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1년 베트남 자동차 산업 정보

베트남 KOTRA 2021/05/13

가. 산업 특성
 
정책 및 규제
베트남 정부의 최근 자동차 산업 개발 전략 및 방향은 결정문 Decision 1168/QD-TTg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관련 시행 정책은 Decision 229/QD-TTg에 명기돼 있다. 전자는 2035년까지의 비전을 고려해 승인된 10개년 개발전략 결정문으로 2025년에 효력이 종결될 예정이다. (2019년 작성 ‘베트남 자동차 산업*’ 보고서에 언급된 Decision 1211/QD-TTg는 현재 폐기됐다.)

특정 조건을 충족한다면 베트남에서 차량 생산·조립·수입 사업은 외국인도 투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2020년 베트남 투자법*(Law 61/2020/QH14)이 2021년 1월 1일부 발효됐는데, 이에 근거해 현지에서 자동차 및 관련 부품 제조업은 전과 마찬가지로 외국인이 단독투자 가능한 분야다. 다만, ∆차량 보증 및 점검작업 ∆차량 생산·조립·수입 ∆차량 검수 서비스 분야는 여전히 조건부 사업*으로 분류된다. 이는 외국인 단톡 투자법인이든 합작기업이든 베트남 현지 투자기업이든 똑같이 적용되는 사항이다. 관련 조건부 사업 요건은 시행령 Decree 116/2017/ND-CP에 안내돼 있다.



베트남 정부는 완성차(CBU, Complete Built-Up) 수입 관세를 높이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내 자동차 제조 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일례로 버스, 미니버스, 밴, 세단, SUV 차량에 적용되는 최혜국 세율(MFN)은 평균 70%다. 대신 앰뷸런스나 공항 버스, 영구차, 호송 차량 등 특수 목적의 차량은 이보다 낮은 5~20%로 MFN이 형성돼 있다. 베트남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적용해도 완성차 수입 세율이 높은데, 다만 아세안무역물품협정(ATIGA, ASEAN Treaty in Goods Agreement)은 양허 일정에 따라 아세안 국가 수입 차량 일부 품목에 무관세가 적용된다.

베트남으로 차량을 수출할 시 차량 유형 인증서(VTA, Vehicle Type Approval)와 배출가스·품질·기술안전 검사가 요구된다. 2020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VTA는 수출 국가의 관계당국이 발급한 것이 요구됐는데, 국가별 상황이 달라 일부 수입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한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화물선마다 매번 VTA를 발급받아야 해 관련 사업자들의rcular 05/2020/TT-BGTVT(발효일: 2020.4.15.)를 통해 관련 규칙이 수정·보완됐다. 현재는 수출 국가에서 발급한 VTA를 제출하는 대신 베트남에서 바로 해당 차량 모델을 검수 및 테스트해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VT 불만이 지속 야기됐다. 결국 2020년 시행령 Decree 17/2020/ND-CP(발효일: 2020.3.22.)와 시행규칙 CiA 검사 결과는 36개월 동안 유효하므로, 한번 해당 인증서를 발급받았다면 동일한 차량 모델에 대해 3년 동안 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 규칙을 수정한 것과 같이 비관세 장벽이 완화됐음에도 불구하고, 2020년 베트남 정부는 현지 생산 차량보다 수입 차량 시장이 더욱 커지고 있는 최근 상황에 대응해 현지 자동차 제조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고안했다. 한 예로, 현지 정부는 베트남 내 ‘차량 제조기업’이 베트남에서 생산되지 않는 차량용 부품을 수입할 시 무관세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더해 ‘차량 원부자재 관련 기업’에도 2020~2024년 동안 동일 정책을 허가했다. (참고 자료: 베트남 시행령 Decree 57/2020/ND-CP) 즉, 베트남 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가 베트남에서 아직 생산되지 않는 관련 원부자재를(자동차 부품 제조를 위해) 수입할 시 해당 품목에 대해 수입 관세를 0%로 적용 가능하다.

