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스라엘 반려동물용품 시장동향

이스라엘 KOTRA 2022/07/21

- 이스라엘 반려동물 용품 시장 2022년 4000억에서 2027년 4900억 규모까지 성장 예상
- 반려동물 식품과 식품 외 용품 수입은 2021년 기준 전년대비 각각 19%, 54% 큰 폭 성장


상품명 및 HS CODE




이스라엘의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동향
영국의 시장조사 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의 규모는 2022년 기준 10억 5천만 셰켈(4000억 원 상당)이다. 지난 5년(2018~2022)동안 반려동물 개체 수는 연 2% 수준 증가했으며,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은 연평균 6.4% 성장했다.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은 크게 식품(사료 및 간식)과 그 외 용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로모니터가 집계한 2022년(추정) 기준 품목별 비중을 살펴보면, 반려동물 식품 시장이 3626억 원 규모로 전체 시장의 91.4%를 차지하고 그 외 반려동물 용품 시장은 342억 원 규모로 8.6%를 차지한다. 세부 품목별로는 개 사료 및 간식이 2335억 원(전체 시장의 59%), 고양이 사료 및 간식이 1128억 원(28%), 기타 반려동물 사료 및 간식이 163억원(4%)이고, 고양이 모래 시장이 117억 원(3%), 벼룩·진드기 퇴치제, 영양제, 기생충제와 같은 건강관리용품이 42억 원(1%), 그 외 샴푸나 액세서리 같은 기타 반려동물 관련 용품이 183억 원(5%) 규모이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가격 대비 품질을 중요시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다. 중간 가격대 제품 소비는 줄어드는 반면 고가 제품과 저가 제품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면서 양질의 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늘고 있다.

또 한 가지 눈에 띄는 소비 변화는 구강 청결제 판매가 증가했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코로나19 이후 근무 장소가 유연해짐에 따라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고, 그에 따라 반려동물과 보내는 시간도 많아진 영향으로 추정된다. 구강 청결제 외에도 원격으로 반려동물과 놀아줄 수 있는 장난감이나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매출도 늘어나고 있다.

수입동향
글로벌 무역통계 업체인 GTA(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반려동물 식품 수입 규모는 2021년 기준 1740억 원(1억 3553만 달러) 수준이다. 2019년에 잠시 수입 성장이 주춤하다가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전년대비 15.6%, 19.2%로 큰 폭 성장을 이어갔다.



 
식품 외 반려동물 관련 용품 수입 규모는 2021년 기준 97억 2천만 원(약 7백 571천 달러) 수준이다. 2019년 수입이 큰 폰 감소(-17.3%)했으나 2020년 성장 추세를 회복하고 2021년에는 對중국 수입을 중심으로 역대 최대 폭(54.3%)으로 성장했다.


 

수입 대상국별 비중을 살펴보면, 반려동물 식품은 주로 북미나 유럽에서 수입하는 반면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식품 외 반려동물 용품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상당히 높다. 반려동물 식품의 경우 이탈리아와 미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높은데, 두 국가의 합산 수입비중은 전체 수입의 약 33% 규모이다. 식품 외 반려동물 용품의 경우, 저가의 장난감이나 원격 제어기기를 위주로 한 對중국 수입이 급성장하면서 전체 수입의 30%를 차지했다. 식품 외 반려동물 용품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단독국가의 시장 점유율로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이스라엘의 對한국 반려동물용품 수입 규모는 아직 미미하다. GT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은 반려동물 식품 부문에서 이스라엘의 32위 수입국(87,000 달러, 점유율 0.06%)이며 식품 외 반려동물 용품 부문에서는 이스라엘의 42위 수입국(가장 최근 수입 집계가 2020년 5,000 달러)이다.  
 
경쟁동향
반려동물 식품과 식품 외 용품 시장 모두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업체는 바이오펫(BioPet)이다. 바이오펫(BioPet)은 경쟁 2위 업체들과 점유율 10%p 이상 격차를 벌일 만큼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다른 소비제품 시장과 마찬가지로, 반려동물 식품 시장도 상당히 독점적 형태이다.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상위 3개사 합산 점유율은 전체 시장의 40.5%, 식품 외 반려동물 용품 시장의 상위 3개사 합산 점유율은 48.3%나 된다. 




유통구조
반려동물 관련 용품 주요 유통 경로는 크게 종합유통점(식료품점, 편의점)과 전문유통매장(펫샵, 동물병원), 글로벌 이커머스(아마존, 알리익스프레스)가 있다. 그 중에서 전문유통매장, 특히 펫샵을 통한 유통 비중이 가장 크다. 이스라엘 소비자들은 초기 제품 선택 시 온라인에서 정보를 얻는 것보다 매장을 방문해 반려동물 전문가에게 양육이나 훈련에 대한 조언을 받고, 반려동물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제품 추천을 받는 것을 선호한다.

한편, 코로나19 이후로 이커머스 유통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사료나 간식의 정기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특히 2021년부터는 아마존이나 알리익스프레스 같이 가격 경쟁력이 높은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저가 장난감이나 액세서리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관세율 및 수입요건
(반려동물 식품 수입요건) 이스라엘 경제산업부 수출입과에서 발급하는 동물사료 수입허가와 이스라엘 농업농촌개발부 동물사료과의 수입허가(Animal Feed Division permit certificate)를 모두 취득한 현지 수입업체만 수입 통관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팔레스타인 지역 수입허가만 취득한 제품은 이스라엘 내에서 유통할 수 없다.   




(반려동물 건강관리 및 미용제품 수입요건) 화장품이나 의약품 수입업체로 등록된 이스라엘 업체 명의로 보건부에 제품이 등록되어야 수입이 가능하다. 미용제품(털 관리용 샴푸, 깃털 세척제 등)은 화장품과에 기타 건강관리제품은 필요에 따라 의약품과에 등록해야 한다.

(관세율) 반려동물용 의류를 포함한 기타 액세서리는 2022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관세가 면제되었고, 2023년부터는 기존의 관세율 10%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스라엘 정부는 수입관세를 인하해 국내 소비자 물가안정을 도모하고자 광범위한 품목의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있다. 

2022년 6월 현재 반려동물용 사료는 관세율 3%, 동물용 화장품이나 건강관리 용품은 무관세이다. 한국과 이스라엘의 FTA가 발효*되면 동물용 마구(HS 코드 4201)에 포함되는 품목은 관세가 즉시 철폐되며, 반려동물 사료는 5년 이내 단계적으로 철폐될 예정이다.
* 양국은 2021년 5월 FTA 서명을 완료하였으며, 양국 국회 비준을 거쳐 발효될 예정




시사점
이스라엘의 반려동물 개체 수가 꾸준히 늘고 있어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로모니터는 2027년까지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 규모가 4900억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더불어 반려동물의 웰빙(well-being)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지속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려동물의 건강을 고려해 사료나 간식을 선택할 때는 가격적 요소보단 안전한 제품을 선호할 것이고, 또한 영양성분이나 맛의 측면에서도 질이 좋은 제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스라엘 반려동물용 식품 시장에 관심있는 우리 기업은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여 프리미엄 제품 라인을 위주로 시장 진출을 도모해 볼 수 있다. 최근 지속되고 있는 이스라엘 현지화 셰켈과 달러 강세 현상은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이스라엘 시장 신규 진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이스라엘 농업농촌개발부(Ministry of Agricultur and Rural Development), 이스라엘 관세청,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한국 산업경제부, 현지언론,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UAE 타이어 시장동향 2022-07-20
다음글 UAE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추진 동향 2022-07-2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