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도미니카공화국 건설 중장비 시장동향

중남미 기타 KOTRA 2023/06/12

도미니카공화국의 건설업 규모는 GDP 기준으로 2021년 41.3% 성장한 이후 2022년 23.8% 성장하여 173억 달러 기록, 2022년 GDP 기준 15.2%를 차지

HS 코드 842952(건설중장비)의 도미니카공화국 2022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211.9% 성장하여 1673만 달러를 기록

코로나19 이후 대한 수입액이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이후 최근 2년간 증가율이 1116%에 달함, 2022년 수입시장점유율 14.1%로 전체 수입국 중 4위를 차지

상품명 및 HS CODE


시장규모 및 동향



도미니카공화국의 건설업 규모는 GDP 기준으로 2021년 41.3% 성장한 이후 2022년 23.8% 성장해 173억 달러를 기록했다. 건설업은 도미니카공화국 내 단일 산업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산업으로 2022년 GDP 기준 15.2%를 차지했다. 현 정부 들어 국가 관광단지 개발 및 에너지, 교통, 통신 인프라 확충 등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아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미니카공화국 건설업 규모 동향>

(단위: US$ 백만)

주: US$ 1 = DOP 55 기준 (2022년 연평균 환율)

[자료: 도미니카공화국 중앙은행(Banco Central de RD) (2023년 5월 최신 통계 기준)]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건설중장비 및 기자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건설업 시장 성장세에 맞춰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HS코드 842952 품목의 도미니카공화국 2022년 수입금액은 전년 대비 211.9% 성장해 1674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도미니카공화국 수입액 및 성장률>

(단위: US$ 천,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3.5.18.]



HS코드 8429류 전체는 2022년 기준 총 9150만 달러가 수입됐다. 이는 전년 대비 117.6% 증가한 수치이다. 8429류 내 수입비중이 높은 품목은 HS 842951(프론트엔드 셔블로더(front-end shovel loader), 31.5%), HS 842959(기타, 21.9%) 등이다. 

*HS코드별 품목명은 '관세율 및 인증' 참고



<최근 3년간 도미니카공화국 주요 건설 기자재 수입 현황 (HS코드 8429류)>

(단위: US$ 천, %)

주: 순위는 2022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3.5.18.]



HS CODE 842952품목의 2022년 대한 수입액은 1115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4.8%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대한 수입액이 꾸준히 증가해 2020년 이후 최근 2년간 증가율이 1116%에 달했다. 동 품목은 HS코드 6단위 기준 전체 대한 수입품 중 승용차, 기타 중전 기기 부분품, 화물자동차에 이어 4위 품목이다.

 

<도미니카공화국 대한 수입 동향(HS CODE 842952)>

(단위: US$ 천, %)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2023.5.18.]



경쟁동향



2022년 기준 국가별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대중국 수입액이 59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35.3%를 차지해 수입국가 1위를 기록했고 미국(21.5%), 일본(14.8%)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수입시장에서 14.1%를 차지해 4위 수입국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도미니카공화국 수입규모 국가동향>

(단위: US$ 천,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3.5.18.]



유통구조



도미니카공화국의 HS CODE 842952류의 유통은 통상 금융 지원이 병행되며 브랜드 및 에이전트 별로 자체 할부 또는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중장비 및 부품 류 수입상이 현지 유통을 병행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나누어져 있다. 주요 수입상(유통망)은 다음과 같다.



<도미니카공화국 중장비 수입회사>
[자료: KOTRA 산토도밍고무역관 종합]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842952의 경우 수입관세 0%가 부과된다. 수입품에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세금은 관세(3~20%), 개별소비세(3~14%), 부가가치세(ITBIS, 18%), 임시수입세(0.4%) 등이다. 현지 관세법(법률 14-93, 1993. 8. 4, Arancel de Aduana de la Republica Dominicana)상 세번 분류는 HS Code 8단위를 사용한다. 



<도미니카공화국 건설 중장비 관세율>

(단위: %)
[자료: 도미니카공화국 국세청(Dirección General de Aduanas)]



동 품목에 해당하는 별도 인증은 없다.



시사점



범국가적 인프라 재건 프로젝트 및 주택시장 활성화 등으로 인해 최근 건설중장비 수입이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및 글로벌 중장비 브랜드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으나 우리 브랜드 유입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 또한, 우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소형 중장비 중심으로 주택 및 중소형 건설 프로젝트 진출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현지 주요 건설중장비 수입유통망 Antillana 사는 우리 제품의 기술력과 내구성이 높아 현지에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수년 내 한국 수입 물량을 크게 늘릴 것이라 밝혔다. 일반 건설 외에도 공항, 고속도로, 항만, 발전소 등 공공 인프라 건설이 확대되고 있어 관련 엔지니어링 및 특수 중장비 기자재의 수출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도미니카공화국 국세청, 도미니카공화국 중앙은행, Global Trade Atlas, 한국무역협회, KOTRA 산토도밍고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