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KOTRA 2024/12/11

섬유 강국으로의 재도약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 지원

가정용 및 기술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유망


산업 특성

 

산업혁명 이전까지 인도는 면직물을 비롯한 섬유 산업의 선두 주자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학계에 따르면, 인도는 고대부터 면직물을 수출해 왔다고 알려진다. 인도는 과거 면직물의 종주국으로서 오랜 기간 영광을 누렸으나, 영국의 산업혁명 이후 인도로 저렴한 면직물이 쏟아지면서 그 위상을 잃게 되었다. ‘인도하면 떠오르는 간디의 물레질과 국산품 사용을 장려하는 스와데시(Swadeshi) 운동 역시 인도의 섬유 산업의 흥망과 무관하지 않다. 이처럼 인도의 섬유 산업은 국가 경제의 부침을 함께 겪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도 섬유 시장 규모>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섬유 및 의류 산업은 인도 경제의 핵심 축이다. 이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 매년 10% 성장하여 3,5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는 해당 산업의 세계 2위 생산국이자 세계 3위 수출국으로 전 세계 섬유 및 의류 무역에서 4.6%를 점유하고 있다. 인도만 두고 보아도 GDP2.3%, 국가 수출 규모의 12%를 차지하며 약 4,500만 건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정부 정책 및 규제

 

(1) 섬유 분야, 생산연계인센티브제도(PLI) 혜택 산업 선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67000f.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28pixel, 세로 648pixel

[자료: IIFL FINANCE]

 

20219, 인도 정부는 자국 생산분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해당 품목에 섬유 산업을 추가했다. 섬유 분야 PLI 제도는 향후 고부가가치 MMF(인조섬유) 직물, 의류, 기술 섬유의 인도 국내 생산을 촉진할 전망이다. 지난 6월 현지 언론을 통해 발표된 바에 따르면, 인도 섬유부는 현재 PLI 제도를 의류 부문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2) 섬유 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100% 자동 승인

 

인도 섬유 산업에 대한 해외 투자액은 그 규모의 100%가 별도 승인이 불요한 자동 경로(Automatic Route) 방식으로 허용된다. 회계연도 2000년부터 2024년까지의 섬유 분야(염색 및 인쇄 직물 포함) 누적 FDI 유입액은 약 452,000만 달러에 달했다. 인도 정부의 100% FDI 허용으로 인해 글로벌 주요 기업과 인도 국내 기업 간 협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Hugo Boss, Liz Claiborne, Diesel, Kanz 등 다양한 글로벌 의류 대기업들은 이미 인도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섬유 분야(염색 및 인쇄 포함) FDI 추이>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스크린샷 2024-11-28 오전 12.42.0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54pixel, 세로 1046pixel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3) 인도 섬유부의 사마르스(SAMARTH)’ 제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6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344pixel

[자료: 인도 섬유부]

 

인도 섬유부는 유능한 사람을 뜻하는 힌디어인 ‘Samarth’를 사용해 섬유 부분 고용 창출 제도를 운용 중이다. 인도 정부는 해당 제도에 약 580만 달러 규모를 투입해 섬유 산업 종사 인력의 숙련도 향상 및 산업 성장을 촉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난 10월에 발표된 섬유부 자료에 따르면, 동 제도를 통해 훈련받은 327000여 명의 후보자 중 80%에 달하는 26만 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특히, 동 제도는 여성 고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까지 혜택을 받은 여성 인력은 총 규모의 무려 88%에 달하는 289000 명이다


(4) 통합 섬유 및 의류 단지(MITRA; Mega Integrated Textile Regions & Apparel) 구축

 

인도 정부는 인도 내 전범위적인 섬유 가치사슬 구축을 위한 7개의 통합 섬유 및 의류 단지 구축을 승인했다. 이는 모디 총리의 5F 비전(농장 Farm, 섬유 Fibre, 공장 Factory, 패션 Fashion, 해외 Foreign)의 일환으로 인도를 섬유 제조 및 수출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시키기 위한 정부 비전을 담고 있다. 동 제도에 따라 7개의 메가 섬유 공원이 타밀나두, 텔랑가나, 구자라트, 카르나타카, 마디아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마하라슈트라주()에 조성될 예정이다. 7개 부지는 연결성, 생태계, 공공 서비스, 인프라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 선정됐다.

