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1년 카자흐스탄 산업 개관

카자흐스탄 KOTRA 2022/01/12

- 원유 및 가스 등 자원 관련 산업이 전체 GDP의 34%를 차지
- 자원 중심의 산업구조 개편을 위해 신산업 육성정책 추진 중


산업 구조 및 동향
원유 및 가스를 포함한 자원 분야는 카자흐스탄의 주축이 되는 산업이다. 90년대 초까지 농업 기반의 산업 구조를 유지하였으나,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경제 개혁·개방과 동시에 원유·천연가스 부문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금이 대규모로 유입되었고, CIS 내 러시아 다음의 주요 원유 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원유 및 가스 등의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독립 후 빠르게 경제가 성장하였다.

독립 이후 GDP 규모는 2000년 183억 달러에서 2019년 1,817억 달러로 약 10배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외환 보유액(연말 기준)은 20억 달러에서 289억 달러로 확대되었다. 다만,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2020년의 GDP 규모는 2019년 대비 7% 감소하였다.

<카자흐스탄 광물자원 매장량>
1
주 : 원유, 가스 20년 BP기준, 기타 자원 18년 기준
[자료 : 한국 외교부]
 

2020년 기준, 전체 GDP의 17%는 광업과 원유, 가스 산업이 차지하였으며, 원유와 가스에서 파생된 모든 연관 산업(원유 채굴, 인프라 건설, 원유 제품 생산, 기타 서비스 등)의 GDP 비율 또한 17%를 차지했다.

세수의 60% 이상은 카자흐스탄 30대 기업으로부터 유입되고 있으며, 그 중 90%가 원유 및 가스 산업 관련 기업이다. 아울러, 카자흐스탄의 원유 매장량은 세계 12위로 2021년 1월~5월 기준 원유 수출액(105억 달러)이 전체 수출액(216억 달러)의 48.6%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카자흐스탄의 경제는 국제 유가 변동에 취약하다. 2020년 기준, 카자흐스탄 외국인 직접 투자는 자원 관련 분야에 50% 이상 집중되어 있다.

<최근 5년간 자원 및 제조업 분야 외국인 직접 투자액 비교>
(단위 : US$ 십만)
1
 [자료 :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자원산업 대비 제조업 등 기타 분야에 대한 투자 저조가 국가 경제의 자원의존도를 심화시키고 있다. 자동차, 가전제품, 건설자재·장비 등 생산기반이 취약한 각종 소비재, 자본재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1년 10월 기준 카자흐스탄 수입구조(HS코드 2단위 기준)>
(단위 : US$ 천, %)
1
 [자료 : 카자흐스탄 통계청]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원유와 가스, 광물 등의 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고부가가치 제조업 육성 및 산업구조 다각화를 통한 경제 펀더멘털 강화가 필요하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자원 산업의 개발을 유지함과 동시에 국제유가 리스크 축소 및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비자원 산업 육성 등 산업 다각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산업 성장을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제조업, 농업, IT 산업에 대한 육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 관련 주요 정책
정부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인 ‘누를리 졸 2020-2025’은 각 지역을 잇는 교통·물류 인프라 구축, 효율적인 운송 인프라 개발을 통한 수출 정책을 실현할 계획이다. 프로그램 재원은 중앙 및 지방정부 예산, 그리고 국제 금융기관, 민관합작투자사업(PPP), 민간 투자 통해 조달 계획 중이며 총 규모는 약 132억 달러이다.

산업혁신 발전 2020-2025 프로그램을 통해서 제조업 기술 개발, 생산 품목 확대, 디지털화 등 높은 생산성을 갖춘 수출 지향적 제조업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혁신 발전 5개년 계획 개요>
1
 [자료 : primeminister.kz]

 
‘농업 개발 2021-2025년‘ 프로젝트도 추진 중에 있다. 2021년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국산 농산물의 시장 공급, 농장 디지털화, 혁신 장비 사용, 고품질 종자 사용, 광물질비료 사용, 수의학 강화 등을 목표로 국가 프로그램 ‘농업 개발 2021~2025‘을 채택하여, 지난 ‘농업 개발 2017-2021년‘에 이어 연결 추진 중이다. 총 투입 예산은 총 5조 텡게(약 117.6억 달러)이다.

 <농업 개발 2021-2025년 프로젝트 세부 추진과제>
1
 [자료 : 카자흐스탄 농업부]


또한 디지털 카자흐스탄 2018-2022 프로그램으로는 ICT 산업발전 및 ICT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국가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다. 신산업 개발을 통한 경제다각화로 자원 의존적 경제구조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시사점
카자흐스탄은 중국과 유럽을 잇는 통로로서 정부의 산업 다각화 정책과 함께 도로·운송 인프라 투자가 지속 진행 중이다. 카자흐스탄 진출 시 주변국으로 사업영역(EAEU국가)을 확장할 수도 있어 물류·유통의 거점으로서의 진출이 유망하다.

아울러, 풍부한 천연자원과 저렴한 노동력을 갖추고 있어, 제조업 생산기지로서의 역할도 수행이 가능하다. 소비재·자본재 등은 여전히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이고 있지만, 카자흐스탄 정부는 수입품의 국산품 대체를 위해 제조업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또한 자원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산업육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및 ICT, 보건・의료분야 등 새로운 산업으로의 진출 확대가 필요하다.

 

출처 : 한국외교부, stat.gov.kz, priminister.kz, dbpia.co.kr, informburo.kz, tengrinews.kz, kapital.kz, nationalbank.kz, zakon.kz, ic24.kz, sputnik.kz, KOTRA 알마티무역관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