, 외국인은 지분 보유만 가능하다.
- 민영화 기관 : 과거 정부 소속이었으나 민영화된 기관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제한한다.

□ FDI 주요 절차
◦ 모잠비크 무역투자진흥기관인 APIEX에 투자의향서를 공식 제출하면 통상 7일 이내에 관련 내용을 검토 후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APIEX는 통상 48시간 이내에 관련 사항을 검토 후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 이후에 외국인 투자가는 모잠비크 중앙은행에 프로젝트를 등록해야 하며, 향후 이를 통해서 모잠비크로 투자금 송금, 추후 이익 해외송금 등을 진행할 수 있다.
- 90일 이내에 모잠비크 중앙은행에 투자계획을 등록한다.
- 120일 이내에 구체적인 투자프로세스를 진행한다.

◦ 동시에 외국인투자유치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APIEX에 관련 서류들을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프로젝트 관련하여 설립된 법인설립 증명서
- 외국인 투자가의 여권 사본
- 설립장소, 설비 증빙
- 투자지역 관할 지자체의 검토 의견
- 광물채굴 등의 경우 해당 지자체

< APIEX 투자신고서 양식 >
4
자료 : APIEX


□ 모잠비크 투자 진출 여건
◦ 2020년 기준 모잠비크는 인구 3,000만 명, 향후 북부지역 가스개발을 통해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성장이 기대되는 잠재력을 보유한 상황이다.

◦ IMF 전망에 따르면 2020년 모잠비크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전년대비 0.5% 감소할 것으로 우려되지만, 2021년엔 2% 초반으로 플러스 성장이 예상된다.

◦ 실제로 2023년부터 본격 개발될 것으로 기대되는 모잠비크 북부지역 가스개발로 2023 이후 연평균 10%에 육박하는 경제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 마푸투무역관에 모잠비크 진출 외국계 기업들과 접촉해 본 결과,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모잠비크 시장의 향후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다만 모잠비크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외국계 기업들은 모잠비크의 불투명한 업무처리, 관료주의, 부정부패, 자금조달 어려움, 열악한 인프라 등을 비즈니스 추진이 애로 사항으로 꼽으며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 참고로 2018년 하반기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모잠비크 가장 큰 애로사항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부정부패(16.0%), '자금조달 애로'(14.5%), '지하경제(10.4%)', '치안 불안'(9.8%) 등을 언급한 바 있다.

□ 시사점
◦ 우리나라의 對모잠비크 투자 진출은 2019년까지 약 4,300만 달러에 불과하며, 2012~2013년 동안의 가스 배관 건설 투자를 제외한 다른 분야의 투자금액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對모잠비크 직접투자액 추이>
5
* 투자금액기준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2020) 


◦ 하지만 모잠비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제중심지인 남아공을 인접하고, 인도양을 통한 항만 접근성도 뛰어나 동남부 아프리카의 국가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서의 전략적 가치가 있는 국가이다.

◦ 이에 우리 기업들은 모잠비크 정부가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공공인프라 확충, 에너지 개발, 농업 첨단화 등에 관심을 갖고 참여를 적극적으로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또한, 모잠비크에는 제조업 기반이 상당히 부족해 대부분의 생필품 등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점을 고려할 때, 기존 유휴 설비를 현지의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제조업 분야도 진출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참고자료 : APIEX, 기존 언론 보도, 보유자료, 기업 인터뷰 종합 등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