 

인도 섬유산업 주요 기업 현

 

연번

기업명 및 로고

웹사이트

개요

1

Reliance Industries LTD Compan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5d.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0pixel, 세로 187pixel

https://www.ril.com/

· 뭄바이에 본사 둔 다국적 대기업

· 1958년 디루바이 암바니(Dhirubhai Ambani)에 의해 설립된 RIL, 섬유 및 폴리에스터 제조업에서 시작해 에너지, 석유화학, 천연가스, 소매업, 통신 및 미디어 등으로 사업 다각화

· RIL의 섬유 부문은 폴리에스를 중심으로 한 섬유 및 관련 제품들이 주를 이루며, 주요 판매 품목은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스테이플 섬유, 엘라스틱 섬유, 고성능 섬유, 가정용 섬유, 플라스틱 재활용 섬유 등

2

Arvind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6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5pixel, 세로 225pixel

https://www.arvind.com/

·  인도 주요 섬유 및 의류 회사 중 하나로, 본사는 구자라트주 아메드바드에 위치

· 섬유 생산, 의류 제조 및 소매 분야 전문

· 1931년에 설립, 섬유 제조업체로 시작하여 현재는 인도에서 가장 큰 통합 섬유 기업 중 하나

· 세계 최대의 데님(청바지) 생산업체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직물 및 니트를 생산하며 대규모 의류 제조 시설 등 운영

3

Welspun

India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2f67001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0pixel, 세로 500pixel

https://www.welspun.com/

· 인도의 대표적인 섬유 회사 중 하나로, 고품질 가정용 섬유 생산

· 1985년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세계 최대의 가정용 섬유 제조업체 중 하나로 성장

· 본사는 뭄바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도 전역에 여러 제조 시설을 운영

· 소매 및 호텔업계 위한 프리미엄 가정용 섬유 제품 제공, 더불어 지속 가능한 섬유 및 기술 혁신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 강화

4

Raymond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66.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pixel, 세로 200pixel

https://www.raymond.in/

· 1925년에 설립되었으며, 그 이후로 인도의 대표적인 섬유 기업으로 성장

· 고품질 울 직물과 혼합 직물 생산의 선두주자이자 정장용 직물로 유명 또한 린넨, , 합성 섬유 등 다양한 소재로 직물 생산하며 국내외 시장에 공급

· 남성 패션 부문에서 큰 입지 보유, aymond Premium Apparel, Park Avenue, ColorPlus, Ethnix와 같은 브랜드 운영하며, 다양한 소비자층 겨냥한 제품 제공

5

JBF Industries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6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1pixel, 세로 167pixel

https://jbfindustries.co.in/

· 폴리에스터 제조섬유 산업에 주력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터 스테이플 파이버,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분야 전문성 보유

· 1982년에 설립. Shyam Sunder Jindal에 의해 창립되었으며, 섬유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

6

KPR Mill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6c.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5pixel, 세로 225pixel

https://kprmilllimited.com/

· 인도의 대표적인 수직 통합형 섬유 제조업체로, 원사, 원단, 의류, 홈 텍스타일등 다양한 섬유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 2003년 설립, 본사는 타밀나두주()에 위치

· 인도 최대 면사 업체 중 하나, 원사, 원단, 의류, 가정용 섬유 제조 및 자체 브랜드 보유

7

Vardhman

Textiles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6f.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5pixel, 세로 225pixel

https://www.vardhman.com/

· 원사, 원단, 의류 등 다양한 섬유 제품 생산

· 1973년 설립, 본사는 펀잡주()에 위치

· 원사, 원단, 의류 제조에 주력하는 인도 최대의 원사 제조업체 중 하나로, 면 원사, 혼합 원사, 특수 원사 등 생산

8

Sutlej Textiles and Industries Limite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f678572.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pixel, 세로 200pixel

https://www.sutlejtextiles.com/

· 2005년 설립, 펀잡주()에 소재한 Sutlej Group의 자회사

· 원사, 원단, 가정용 섬유 생산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를 바탕으로 뉴델리무역관 직접 작성]


산업 수급 현황

 

국내 생산

 

<인도 전역의 총 직물 생산량>

(단위: 십억 제곱미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67000d.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0pixel, 세로 560pixel

[자료: Statista]

 

2018, 2019, 2020 회계연도까지 인도 전역의 총 직물 생산량은 각각 6777000만 제곱미터, 7105000만 제곱미터, 6334000만 제곱미터를 기록했다.

