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카자흐스탄에서의 극단주의 위협

카자흐스탄 이유신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1/10/04

□ 카자흐스탄에서 발생한 일련의 의심스러운 사건 

- 지난 5월부터 카자흐스탄에서 일련의 의심스러운 사건이 발생하기 시작.   

- 지난 5월 카자흐스탄의 서부 지역에 위치한 악토베 (Aktobe)의 국가안보위원회 (National Security Committee) 본부 앞에서 사상 처음으로 자살폭탄 사건이 발생. 

- 이 사건이 발생하고 나서 1주 여일 후에 카자흐스탄의 수도인 아스타나 (Astana)의 국가안보위원회 임시 구치소 앞에서 자동차 폭탄 폭발 사건이 발생.

- 이후에도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 

- 지난 6월 말에는 악토베에서 250km 떨어진 슈바르시 (Shubarsi)라는 마을에서 두 명의 경찰이 숨진 채로 발견. 

- 경찰이 이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총격전이 벌어졌고 그 결과 9명의 용의자와 2명의 경찰이 사망.

- 이 사건이 발생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악토베에서 용의자를 쫒던 한 명의 경찰 또한 사살되고 용의자는 자폭을 감행.

- 이 모든 사건으로 말미암아 19명이 사망 (참고로 19명 중 5명은 경찰임).

□ 8월에 발생한 사건과 카자흐스탄 당국의 대응 변화

- 카자흐스탄 당국은 앞에서 언급한 일련의 사건을 단순범죄로 규정하며 극단주의 테러 조직과의 연계를 부정해 왔음. 

- 하지만 지난 8월 말에 발생한 사건 이후 카자흐스탄 당국의 이러한 입장에 변화가 발생.

- 8월 말 카자흐스탄 당국은 석유가 많이 생산되는 아티라우 (Atyrau) 지방에서 계획된 테러리스트 공격을 사전에 차단했다고 선언 (참고로 이 작전 수행 과정에서 1명의 용의자는 사망하고 22명의 용의자는 체포됨).

- 카자흐스탄 당국은 테러리스트 용의자들이 파키스탄에 기반을 두고 있는 테러조직과 연계되어 있다고 언급. 

- 이러한 언급은 카자흐스탄 당국이 이전에 발생한 의심스러운 사건들에 취한 입장과는 상반된 것임.       

□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국회연설

-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9월 1일 의회에서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이 극단주의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고 인정.   

- 나자르바예프는 극단주의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국가안보와 종교적 사안을 다루는 법령의 개정을 촉구. 

- 몇몇 관찰자들은 카자흐스탄은 이웃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달리 극단주의의 위협에 대처함에 있어 조심스러운 행보를 취할 것이라고 예측. 

- 왜냐하면 지난 1990년대 후반 우즈베키스탄 당국은 매우 억압적인 방법을 통해 극단주의를 차단하려 했으나 오히려 역효과를 경험했기 때문임.

□ 카자흐스탄 극단주의의 형성 배경
       
- 여러 관찰자들은 카자흐스탄에서 극단주의가 발생한 원인을 사회적 불만에서 찾고 있음.

- 특히 카자흐스탄 석유의 대부분이 생산되는 서부 지역에서의 사회적 불만이 매우 높은 상태임.

- 왜냐하면 서부지역의 사람들은 석유 생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가 불평등하게 분배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임.

- 이러한 사회적 불만이 종교와 맞물리며 극단주의가 출현하고 있다는 것임. 
   
□ 총평 

-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안정된 국가로 인식되어 왔음. 

- 특히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카자흐스탄은 이웃 국가인 키르기스스탄이나 우즈베키스탄과 달리 민족분규나 대규모 유혈사태를 경험하지 않았음.  

- 하지만 최근에 들어 이러한 카자흐스탄의 안정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극단주의가 출현할 징조가 여러 곳에서 포착되고 있음. 

- 앞에서 논의했듯이 이러한 징조는 특히 카자흐스탄의 서부지역에서 포착되고 있음.

-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최근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서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55퍼센트가 테러리스트들의 공격 가능성을 믿고 있는 것으로 드러남.

- 이에 반해, 카자흐스탄 전체 국민 중 31퍼센트만이 테러리스트들의 공격 가능성을 믿고 있었음.  
   
<참고자료>

Joanna Lillis, “Kazakhstan: Astana Confronts Extremist Threat,” Eurasianet (September 6, 2011).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