참고로, 베트남 정부는 팬데믹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현지 자동차 제조기업들을 북돋우기 위해 2020년 한해 동안 베트남 제조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차량 등록비를 50% 감면하고 특별소비세 납기일을 연장하는 등 단기 지원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덧붙여 현재 현지 정부 산하기관들은 장기 세금 및 신용 지원책을 연구 중이다. 베트남에서 차량 제조 시 투입되는 부품 중 현지 제조품은 특별소비세를 감면하는 정책이 제안되기도 했는데, 관련 제안의 법률화 여부는 2021년 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업 현황
2018년 기준,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을 포함해 현지 자동차 제조업계에 속한 기업은 550여 개다. 이 가운데 ‘자동차 조립 및 제조’ 기업은 약 40개로 추산된다. (자료: 2020년 11월 베트남 통계청) 한편, 베트남 자동차 제조 업계의 등록 투자 규모로만 본다면 현지에서 연간 생산 가능한 자동차 수는 68만 대에 이르나 실제 생산량은 30만 대가 채 되지 않는다.

베트남 내 자동차 생산 추이
자료: 베트남 산업통상부(MOIT)


2016~2020년 베트남 내 자동차 생산량은 연평균 6.3%의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참고로, 지난 5년 사이 2017년에 자동차 생산량이 감소한 주요 원인은 베트남 내 자동차 제조기업들이 2018년 발효되는 아세안무역물품협정(ATIGA)의 자동차 수입 관세율 양허 일정을 기대하며 생산을 조절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아세안 10개 회원국이 체결한 ATIGA 협약 내용에 따라 2018년부터 태국 및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한 완성차량을 베트남으로 수입할 시 관세를 철폐하게 됐다. 이에 따라, 당시 베트남 내 자동차 제조기업 일부는 태국 또는 인도네시아에서 기생산한 자사 브랜드 자동차 수입량이 늘어날 수 있는 현실을 고려해 현지 재고와 생산 추이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생산량 감소는 팬데믹 장기화가 주요 원인이다. 특히 2020년 상반기 현지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한 것과 동시에 내수 시장에도 여파에 따라 많은 자동차 제조기업(Toyota, Honda, Ford, Mercedes-Benz, Hyundai-Thanh Cong 등)이 생산 일정을 잠시 멈추기도 했다.

베트남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주요 기업
주: 1) 2019년 작성 베트남 자동차 산업 글에서 수정된 내용을 빨간색으로 표시(자료 확인일: 2021.3.26.)
2) HS코드 8702, 8703, 8704, 8705 분류 차량 기준,
2020년 베트남 내 판매량이 높은 상위 6개 기업 정보 취합(VAMA* 회원사 통계)
3) VAMA = Vietnam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베트남 자동차 제조기업 협회)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취합


주요 이슈
1) 베트남 자동차 브랜드 VinFast, 전기버스 제조 성공 이어 친환경 교통 사업 준비

베트남 대기업 VinGroup(빈그룹)의 자동차 제조 자회사 VinFast(빈패스트)는 2020년 현지 자동차 브랜드 최초로 전기버스를 생산해 2020년 10월 시운전을 완료했다. (VinFast는 베트남에서 유일하게 9인승 이하 승용차 자체 브랜드 론칭에 성공한 현지 차량 제조기업) 앞서 2019년 VinGroup은 VinBus*라는 자회사를 설립했고, 이를 통해 수도 하노이, 남부 대표 도시 호찌민시, 유명 관광지 푸꾸옥 섬에서 친환경 교통 서비스 사업 계획을 알린바 있다. VinFast가 생산하는 전기버스는 이 VinBus 사업에 투입된다. 참고로, VinBus의 첫 운행 서비스는 2021년 2분기 하노이에서 개시 예정이다.
주*: VinBus의 현지 명칭은Công ty TNHH Dịch vụ vận tải sinh thái VinBus

VinFast의 전기 버스
자료: Youtube 채널 AutoPro

2) 전기버스 다음은 전기 SUV

VinFast의 전자 자동차 모델 VF e34
주: VF e34 = C segment
자료원: VinFast


VinFast는 2021년 말 베트남 시장에, 2022년 2분기 세계 시장에 자체 전기 SUV 차량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해당 기업은 이미 2021년 초 전기 자율주행 SUV 모델의 3개 프로토타입(VF31(C segment), VF32(D segment), VF33(E segment))을 제작한바 있다. 3개 프로토타입 모두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 안면인식, 내부 온도 자동조절 등과 같은 인공지능 및 자동화 기술을 탑재한다. VinFast는 2021년 3월 24일부터 전기 자동차 모델 VF e34*(6억9000만 동, 약 3만 달러)의 베트남 내 사전 계약을 시작했으며 관련 배송은 동년 11월로 예상된다.

