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 보건의료 환경과 한국의 지원 사례

우즈베키스탄 이지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국립동방학대학교 강사 2011/12/27

□ 오늘날의 카라칼파크스탄(Karakalpakstan) 자치공화국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 일반 현황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은 우즈베키스탄 영토의 40% 가량을 차지하며, 2011년 현재 인구는 170만 명에 이름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의 수도 누쿠스(Nukus)는 공화국의 남부에 위치, 약 5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함. 소련시절 집단 강제이주 된 한인들도 7천 여 명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많은 수가 우즈베키스탄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는 실정임

-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즈베키스탄은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에 대해 여전히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압력과 사회 전반적 교류를 통해 만일의 분리 독립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함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의 환경 문제와 보건의료 실태

○ 아랄 해의 축소

- 중앙아시아 지역의 중요한 물줄기인 아무다리야(Amu-Darya) 삼각주에 위치하는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은 비옥한 토양을 가짐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 지역은 소연방 시기 면화 재배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아무다리야의 물을 과도하게 관개하여 사용한 결과 수량이 현저히 줄어들어 현재는 아랄(Aral) 해로 유입되는 양이 90% 감소함

- 과거 수산 자원으로 생계를 유지했던 많은 어업종사자들을 현재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과도한 화학 비료의 사용으로 인해 토양 역시 심각히 오염, 이 지역 환경문제가 심각한 상태에 이름

○ 국민들의 생태․환경적 피해와 보건의료 현황

- 아랄 해의 고갈 및 오염은 인근 지역 생태환경을 황폐화 시켰으며, 특히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염화나트륨 등의 해로운 물질들은 주민들에게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있음

- 오염된 토양은 양질의 식수 공급을 불가능하게 하여 주민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어서 정부의 수도관 교체 및 정수처리 체계 개선에 대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함

- 일반적으로 한 마을의 가구 수가 50세대에 불과한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에서, 보건의료 시설은 그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관련 인프라 역시 낙후되어 있음

- 올해 12월 중순 수도 누쿠스에 3~4만 명이 보건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최신식 의료장비를 갖춘 의료 센터가 건립되었음

- 향후 보건의료 분야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또한 이 지역으로의 해외 의료 봉사단 진출이 빈번함


□ 한국 보건의료 단체 진출

○ 한국 보건의료 기관 원조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은 수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 보건의료 환경이 상당히 열악, 최근 한국 보건의료 기관의 진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진료 장소의 부재 등 낙후 된 인프라는 보건의료 원조 시 가장 큰 문제점임

- 한국 정부는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 주민진료를 위한 민간차원의 방문은 물론, 각종 단체들의 진출을 도모하는데, 그 중 아시아협력기구(Institute of Asian Culture and Development; IACD)와 대한한방해외의료봉사단(Korean Medicine Service Team Abroad; KOMSTA)의 활동이 가장 활발함
○ 아시아협력기구의 지원

- 아시아협력기구는 대한민국 정부출연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정회원 자격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비정치 분야 교류를 통해 국가 간 호혜적 관계 유지를 그 목적으로 함

- 본 단체는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을 포함, 아프가니스탄 및 쿠르드족의 진료 차 현지 방문 경험이 있으며, 보건 진료, 마약 방지 캠페인, 보건의료 관련 세미나 개최 등 의료 복지 부문에 대한 지원 사업을 실행중임

○ 대한한방해외의료봉사단의 지원

- 대한한방해외의료봉사단은 1993년 첫 의료봉사를 계기로 오늘 날까지 활동하고 있으며, 한의학의 세계화와 한의학을 통한 봉사활동에 중점을 둠

- 본 단체는 2001년 수도 누쿠스에 한방 진료소를 개소하여 주민들의 진료를 지원하고 있으며 현지 한의사들에 따르면, 아랄 해의 고갈 및 오염으로 인해 환자의 대부분이 갑상선 및 피부 질환, 또는 빈혈을 호소하고 있음

- 카라칼파크스탄 주민들에게 한의학은 생경하지만, 본 단체의 지원으로 오늘날에는 한국의 의료기술에 우호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

○ 기타 지원 및 보건의료 분야 전망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에 소재한 고려인문화협회에서도 한인들을 위한 보건의료 시설 및 교육 시설 확충을 구상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재정적인 여건이 충분하지 않아 실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카라칼파크스탄 정부는 올해 12월 개원한 의료 센터와 같은 각종 지원을 자체적으로 확충해야 할 것이며, 한국 지원 단체들의 민간외교를 본보기로 삼아 의료 인력의 확충과 보건 교육 등에도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임


[ 참고 자료 ]

- http://lib.bioinfo.pl/
- http://www.iacd.or.kr/
- http://www.komsta.org/
- http://www.uza.uz/
- http://www.uzbekembassy.org/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