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브라질 인공위성 산업 트렌드

브라질 KOTRA 2023/10/02

브라질의 우주 산업은 타 국가들과 유사하게 정부 기관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아직도 정부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민간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브라질 인공위성 산업은 정부정책, 발사인프라, 다양한 인공위성 기업들로 인해 잠재력이 충분함

브라질 민간 분야에서 인공위성 산업 진출이 활발하여 한국기업들과 협력할 분야가 다양함

브라질 인공위성 산업 개요

 

1957년 소련이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한 후 오늘날 각국은 과학위성, 군사위성, 통신위성, 기상위성 등 다양한 목적으로 위성을 발사하고 있다. 미국 인공위성산업협회(SIA, Satellite Industry Association)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우주산업 규모는 3840억 달러였으며, 이 중 인공위성과 관련된 산업 규모는 2810억 달러로 우주산업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통신 및 원격조종 산업이 1130억 달러, 위성 관련 지상장비 산업이 1450억 달러, 인공위성 제조 산업이 158억 달러, 발사 산업이 70억 달러 규모이다.



<글로벌 우주산업별 규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70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8pixel, 세로 479pixel
[자료: Satellite Industry Association, 2023.8]





브라질의 우주 산업은 타 국가들과 유사하게 정부 기관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아직도 정부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961년 브라질은 우주 활동에 관한 국가 위원회 조직(GOGNAE, Grupo de Organização da Comissão Nacional de Atividades Espaciais) 창설하였으며, 1971년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PE, Instituto Nacional de Pesquisas Espaciais)로 개편되었다. 국립우주연구소(INPE)는 주로 기상, 통신 및 지구 관측 위성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1972년 쿠이아바(Cuiaba)에 랜드샛(Landsat) 지상국을 설치하여 미국과 캐나다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원격 탐사 위성 데이터 운용국이 되었다. 1993년 브라질 최초의 인공위성 SCD-1을 발사되어 브라질 인공위성 산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브라질의 인공위성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프로그램으로 1988년 시작된 CBERS(China-Brazil Earth Resources Satellite)를 꼽을 수 있다. CBERS는 중국과 브라질 간의 협력으로 시작된 지구 관측 위성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중국과 브라질의 자원과 기술을 결합하여 지구의 자원, 환경, 기후 변화 등을 모니터링하는 위성 발사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CBERS를 통해 브라질은 1999년 첫 번째 위성인 CBERS-1 발사를 시작으로 2003년 CBERS-2, 2007년 CBERS-2B, 2013년 CBERS-3, 2014년 CBERS-4를 발사하여 총 5기의 위성을 발사하였다. 이 중 CBERS-3만 궤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실패하였고 다른 위성들은 모두 성공하였다.

 

2021년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첫 번째 지구 관측 위성 AMAZONIA-1의 발사에 성공하였다. 국가우주연구소(INPE)가 개발한 AMAZONIA-1은 아마존의 환경 변화와 불법 벌목, 화재 등의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원래는 브라질의 로켓을 이용해 발사할 계획이었으나, 인도의 로켓을 이용해 발사되었다.

 

이처럼 브라질은 인공위성 발사에 큰 관심을 보이면 발사에 노력해왔다. 현재까지 브라질이 개발에 참여하여 발사한 위성은 아래와 같다.



<브라질 인공위성 발사 리스트>
[자료: 국립우주연구소(INPE), 2023.8]



브라질 위성 산업 잠재력



브라질의 우주 산업과 인공위성 산업은 오랜기간 발전해왔다. 브라질은 위성 산업이 발전하기에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정부 정책



브라질의 국가 우주 정책은 교육·과학용 인공위성과 발사체 기술 촉진에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브라질의 우주 개발은 독자 위성 발사를 통해 천연자원 탐사와 광대한 국토 개발 추진을 주 목적으로 한다. 브라질 연방정부는 우주 개발 조직도를 갖추고 우주정책을 계획, 집행하고 있다.

 

특히 1994년 설립된 브라질 우주청(AEB)은 우주활동위원회(COBAE)와 연계하여 브라질의 우주계획의 기획 및 조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브라질 우주청의 활동은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된다. 1961년 설립된 국립우주연구소(INPE)는 과학기술혁신부 소속으로 위성 연구 및 개발을 주로 담당하며, 우주과학 유인우주활동 등도 연구하고 있다. 국립우주연구소는 산하에 위성 인테큐레이션·시험연구소(LIT)와 위성추적관제센터(CRC)를 두어 인공위성 사업을 담당한다. 브라질 공군 산하에는 항공과학기술부(DCTA)를 두어 발사체를 연구하는 항공우주 연구소(IAE), 알칸타라 우주센터, 바헤이라두인페르노 발사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브라질 연방정부 우주개발 조직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23046bc8.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6pixel, 세로 420pixel
[자료: 브라질 연방정부 홈페이지, 2023.8]

 

발사 인프라



인공위성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발사기지의 역할이 중요하다. 브라질의 경우 알칸타라 우주센터와 바헤이라두인페르노 발사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알칸타라 우주센터의 경우 적도와 가까워 로켓 연료를 절약할 수 있고, 바다와 인접하고 주위 인구밀도가 낮아 안정성이 확보되며, 안정적인 기상으로 발사 스케줄 변동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는 2026년까지 알칸타라 발사장을 사용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3년 3월 시험발세차 ‘한빛-TLV’ 발사에 성공했다.

 

인공위성 기업



브라질은 정부 주도로 우주 및 위성 산업이 성장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로는 민간 분야에서도 위성산업이 성장하였다. 브라질 우주국(AEB)이 발간한 `브라질 우주산업 기업 카탈로그‘에 따르면 현재 브라질의 우주산업 기업들 중 61%가 2000년대 이후에 설립되었다. 브라질 위성 산업의 주요기업들은 아래와 같다.



<브라질 주요 인공위성 기업>
[자료: 브라질 우주산업 기업 카탈로그, 2023.8]



특히 스타트업인 PION LABS ENGENHARIA LTDA는 2022년 1월 브라질 민간기업 최초로 자체개발한 초소형 위성 PION-BR1을 미국 SpaceX사의 Falcon 9 로켓에 탑재하여 발사에 성공했다. PION-BR1 위성은 7개월만에 개발되었으며, 장거리 통신에 관한 연구 데이터 수집을 위해 발사되었다.

 



시사점



브라질은 농업·군사·광업 등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1960년대 부터 우주산업 개발에 관심을 보여왔다. 하지만 2003년 발사체가 폭발하여 핵심 연구인력이 희생되고 우주 연구 예산도 삭감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브라질은 넓은 영토 및 자연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우주산업을 지속적으로 육성할 것이며 특히 군사·산업용 위성 개발 및 발사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 통신위성기업협회(Associação Brasileira das Empresas de Telecomunicações por Satélite, ABRASAT)의 디렉터 Sergio M. Da Silva Maia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브라질의 우주산업은 정부 주도로 이루어졌지만 최근 전세계적으로 민간분야의 우주산업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브라질도 변화하고 있다”고 말하며 “스타트업과 같은 작은 규모의 민간기업들이 위성산업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어 우수한 기술을 가진 한국기업들이 협력할 가능성이 많다”고 말했다.





자료: Satellite Industry Association, Wikipedia, 브라질 연방정부 홈페이지, 브라질 우주산업 기업 카탈로그, ABRASAT, KOTRA 상파울루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