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우크라이나 주요 품목별 공급망 동향

우크라이나 KOTRA 2022/04/18

- 곡물, 우리나라의 對우크라이나 수입액 기준 가장 큰 품목
- 공급망 불안 요소로 번질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모니터링 필요


우리나라의 대우크라이나 곡물 수입 현황
우리나라의 대우크라이나 수입에서 금액으로 가장 큰 품목은 곡물이다. 대우크라이나 수입에서 곡물의 비중은 ‘2019년 약 47%, 2020년 약 80%, 2021년 약 47%로 대략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 품목을 보면, 사료용 밀, 사료용 옥수수가 주를 이루고 있다.

1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은 2021년 들어 전년보다 비교적 크게 늘어났는데, 우리나라의 대우크라이나 곡물 수입은 전년에 비해 크게 줄어 들었다. 미국, 호주, 아르헨티나, 러시아 등 다른 국가에서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1


우리나라 곡물 수입에서 우크라이나 비중은 2019년 △5.9%, 2020년 △13.3%, 2021년 △2.9%이다. 국제가격이나 지역별 작황에 따라 국별 수입 비중이 바뀌지만 미국, 아르헨티나, 호주, 중국, 러시아 등과 함께 주요 수입 대상국 중 하나다.

1


특히, 사료용 밀은 우크라이나 수입 비중이 10% 내외로 우크라이나 공급망 상황에 국내 시장가격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우크라이나 곡물 생산 현황
미 농림부 자료에 의하면, 2021년 우크라이나의 밀 총 생산량은 3억300만 톤으로, 전년대비 29.82% 증가했다. 2021년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총 생산량은 4억200만 톤으로 전년대비 38.63% 증가했다.

우크라이나는 자국 내에서 생산되는 밀·옥수수의 70~80%를 수출하고 있다. 2020년 기준 GDP 대비 농업 비중이 9.3%이며, 농산물이 경쟁력 있는 주요 수출품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에 내수보다 수출에 집중하는 구조이다.

1


주요 곡물 수출기업
우크라이나 관세청에 따르면, 곡물 수출기업이 약 2140개사의 수출 기업이 있으며, 한국으로 수출하는 기업 약 90개사가 있다. 

1


우크라이나 곡물의 대한국 수출은 오데사 세관과 미꼴라이 세관을 통해서 이뤄진다.

1
 

우크라이나의 유지 대우크라이나 수입 현황
유지는 우리나라의 대우크라이나 주요 수입품 가운데 하나인데, 매년 상위 5대 품목 안에 들고 있다. 대우크라이나 수입에서 유지의 비중은 2019년 △2.8%, 2020년 △3.0%, 2021년 11.3%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 품목을 보면, 해바라기씨유가 유지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해바라기씨유는 식용유로 많이 쓰이고 있다.

1


우크라이나는 우리나라가 해바라기씨유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이다. 해바라기씨유 수입에서 우크라이나 비중(중량 기준)은 2019년 △37.7%, 2020년 △41.8%, 2021년 56.8%로 최근 3년 동안 거의 두배 가까이 수입이 증가했다.

1
  

우크라이나 외에 스페인, 아르헨티나, 러시아, 터키 등에서 해바라기씨유를 수입하고 있지만 물량 면에서 우크라이나산 수입이 절대적이다

1


주요 해바리기씨유 생산기업

1


시사점
곡물 관련해 주목할 부분은 우크라이나로부터 곡물 수입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반면, 러시아에서 수입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러-우크라이나 사태가 격화돼 우크라이나로부터 수급뿐만 아니라 러시아로부터 수급도 불안정해질 경우 우리나라 곡물 수입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곡물 수입 주요 대상국이 미국, 호주,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지정학적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떨어진 곳들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요 수출국이 EU,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 중국 등임을 감안할 때 미국 등이 EU나 중동국가에 수출물량을 늘리는 등 우리나라의 수급망이 불안정한 상황에 처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공급망 상황에 따라 해바라기씨유의 국내 시장가격이 단기간 오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주 용도가 식용유이고 포도씨유, 콩기름 등 해바라기씨유 대체품이 있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22년 3월 24일에 우크라 국무회의에서 해바라기씨유에 대한 수출 라이선스와 쿼터를 폐지함으로써, 당분간은 해바라기씨유도 사실상 수출금지됐다고 볼 수 있다. 경제안보 핵심품목은 아니지만 식용유는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한 물가 집중관리 품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급 동향을 계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자료: KOTRA 키이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