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인도 KOTRA 2023/09/04

높은 화석연료 의존도, 각종 대기오염 유발 요인에 따라 시장 급성장 전망

상품명: 공기청정기 (HS CODE 84213920)

          * 인도는 air purifier 수입시 HS CODE 84213920을 사용하고 있음


시장동향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은 대기오염 악화와 공기를 매개로 한 질병 증가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델리, 펀자브, 하리아나와 같은 북부 지역에서는 농사 후 짚을 태우는 관행(stubble burning)으로 인해 대기질 악화와 빈번한 스모그 발생을 야기하여 천식 및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 장애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강수량이 적고 바람이 적은 겨울에는 대기질이 극도로 악화되는 상황이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출현은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바이러스와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 수요를 더욱 촉발시켰다.

 

2021년 인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28억 톤으로, 이는 2020년의 배출량인 25억 톤보다 상당폭 늘어났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는 인도의 화석연료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반영하고 있다. 2021년 인도의 석탄 소비량은 20.1 엑사줄(exajoules)로 2020년 소비량 17.4 엑사줄보다 증가하였다. 연소시 이산화탄소와 기타 가스를 배출하는 석탄 소비량 증가는 인도의 대기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급속한 도시화, 높은 석탄의존도, 차량 공해, 먼지 등이 모두 공기 오염도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동향 및 대한수입규모

 

인도의 공기 청정기 시장은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28%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시장규모가 2022년 1억5720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11억6910만 달러 수준까지 증가함을 의미한다.

 

2022년 수입시장 규모는 5300만 달러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최대 수입국은 1500만불을 수입한 중국으로 전체수입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1200만불 수준으로 전체 수입의 23%를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2020년 30%에서 2022년 23%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의 공기청정기 수입 현황>

(단위 : U$, %)
[자료 :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의 주요 기업들은 Daikin Air Conditioning, Dyson Technology, Philips, Honeywell, Panasonic Life Solution, Havells, Samsung등을 들 수 있다. 주요 기업들은 새로운 기능을 가진 고성능 공기청정기를 시장에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2022년 11월, Havells는 신제품 공기청정기 'Meditate air purifier'를 출시하였다. 이 공기청정기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뿐만 아니라 유해가스 오염 물질 제거에 대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Equinox Lab의 테스트와 검증을 거친 제품이다. 



삼성은 2022년 11월 공기청정기 신제품 2종을 출시하였다. 새로운 공기청정기인 AX46과 AX32는 나노 크기의 입자, 초미세먼지, 박테리아,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을 99.97%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인도의 주요 공기청정기 생산기업>
[자료 : 무역관 조사]



<현지 판매중인 주요 공기청정기>
[자료 : 무역관 조사]



유통구조



인도 내 유통구조는 제조업체, 전자제품 매장 및 하이퍼마켓 등 오프라인 판매업체, 아마존 등 온라인 판매업체 등으로 구성된다. 수입의 경우, 수입상이 제품을 수입하여 온.오프라인 판매업체에 공급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일부 제조사의 경우, 직접 판매를 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제조업체 매장 및 전자제품 전문매장을 통한 판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공기청정기의 일반 관세율은 27.73%이다. 기본 관세 7.5%, 사회복지세 10%, GST 18% 로 구성된다. 공기청정기의 경우, CEPA 협정상의 양허관세가 적용되지 않는 품목이다.



수입 시에는 전자폐기물 관리규정에 따라 특정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전자폐기물 관리 규정은 2022년에 고안되어 시행되고 있다. 전자폐기물 관리 규정은 Central Pollution Control Board(CPCB) 등록, 폐기물 재활용, 폐기물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소비자 정보 제공 등을 포함한다. 



시사점



인도의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인도 전역에서 실내 공기청정기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가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는 겨울에는 극심한 스모그 현상이 전국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공기청정기가 대기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필수 품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극심한 대기오염으로 시민들이 호흡 곤란을 겪는 의료 비상사태가 발생하였고, 학교 휴교 및 차량운행 제한 등이 시행되기도 하였다. 



인도는 단기간 내 화석 연료를 대체하여 대기질을 개선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 시장은 향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자료: www.livemint.com, economictimes.indiatimes.com, www.expertmarketresearch.com, www.globenewswire.com, www.techcircle.in, www.mppcb.mp.gov.in, link.springer.com, www.bp.com, 무역관 조사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방글라데시 물 펌프 시장 트렌드 2023-09-04
다음글 인도 인공지능(AI) 산업 트렌드 2023-09-0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