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0 쿠웨이트 산업 개관

쿠웨이트 KOTRA 2020/12/07

□  산업 개요

< 쿠웨이트의 산업 현황 >
(단위 : USD억, %)
3
자료 : 쿠웨이트 중앙은행(Central Bank of Kuwait)


◦ 원유 생산, 정유, 석유화학 원료생산 등 석유화학 산업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
- 호텔, 요식업, 통신, 부동산, 금융 등 서비스 산업이 석유화학 분야 다음가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외 경쟁력이 매우 낮고 국내 시장에 제한되어있음
- 제조업의 경우 비금속제품-가공금속-화학제품 분야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종사자의 10%만이 쿠웨이트 자국민인 것으로 나타남
- 농업 등의 1차 산업은 정부의 정책보조금을 받아 최소한의 산업기반만을 유지

◦ GDP의 약 40%, 정부 재정수입의 90% 이상을 석유 수출에 의존하는 석유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기 위한 국가 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나, 현재까지 그 성과는 미비
- 제조업 기반이 거의 없는 석유의존형 경제를 탈피하기 위해 신도시 건설, 보건의료분야, 친환경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특히 인적자본구축 분야에 전체 프로젝트의 1/3에 달하는 다수의 프로젝트가 집중되어 있을 정도로 국가성장의 동력으로 미래세대 인적자원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음
- 경제개혁조치의 일환으로 일부 업종 외국인 직접투자 허용(2003.10), 외국법인에 대한 법인세율 인하(2008.1) 및 내국법인에 대한 법인세 도입 추진
- 민간부문의 자국인 고용 확대를 위한 자국인 고용촉진법 제정 시행, 일부 공사의 경우 외국기업에 대한 입찰 참여 제한,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산 의무 조달 비율 지정 등의 쿠웨이트化(Kuwaitization) 정책 추진

◦ 국가개발계획에 의존한 정부발주 건설·플랜트 분야의 프로젝트 위주의 시장 형성
- 금융 및 무역의 허브 건설과 산업 다변화 추진 
- 걸프만 최북단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 걸프지역의 금융, 문화, 상업의 중심지로의 육성하기 위한 나와프 국왕의 비전(Vision 2035) 실현을 위한 전략
- 저유가로 인한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국가개발 계획에 따라 인프라 건설 및 산업다각화 진행에 대한 정부지출 유지
- Bubyan Island 항만 개발, 자유무역지대 확대, 쿠웨이트 국제공항 2터미널 신설 등 추진
- 석유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석유화학 공장 건설, 정유시설 신설 및 개보수, 석유수출항 건설 등도 추진

◦ 2015년~2020년까지 국내 기업들은 약 87억 달러의 17개 프로젝트를 수주

<우리 기업이 수주한 주요 프로젝트>
3
자료 :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등


□  산업 정책
ㅇ 쿠웨이트는 석유 중심의 산업에서 탈피하고 걸프 북부의 지리상 이점을 살려 걸프 북부의 무역 및 금융 중심지가 되고자 목표를 세우고 국가 중장기 비전인 New Kuwait 2035 전략을 발표
- 경제부분 주요 추진사항은 산업다각화와 민간부분 육성, 공공예산의 불균형 시정,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개발 촉진을 위한 인프라 제고 등

ㅇ 산업단지 및 자유무역지역 운영
- 쿠웨이트 정부는 총 13개의 산업공단과 1개의 자유무역지구를 운영
- 입주 기업들에 대한 편의시설, 무이자 대출 지원, 설비 및 기계 수입 관세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
- 또한 쿠웨이트 공공 분야 프로젝트의 경우 쿠웨이트에서 생산된 제품 10%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강제

ㅇ KDIPA(Kuwait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 Licence 제도
- 외국인 투자 촉진 목적으로 2013년 외국인 직접 투자법을 개정 및 전담기관은 쿠웨이트 투자진흥청 KDIPA 설립
- KDIPA에서 발급한 Licence를 보유한 외국기업의 경우 100% 지분 보유, 법인세 10년간 인하, 회사 설립에 필요한 과실 송금 보장, 투자 기반 시설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 등 다양한 실질적 인센티브를 제공
- 2020년까지 외국인 투자금액 203억 달러 달성, 자국민 일자리 1000개 창출, 비석유 분야 GDP 증대를 목표

ㅇ 창업지원제도
- 쿠웨이트 정부는 중소기업 창업 및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20억 달러 규모의 SME Fund를 설립하고 아래와 같은 지원정책들을 추진

3


□  진출유망산업

1. (보건의료) 진단키트, 방역 시스템 등 코로나19 관련 품목의 현지수요 공략

3

◦ 쿠웨이트 보건부 공공발주와 민간부문 진출을 위한 Two-Track 전략 수행
- 코로나19 확산 이후 성공적인 한국의 방역 사례와, 진단키트 제품의 높은 신뢰도로 인하여 한국산 의료 제품에 대한 현지 수요와 이에 따른 수출기회가 크게 증가
- 의료제품의 수출을 위해서는 쿠웨이트 보건부의 승인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분야 전문성이 높고, 현지 네트워크가 형성된 쿠웨이트 에이전트 선정이 중요
- 진단키트, 의료기기 뿐 아니라 스마트 방역 관리 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HIS) 등 융복합 분야도 프로젝트 입찰,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참여가 가능

2. (소비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망품목 발굴 및 적극적인 현지수요 공략

3

◦ e커머스 사이트 입점 및 인플루언서 활용전략을 통한 온라인 유통채널 공략
- Xcite, Souq, Blink 등 쿠웨이트 유력 e커머스 사이트 입점을 통한 시장진출 수행
-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인 현지 진출이 가능
-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이후 전자제품, 가전제품, 홈트레이닝 용품 등의 소비재 제품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시장성숙도가 아직은 낮으나 밀키트 등의 식품시장 역시 유망

3. (언택트) 이러닝, 컨텐츠, 게임 등 언택트 시대의 수혜종목들의 시장진출 추진

3


◦ 적극적인 현지화와 마케팅을 통한 쿠웨이트 시장 공략
-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러닝, 컨텐츠, 게임 등 언택트 관련 분야의 현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련 분야 기업들의 쿠웨이트 시장진출 기회가 확대
- 자국 컨텐츠가 거의 전무하다보니 대부분 넷플릭스, 리그오브레전드 등 세계적인 인기 컨텐츠들을 소모하고 있으며, 베틀그라운드 등 한국산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역시 일부 진출해 인기를 끌고 있음
- 이전 세대보다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호감도가 높아 한국 게임 및 드라마 등에 관심이 높은 쿠웨이트의 젊은 세대를 타겟으로 한 적극적인 마케팅과 현지화를 통해 드라마,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의 현지 진출 노력이 필요


# 자  료 : 쿠웨이트 중앙은행, 쿠웨이트 통계청, PAI, KDIPA,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