미국 시장 판매를 목표하고 있는 VinFast의 전기 SUV 차량(VF e35) 소개 영상

주: VF e35 = D segment
자료: Youtube 채널 AirCar

3) CPTPP와 EVFTA
베트남이 포함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은 2019년 1월 14일, 유럽연합-베트남 자유무역협정(EVFTA)은 2020년 8월 1일부 발효됐다. 이 두 다자간 무역협정은 자동차를 비롯한 많은 품목에 관세율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실상은 자동차가 민감품목으로 지정돼 실제 관세율 혜택을 보기까지 CPTPP는 13년, EVFTA는 10년가량 관세율 인하 양허 일정을 기다려야 한다.

EVFTA 협의 내용에 따라 베트남은 특정 자동차 부품, 자동차, 오토바이 품목에 대해 협정 발효일로부터 7~10년 내 수입관세를 철폐할 예정이다. 특히, 협정대로라면 유럽연합에서 베트남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승용차 품목은 2030년 1월 1일부, 9인승 이하 차량(3000cc 초과 페트롤 엔진, 2500cc 초과 디젤엔진 차량)은 2029년 1월 1일부터 무관세가 적용된다.

최신 기술 동향
베트남 정부는 환경보호를 위해 배출가스 기준을 순차적으로 상향 적용하고 있다. 현지 결정문 Decision 49/2011/QD-TTg(발효일: 2011.10.18.)는 2017년 1월 1일부터 새 차(베트남 제조 또는 수입)는 Euro 4 배출 기준, 2022년 1월 1일부터는 Euro 5 배출 기준을 충족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중고 차량의 경우 결정문 Decision 16/2019/QD-TTg(발효일: 2019.5.15.)에 따라 수입품은 Euro 4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 정부는 전기자동차와 같이 친환경적이고 오래 지속가능한 자동차 산업 개발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해왔다. 현지 결정문 Decree 57/2020/ND-CP(이하 Decree 57, 발효일: 2020.7.10.)는 이와 관련한 정부의 지원 정책을 안내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베트남에서 조립/제조 전기자동차 및 친환경 기술 자동차(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바이오 연료, 천연가스 사용)와 관련 부품에 수출입 관세율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일부 차량 모델에 대해 등록 조건을 면제하고, 최소 생산 수량 요건(아래 표)을 완화하는 등 지원책이 포함돼 있다.

차량 유형 별 요구되는 최소 생산 수량
(단위: 대)
자료: Decree 57/2020/ND-CP


수입 관세율 혜택에 더불어, 전기자동차는 특별 소비세 혜택 대상이다. 이 덕분에 전기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엔진 차량보다 훨씬 낮은 수입 세율이 적용 가능하다. 특히 16~23인승 전기버스는 5%, 10~15인승 미니버스는 10%, 9인승 이하 챠랑은 15%의 세율이 적용된다. 반면, 9인승 이하의 가솔린 및 디젤 엔진 승용차 세율은 35~150%에 이른다. 
(참고) 호치민 무역관이 2019년 작성한 베트남 자동차 산업 글 중 언급한 현지 재정부 개정 초안 Decree 125는 무효화됐다.

나. 산업 수급 현황
내수
베트남 내 차량 판매량은 태국, 말레이시아 같은 주변 아세안 국가들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나 전반적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해왔다. 특히 팬데믹 전 2019년 현지 자동차 판매량은 32만 대를 넘어 새로운 기록을 갱신하기도 했다.

ASEAN 일부 국가의 자동차 판매량 비교
주: 상기 그래프는 ASEAN Automotive Federation이 취합한 것으로, 각국 인용 통계원에 따라 오차가 있을 수 있음.
자료: ASEAN Automotive Federation


다만,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2019년은 ATIGA 발효 여파와 VTA 및 품질 검사 요건 개정으로 수입 차량이 증가했다. 이 때문에 판매 차량 수 가운데 현지 생산된 차량의 비중은 2018년 74.7%에서 2019년 59%로 감소했다. 2020년은 예기치 못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자동차 판매 시장 자체가 축소됐으나, 동기간 베트남 정부의 자동차 등록비 감면 정책으로 현지 생산 자동차 판매 실적은 팬데믹 상황 대비 크게 후퇴되지 않았다.

