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헝가리 적하용 기타 기계류 시장동향

헝가리 KOTRA 2023/08/11

2019~2020년 한국의 헝가리 수출액 급증

헝가리 진출기업 수 확대와 맞물려 기계류 수출도 확대

제품명 및 HS 코드



권양(捲揚)용·취급용·적하용·양하용 기계류 중 엘리베이터(HS코드 8428.33),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HS코드 8428.40), 산업용 로봇(HS코드 8428.70) 등을 제외한 그 밖의 기계의 HS코드는 8428.90이다. 



시장동향



해당 HS코드에 속하는 품목을 특정하기는 어려우나, 각종 운반 및 취급용 기계는 농업 및 건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IBIS World에 따르면, 헝가리의 권양 및 취급용 기계(Lifting and Handling Equipment) 제조 산업의 시장 규모는 2억4270만 유로 수준이었으며, 2023년 기준 EU 24개국 중 16위를 차지했다. 해당 기관은 2023년 헝가리의 권양 및 취급용 기계 시장이 3.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2018년 이후 지난 5년간 평균 연 5.4%로 시장 규모가 감소해 왔다. 해당 기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해당 산업 헝가리 종사자 규모는 약 3080명이며 산업 자체는 성장하더라도 고용 규모는 1.6%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불어 해당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업체 수는 약 210개사인 것으로 파악된다. 



헝가리 통계청에 따르면, 권양 및 취급용 기계(헝가리 산업분류 TEÁOR 2822)의 국내 매출액은 2022년 기준 430억 포린트(약 1억1500만 달러)였으며, 수출액은 1199억 포린트(약 3억4000만 달러)였다. 내수 시장보다는 수출 시장이 더욱 큰 것으로 보인다. 2019년 이후 2021년까지 전체 시장 규모는 축소돼 왔으나 지난 2022년 시장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HS 코드 8428.90에 있어, 헝가리는 2022년에 8700만 달러를 수입했으며 이는 2021년에 비해 4.8% 감소했다. 주요 수입국은 네덜란드(18.9%)였으며, 독일(16.1%)과 프랑스(10.7%)가 뒤를 이었다. EU 내 교역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특이한 점은 네덜란드로부터의 수입이 2020년에는 전체 수입액의 4% 수준이었으나 2021년에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한국은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목할만한 점은 2019년에 수출규모가 대폭 증가했다는 점이다. 2019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4100만 달러였으며, 2020년에도 총 4400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 수입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다만 2021년과 2022년에는 그 규모가 대폭 감소했다.



<HS코드 8428.90 헝가리 수입 현황>

(단위: US$ 백만, %)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IBIS World에 따르면 헝가리 권양 및 취급용 기계 시장에서 점유율이 5%를 넘는 회사는 없다. 여러 기업이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현지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회해 보았을 때, 해당 산업 분야에는 총 218개의 기업이 등록된 것으로 나온다. 주요 기업은 아래와 같다.



<권양 및 취급용 기계 시장 주요 기업>
[자료: Partnerradar,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편집]



유통구조



해당 HS 코드에 속하는 상품이 다양하며, 유통 구조 역시 제품별로 상이한 것으로 보인다. 주로 기업은 다음의 3가지 유형을 통해 현지에서 상품을 유통하고 있다. 우선 OTIS와 같은 국제적 기업의 경우 현지에서 자회사, 지점 등을 설립해 제품을 판매한다. 다만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현지 도매업체 및 수입업체 등을 통해 산업용 기계/장비를 유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매 및 수입업체는 동일 브랜드가 시장에서 다른 가격에 판매돼, 가격 경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독점 계약을 유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산업 장비 임대 회사 등을 통해 현지에 유통되는 방식이 있다. 현재 헝가리는 적극적인 투자 유치를 통해 배터리 산업 등에서 여러 공장이 건설되고 있으며 임대 및 구입 수요가 많은 편인 것으로 보인다. 



관세율 및 인증



해당 제품은 한EU FTA에 따라 관세율은 0%이다. 다만 수입업자는 통관 단계에서 27%의 부가세를 납부해야 한다. 인증의 경우, 기계류에 해당돼 CE인증이 요구된다. 다만 해당 HS코드에 속하는 품목이 다양하므로 인증기관 등에 문의해 볼 것을 권장한다. 



시사점



현재 헝가리는 적극적인 투자 유치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2019~2020년 사이 한국 기업이 다수 진출했다. 기계 부품 혹은 공사용 기계로 분류될 수 있는 HS 8428.90에 속하는 상품의 對헝가리 수출액이 동기간에 급격히 증가한 것은 이러한 투자 진출의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 여러 국가의 투자 진출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시장의 수출 가능성은 여전히 적지 않다. 





자료: IBIS World, Global Trade Atlas, 헝가리 통계청, Partnerradar 등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