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중국 당국이 제안한 또 다른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 노선

러시아ㆍ유라시아 일반 이유신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2/07/10

■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거래에 관한 협정         

-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은 양국 간 가스거래에 관한 협정을 여러 차례 체결
 ㅇ 일례로 지난 2006년 중국 당국과 투르크메니스탄 당국은 가스협정을 체결
 ㅇ 이 협정에 따라 중국은 2009년부터 30년 동안 매년 30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투르크메니스탄으로부터 수입하기로 약속
 ㅇ 2008년에 중국 당국과 투르크메니스탄 당국은 또 다른 가스협정을 체결
 ㅇ 이 협정에 따라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으로부터 추가로 매년 10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수입하기로 약속
 ㅇ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거래 협정은 여기서 그치지 않음.
 ㅇ 지난 2011년 11월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 정상은 양국 간의 가스거래를 추가로 매년 250억 입방미터 늘리기로 한 양해각서에 서명 
 ㅇ 이로써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총 가스거래량은 매년 650억 입방미터에 달할 예정


■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 수송로
     

-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으로부터 가스를 매입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양국을 잇는 가스관 건설을 시작
 ㅇ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으로 명명된 이 파이프라인은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시작해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을 거쳐 중국으로 연결됨. 
 ㅇ 지난 2009년 이 가스관의 제1단계 공사가 완료됨으로써 양국 간의 가스거래가 시작
 ㅇ 하지만 이 가스관의 수송 능력은 제2단계 공사가 완료된다고 해도 매년 400억 입방미터로 머물 것으로 기대 
- 따라서 중국이 투르크메니스탄으로부터 매년 65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수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조치 중 하나가 필요  
 ㅇ 현재 제2단계 건설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의 가스 수송 능력을 추가로 늘리는 조치
 ㅇ 투르크메니스탄과 중국을 잇는 또 다른 노선의 가스관을 건설하는 조치  


■ 중국이 제안한 또 다른 가스관 노선

-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은 자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을 잇는 또 다른 가스관 노선을 제안
 ㅇ 이 제안은 지난 6월 중국에서 개최된 상하이협력기구 (SCO) 정상회의에서 공개
 ㅇ 당시 중국 당국은 아프가니스탄의 하미디 카르자이 (Hamid Karzai) 대통령에게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중국을 잇는 가스관 건설을 제안
 ㅇ 중국 사절단은 이른 시일 안에 아프가니스탄을 방문해 위 가스관 건설에 관련한 양국 간의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
- 물론 현 시점에서 위 가스관 건설 계획이 실현될지의 여부는 불투명함. 
- 하지만 중국이 위 가스관 건설을 제안한 이유는 흥미로움. 
 ㅇ 현재 중국이 위 가스관 건설을 제안하게 된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바로 중국의 가스관 다변화 노력임. 
 ㅇ 다시 말해 중국은 매년 650억 입방미터에 달하는 가스의 공급이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을 통과하는 것에 대해 우려 
 ㅇ 이외에도 중국이 아프가니스탄 북부에서 가스를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 가스관 건설을 제안했다는 주장도 있음.  


■ 중국이 제안한 또 다른 가스관 노선의 함의
 

- 중국이 제안한 또 다른 가스관 노선은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음. 
 ㅇ 우선 이 가스관은 TAPI 가스관 건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ㅇ 실제로 중국의 가스관 건설 제안 소식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국가 중 하나는 TAPI 당사국인 파키스탄이었음.
 ㅇ 파키스탄 당국은 중국의 가스관 건설 제안이 알려지자 이란, 파키스탄 및 인도를 잇는 IPI (Iran-Pakistan-India) 가스관 건설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  
 ㅇ 중국 당국이 제안한 가스관은 중국과 러시아의 가스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ㅇ 중국은 오랫동안 러시아로부터 매년 680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수입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해 왔음. 
 ㅇ 하지만 이 협상은 양국 간의 가스 가격에 대한 이견으로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음.
 ㅇ 이러한 상황에서 투르크메니스탄과 중국을 연결하는 또 다른 가스관이 건설된다면 중국과 러시아의 가스거래 협상에서 후자의 협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음.  


※ 참고자료

- Vladimir Socor, “Beijing Proposes Turkmenistan-China Gas Pipeline through Northern Afghanistan,” Eurasia Daily Monitor (June 19, 2012).
- _______________, “Ex-Northern Alliance Leaders Challenge Kabul over Chinese Project,” Eurasia Daily Monitor (June 22, 2012).
- _______________, “New Chinese Pipeline Proposal: Implications in Central Asia, Afghanistan and Beyond,” Eurasia Daily Monitor (June 19, 201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