베트남 내 자동차 판매량 추이
(단위: 대)
주: 1) 사륜 이상 자동차 통계, 2) VAMA 회원사 및 VAMA 비회원사 통계 함
자료: VAMA


수출입
베트남의 주요 완성차(CBU) 수입국은 태국과 인도네시아이며, ATIGA 발효 이래 두 국가의 수입량은 전보다 더욱 확대된 양상이다. 2019년 베트남의 대태국 수입 완성차는 7만4120대(전년 대비 33% 증가), 인도네시아는 4만6563대(160% 증가)를 기록했는데 이 두 통계를 합하면 당년 베트남의 전체 수입 완성차 중 87%를 차지한다. 참고로, 2020년 베트남의 완성차 수입량은 전반 감소해 태국 수입차는 5만2674대, 인도네시아는 3만5043대에 이르렀지만 두 국가의 수입 비중은 83%로 여전히 큰 존재감을 자랑했다.

베트남의 주요 수입 완성차 모델은 9인승 이하의 승용차, 트럭이다. 2019년 베트남으로 수입된 전체 수입차 가운데 두 차량 모델의 비중은 2018년 96%, 2019년 95%, 2020년 93%를 차지했다.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베트남의 완성차 수입 동향
(단위: 대, 백만 달러)
주: 1) ‘완성차 수입’은 상기 표의 3가지 차량 모델에 더불어 기타 목적 차량 통계가 합산됨.
2) 현지 통계청과 세관총국의 자료 간 오차 존재하나 미미하고 전반적인 추이가 같음.
자료: 베트남 통계청


(참고) 현시점에도 조립차(CKD, IKD) 수입 통계를 구분하여 취합하는 것은 불가하다. 현지 및 FDI 차량 제조 업체가 수입하는 조립차는 자동차 부품으로 간주되므로, 이에 관련한 수입 통계는 다양한 자동차 부품의 HS 코드를 아우른다. 이 때문에 자동차 조립 부품과 예비 부품의 수입 통계를 따로 분류하는 데 한계가 있다.

수출의 경우, 자동차는 베트남의 주요 수출 품목은 아니나 최근 수출액이 대폭 증가하며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의 차량 수출(HS코드 8702, 8703, 8704) 금액은 2017년 557만 달러에 불과했으나2018년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한 1144만 달러, 2019년은 그보다 3.34배 증가한 3818만 달러로 도약했다.

2013~2019년 베트남의 차량 수출 추이
(단위: ‘000 달러)
자료: 베트남 통계청


다. 진출 전략

SWOT 분석

주: 수정·보완한 부분을 빨간색으로 표시


유망 분야
베트남 내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은 현지 정부의 ‘자동차 세율 지원 프로그램’ 대상이 될 수 있다. 현지 시행령 Decree 111/2015/ND-CP의 부록 4(Appendix IV) 자동차 부품 목록에 포함된다면, 이 자동차 부품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기 위해 수입하는 원부자재는 0%의 수입 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베트남 내 자동차 부품 생산 시설을 투자하는 우리기업은 현지 차량 생산 기업들의 수요를 확인하는 것에 더해(아래 표 참고), 현지 시행령 Decree 111의 부록 4에 자사 생산 품목이 포함되는지 점검해봐야 한다. 2021년 3월 기준, 베트남 정부의 자동차 세율 지원 프로그램에 등록된 기업은 8개에 불과하지만 이 가운데 4개 기업이 한국 투자 기업(모두 북부 Huyndai-Thanh Cong, VinFast 생산 시설과 관련)이다.

베트남 내 자동차 제조기업의 전략적 현지 생산 차량 모델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통계청, VAMA, Decision 1168/QD-TTg, Decision 229/QD-TTg, Decree 116/2017/ND-CP, Circular 03/2018/TT-BGTVT, Decree 17/2020/ND-CP, Circular 05/2020/TT-BGTVT, Decree 57/2020/ND-CP, Decree 111/2015/ND-CP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