 

<회계연도별 인도 섬유(면화, 생사, , 황마, 원모) 생산량 추이>

 

2020(FY)

2021(FY)

2022(FY)

2023(FY)

면화

(단위 : 베일)

3,650

3,520

3,130

3,430

생사

(단위 : 미터톤)

35,820

33,770

34,900

36,580

(단위 : 킬로)

566,400

514,600

582,200

518,500

황마

(단위 : 미터톤)

1165,100

962,799

1백만 8

1246,600

양모 및 원모

(단위 : 킬로그램)

3,946

3,693

3,292

3,361

[자료: Statista]

 

<원면 및 인조 섬유 생산량 추이>

(단위: 백만 베일/)

묶음 개체입니다.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인도는 세계 최대 면화 생산국이다. 천연 섬유는 인도 섬유 산업의 근간으로 여겨지며, 이는 2025년까지 1,950억 달러로의 성장이 전망된다. 2023-24년 면화 생산량은 약 3,100만 베일로, 이 중 각각 마하라슈트라 760, 카르나타카 190만 베일, 마디아프라데시 155만 베일로 분포된다.

 

수출입 현황

 

(1) 수출

 

<인도의 섬유 및 의류 수출 규모>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스크린샷 2024-11-27 오후 9.47.5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56pixel, 세로 1298pixel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섬유를 수출한다. 특히, 면화 산업의 경우 재배 면적 기준으로는 손에 꼽히지만, 생산성이 낮아 수확량은 재배 면적 대비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생산 능력이 개선되고 글로벌 수요가 증대되며 인도 섬유 산업은 단위당 생산 비용 절감, 수출량 증가를 목격하고 있다. 회계연도 2023년 기준 인도의 섬유 및 의류 총 수출액은 약 360억 달러로, 이는 동 기간의 인도 전체 수출규모 중 10.5%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20247, 인도의 섬유 및 의류 수출은 4.73% 증가하여 293,75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미국, 유럽연합, 영국으로의 의류 수요 증가에 힘입은 결과로 풀이된다.

 

<인도의 섬유 및 의류 대세계 수출>

(단위: US$ 백만, %)

HS코드(2단위)

2021

2022

2023

증감률(23/22)

50

117

95

117

23.4

51 양모, 수모

119

164

173

5.5

52

10,025

7,046

6,495

-7.8

53 식물성 방직용 섬유. 종이실 및 종이실로 만든 직물

675

548

434

-20.8

54 인조필라멘트 섬유

2,341

2,072

1,796

-13.3

55 인조스테이플 섬유

1,904

1,896

1,679

-11.5

56 워딩, 부직포

560

535

549

2.6

57 양탄자류

2,264

1,951

1,812

-7.1

58 특수직물

374

346

367

5.9

59 침투, 도포, 피복, 적층한 방직용 섬유 직물/ 공업용 방직용 섬유제품

441

396

464

17.1

60 메리야스 편물, 뜨개질 편물

763

704

459

-34.8

61 의류(편물제)

7,868

8,230

6,662

-19.1

62 의류(편물제이외)

7,336

8,517

7,850

-7.8

63 기타섬유제품, 넝마

6,679

6,043

5,391

-10.8

41,466

38,543

34,248

-11.1

전 세계

395,425

453,291

431,477

-4.8

총 수출규모 섬유 및 의류 비중(%)

10.5

8.5

7.9

 

[자료: Gloabl Trade Atlas 24.11.27 조회]

 

HS코드 2단위() 기준 50~63 품목번호는 섬유 및 의류 제품을 포괄한다. 해당 HS 코드 기준으로 조회한 인도의 섬유 및 의류 대세계 수출액은 2023년 기준 약 3424,800만 달러이며, 이는 전년도에 비해 11.1% 감소한 수치이다. 인도의 대세계 수출액 대비 섬유 및 의류 수출액 비중 역시 지난 3(2021~2023) 동안 10.5%, 8.5%, 7.9%로 점차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1~2023 3년 누적 수출액 상위 3HS코드 기준(52, 61, 62)으로 인도의 주요 섬유 및 의류 수출국은 다음과 같다.

