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카자흐스탄의 카작무스에서 발생한 파업이 신속하게 종결된 이유

카자흐스탄 이유신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2/06/05

제즈카즈간 (Zhezkazgan)에 위치한 카작무스 (Kazakhmys)에서 발생한 파업     

- 제즈카즈간은 카자흐스탄의 중부지역에 위치해 있는 도시로 주력 산업은 동 생산임.
- 그리고 카작무스는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크고 전 세계에서는 11번째로 큰 동 생산 기업임. (참고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카작무스의 26퍼센트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 지난 5월 초 제즈카즈간에 위치한 카작무스에서 파업이 발생 
ㅇ 당시 98명의 광부들은 야간근무 이후 아넨스키 (Annenskiy) 광산 갱도에서 나오기를 거부했고 100여 명의 주간근무 광부들은 광산 갱도로 들어가기를 거부  
ㅇ 이후 인근에 위치한 광산의 광부들도 파업에 동참
ㅇ 카작무스의 최고경영자 에두아르드 오가이 (Eduard Ogay)에 따르면 파업의 최고조에 250명의 근로자들은 지하에서 파업하고 2000명의 근로자들은 지상에서 파업에 동참

파업의 원인      

- 파업이 발생하게 된 가장 중요한 원인은 30퍼센트에 달하는 임금의 삭감임.  
- 임금의 삭감은 카작무스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과정에서 발생
ㅇ 지난 2011년 카작무스의 총매출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 힘입어 이전 년도보다 10퍼센트 상승한 35억 6,3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이익은 전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 
ㅇ 그리고 2012년 1분기 카작무스의 영업실적은 추운 겨울로 인해 교통이 마비되면서 급격히 추락
- 이러한 상황에서 카작무스 경영진은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했고 이는 파업으로 이어짐.

파업이 발생한 시기       

- 카작무스에서 발생한 파업은 매우 민감한 시기에 발생
ㅇ 주지하듯이 5개월 전 카자흐스탄의 서부지역에 위치한 자나오젠이라는 도시에서 유혈사태가 발생했는데 이 사태의 배경에는 석유 산업 근로자들의 파업이 자리하고 있음. 
ㅇ 그리고 현재 자나오젠의 유혈사태와 관련해 재판이 진행되고 있음.

파업이 신속하게 종결된 이유       

- 카작무스에서 발생한 파업은 자나오젠에서 발생한 파업과 달리 신속하게 종결됨.
ㅇ 자나오젠에서 발생한 석유 노동자들의 파업은 7개월 정도 지속됨.
ㅇ 하지만 카작무스에서 발생한 파업은 3일 만에 종결됨. 
- 카작무스에서 발생한 파업이 이렇게 신속하게 종결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자나오젠에서 발생한 유혈사태 이후 마련된 카자흐스탄 당국의 파업 대처 방안 때문임.
ㅇ 카작무스의 경영진은 검찰에 서신을 보내 파업 노동자들을 조사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
ㅇ 카작무스의 경영진은 또한 파업 노동자들과의 협상 테이블에 지방 정부 대표를 초청
ㅇ 이외에도 카작무스의 경영진은 노동자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
- 이번 파업은 카작무스의 경영진이 모든 노동자들의 임금을 20퍼센트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종결됨.

제즈카즈간의 장기 과제        

- 제즈카즈간에서 발생한 이번 파업 사태는 평화롭게 해결되었으나 이 도시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음.
- 제즈카즈간은 소연방 당시의 많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특정 산업의 기반위에 조성되었음.
- 제즈카즈간의 특정 산업은 동 산업임.
- 이러한 상황에서 동 산업이 쇠퇴하면 제즈카즈간의 운명 또한 위태로워짐.
ㅇ 실제로 제즈카즈간의 동 매장량은 감소하고 있고 이로 인해 동 생산량도 줄고 있음.
ㅇ 카작무스의 최고경영자 오가이는 자사가 15년 후에 제즈카즈간에서 철수할 것이라고 언급
- 따라서 이번 파업 사태는 신속하게 종결되었으나 제즈카즈간에 거주하는 동 산업 노동자들의 불안은 쉽게 가시지 않을 것으로 기대  

※ 참고자료
- Joanna Lillis, “Kazakhstan: Copper Miners’ Strike Ends with Pay Raise,” Eurasianet (May 7, 2012).
- “Kazakh Copper Mine Workers Win Strike,” RFE/RL (May 7, 2012).
- Margarita Assenova, “Copper Miners’ Strike in Kazakhstan Ends Swiftly, But Long-Term Problems Remain,” Eurasia Daily Monitor (May 10, 201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