 

<인도의 섬유 및 의류 주요 수출국>

(단위: US$ 백만, %)

HS CODE 52 ·면사면직물

연번

2021

2022

2023

점유율(’23)

증감률(’23/’22)

전 세계

10,024

7,046

6,495

100

-7.8

1

방글라데시

3,734

3,001

2,179

33.6

-27.4

2

중국

1,687

165

834

12.8

404.2

3

베트남

572

258

267

4.1

3.6

4

스리랑카

264

285

256

3.9

-10.1

5

이집트

231

240

220

3.4

-8.5

6

튀르키예

171

131

161

2.5

22.7

7

포르투칼

229

146

160

2.5

9.5

8

세네갈

123

161

151

2.3

-6.0

9

대한민국

254

174

150

2.3

14.1

10

UAE

106

123

131

2.0

-6.3

HS CODE 61 의류(편물제)

전 세계

7,868

8,230

6,662

100

-19.1

1

미국

2,504

2,735

2,136

32.1

-21.9

2

UAE

960

711

639

9.6

-10.2

3

영국

703

691

592

8.9

-14.3

4

독일

547

631

437

6.6

-30.8

5

프랑스

285

310

282

4.2

-9.2

6

네덜란드

267

348

277

4.2

-20.5

7

사우디

245

232

218

3.3

-6.1

8

아탈리아

218

241

176

2.6

-26.9

9

스페인

228

236

159

2.4

-32.4

10

폴란드

145

173

154

2.3

-11.2

HS CODE 62 의류(편물제 이외)

전 세계

7,336

8,517

7,850

100

-7.8

1

미국

2,276

3,051

2,515

32.0

-17.6

2

영국

613

778

741

9.4

-4.8

3

UAE

961

556

518

6.6

-6.9

4

스페인

335

398

429

5.5

7.7

5

프랑스

317

396

374

4.8

-5.6

6

독일

352

413

358

4.6

-13.4

7

네덜란드

225

304

313

4.0

2.9

8

호주

148

168

183

2.3

8.6

9

사우디

146

158

180

2.3

14.3

10

덴마크

152

189

159

2.0

-15.6


[자료: Global Trade Atlas, 24.11.06 조회]

 

<인도의 국가별 섬유 및 의류 수출 비중>

(기준: 회계연도 202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670008.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6pixel, 세로 690pixel

[자료: Statista]

 

Statista에 따르면, 인도는 단일 국가로는 미국에 가장 많은 규모의 섬유 및 의류를 수출하고 있다. 그 뒤를 방글라데시, 영국, UAE, 독일 등이 잇는다.

 

(2) 수입

 

<인도의 섬유 및 의류 수입액>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67000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46pixel, 세로 582pixel

[자료: Statista]

 

회계연도 2023년 기준 인도의 섬유 및 의류 수입액은 112억 달러를 기록했다. 해당 연도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섬유, 의류, 원사가 주요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해당 산업의 수입액은 2026131, 2031161억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인도의 섬유 및 의류 대세계 수입>

(단위: US$ 백만, %)

HS 코드

2021

2022

2023

증감률(’23/’22)

50

136

273

214

-21.6

51 양모.수모

241

329

319

-3.1

52

713

1,736

813

-53.2

53 식물성 방직용 섬유. 종이실 및 종이실로 만든 직물

378

507

576

13.6

54 인조필라멘트섬유

1,499

1,683

1,807

7.4

55 인조스테이플섬유

1,057

1,245

982

-21.1

56 워딩.부직포

446

450

418

-7.1

57 양탄자류

100

166

157

-5.3

58 특수직물

233

243

198

-18.3

59 침투.도포.피복.적층한 방직용 섬유직물. 공업용 방직용 섬유제품

830

887

779

-12.2

60 메리야스 편물. 뜨개질 편물

675

782

712

-9.0

61 의류(편물제)

557

809

672

-16.9

62 의류(편물제 이외)

600

892

893

0.02

63 기타섬유제품. 넝마

615

616

648

5.2

8,080

10,618

9,188

-13.5

전 세계

572,909

720,179

670,304

-6.9

총 수입규모 섬유 및 의류 비중(%)

1.4

1.5

1.4

 

[자료: Gloabl Trade Atlas 24.11.27 조회]

 

섬유 및 의류 제품을 포괄하는 HS코드 2단위()50~63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총 수입액은 918,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 수입액인 1061,800만 달러 대비 13.5%로 감소한 수치다. 인도의 대세계 수입액 대비 섬유 및 의류 수입액 비중은 지난 3년간 매년 1.4%를 웃돌았다.

 

한국의 대인도 섬유 및 의류 수출액도 지난 3년간 소폭 감소했다. 2023년 기준 수출액은 29,116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 수출액 21,515만 달러 대비 11.1% 감소한 규모다.

 

SWOT분석

 

강점 (Strengths)

약점 (Weaknesses)

· 풍부한 원자재: 면화를 포함한 자연 섬유의 세계적인 생산 규모
· 비용 효율적인 노동력: 경쟁력 있는 임금으로 숙련된 인력 제공

· 종합적 가치사슬: 섬유 생산에서 의류 제조까지 통합 운영 가능

· 중산층 증가: 중산층의 구매력 증가로 내수 수요 확대

· 산업 구조의 분산화: 소규모 운영이 많아 비효율성 초래

· 기술 노후화: 직조 및 가공 등 일부 부문의 기술 발전 낙후

· 면화 의존: 합성 섬유 등 글로벌 수요 증가 제품으로의 다각화 부족

· 인프라 문제: 높은 전력 비용과 물류 인프라 부족으로 경쟁력 저하

기회 (Opportunities)

위협 (Threats)

· 정부의 지원 정책: PLI 제도 운영, PM MITRA 단지 구축 등 투자 유치 및 제조 확대

· 수출 잠재력: 경쟁국의 생산비 상승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
· 지속 가능성 트렌드: 친환경 및 윤리적 섬유에 대한 수요 증가

·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중국 의존도 줄이고 공급망 다변화하려는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주요 대체 생산지로 부상

· 치열한 글로벌 경쟁: 방글라데시, 베트남 등 여타 저비용 생산국과의 경쟁 심화

· 무역 정책 불확실성: 관세 및 정책 변동으로 리스크 다대

· 환경 규제: 환경 준수 요구 증가로 운영 비용 상승

· 노동 문제: 각 주마다 상이한 노동법과 규제 구조로 인한 복잡성, 숙련된 노동력 부족, 파업 및 생산 중단 등 리스크 상존


유망분야

 

(1) 유리한 경제 여건 속 빠르게 성장하는 가정용 섬유 산업

 

<인도 가정용 섬유 산업 성장>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68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0pixel, 세로 319pixel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가정용 섬유는 주로 집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섬유 제품을 의미하며, 인테리어와 실용성을 모두 갖춘 제품들로 구성된다. 인도의 가정용 섬유 산업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매년 8.9%씩 성장해, 20231078000만 달러 규모에 달했던 산업이 2032년에는 2332000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인도의 가정용 섬유 수출은 201753억 달러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7.1%로 증가하여 80억 달러로 확대됐다. 이와 같은 인도의 가정용 섬유 산업의 성장은 가계 소득 증가, 인구 증가, 주택, 숙박, 의료 등 최종 소비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이루어지고 있다.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가정용 섬유 수출은 2021 회계연도에도 9%의 견조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2) 성장의 새로운 영역, 기술 섬유 산업 성장의 새로운 영역

 

<인도 기술 섬유 산업 규모>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68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6pixel, 세로 329pixel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기술 섬유란 특정 기능성 및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된 섬유 제품으로서, 주로 산업, 의료, 군사, 건설,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인도의 기술 섬유 시장은 세계에서 5번째로 큰 기술 섬유 시장으로 평가된다. 인도의 기술 섬유 산업은 20212195000만 달러에서 2024년까지 매년 16.05% 상승해 2024년에는 4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또한 회계연도 2023년 기준 247개 기술 섬유 품목의 수출액은 71,548만 달러에 달했다. 아울러, 인도 정부는 기술 섬유 부문의 연구 및 개발을 위해 12,772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했다.

 

한국의 섬유 산업은 기술력, 디자인, 친환경 솔루션에서 강점을 지닌다. 이를 바탕으로 인도의 성장하는 가정용 및 기술 섬유 산업과의 다양한 협력을 도모할 수 있다. 인도 중산층 증가와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도 제고는 고품질 침구류, 커튼, 러그 등 한국산 가정용 섬유 제품에 대한 수요 창출 가능성도 높다. 우리 기업은 한국의 고품질 제품을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하고, 급성장하는 인도의 전자상거래 시장을 통해 연결성을 높이는 등의 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인도의 자동차 산업 성장세 영향도 다대하다. 에어백, 차량 시트, 안전벨트 등에 사용되는 기술 섬유 수요도 향후 오랜 기간 동안 확대될 전망이며, 이에 더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필수적인 지오텍스타일(Geo Textile) 및 방수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망이 밝다.

 


자료: Statista, Global Trade Atlas, IBEF, Invest India, Live Mint, Business Times, Times of India, Hindustan Times 등 현지 언론보도 및 KOTRA 뉴델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인도 타이어 시장동향 2024-12-11
다음글 BIS 적용으로 인한 인도 PVC 시장의 변화 전망 2024-12-1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