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카자흐스탄의 제2차 산업다변화 프로그램 내용과 시사점

카자흐스탄 주진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2014/07/11

■ 카자흐스탄 정부는 6월, 제2차 산업다변화 프로그램인 ‘산업개발 프로그램 2015~2019’를 채택함.1)

- 이 프로그램은 제1차 산업다변화 5개년 프로그램인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 2010~2014’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기존 프로그램과 같이 산업다변화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선정함. 

- 이 프로그램은 제1차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향후 5년간 카자흐스탄의 산업다변화 및 제조업의 경쟁력을 촉진하기 위한 세부 목표와 목표의 달성여부를 가늠하기 위한 지표, 연도별 국가 예산 지원액, 우선순위의 지원 산업 분야(산업공정 및 제품에 대한 우선순위 포함), 지원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음.

제2차 산업다변화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에 비해 우선순위 산업을 좀더 상세히 구분하고 육성이 필요한 산업공정과 제품을 명시하여 보다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총 6조 6천억 텡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 중 약 90%를 민간투자를 통해 충당하려 하고 있음.2)

표 1. 산업개발 프로그램 2015~2019’의 주요 목표 지표

주요 목표 지표

2019 목표치(2012년 대비)

2012년 현황

GDP 대비 제조업 비중

2012년 비중의 1.5배 이상

3조 4천억 텡게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2012년 기준치의 1.3배

61,800 USD/인

전체 수출액 대비 비원료산업의 수출 비중*

2012년 비중의 1.1배 이상

214억 USD

제조업 고용인수

2만 9천 3백명 증가

35만 9천 8백명

제조업의 에너지원단위

(TOE/1천 USD, 2000년 기준가격)

최소 15% 감축

1.53

주: 1. 비원료상품은 원료 자체가 아닌 가공된 상품을 말함.
2. GDP 대비 제조업 비중과 전체 수출액 대비 비원료산업의 수출 비중에 대한 2019년 목표치는 2012년의 비중을 각각 100%라고 했을 때의 증가율임. 예를 들어, 2012년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을 100%라 했을 때 2019년 목표치는 2012년 비중의 1.5배 즉 2012년 비중 대비 150% 증가를 의미함.
자료: 카자흐스탄 산업신기술부, ‘산업개발 프로그램 2015~2019’ 초안

■ 카자흐스탄은 2010년부터 산업다변화 및 제조업 육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산업육성 프로그램인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 2010~2014’를 마련하여 이를 시행해 왔으나 2012년 현재 산업다변화보다는 산업경쟁력 향상에 효과를 보이고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촉발된 경제위기를 통해 자원 의존적인 경제구조의 변화 필요성을 절감하고 적극적인 산업다변화 정책 추진과 수출주도형 산업 육성을 위해 이 프로그램을 마련함. 

기존의 산업육성 전략인 ‘산업혁신 전략 2003~2015’도 경제다각화와 수출제조업 육성을 목표로 설정한 바 있으나 이 프로그램은 여기에 우선순위 육성산업 목록과 이를 위한 상세한 지원내용, 수출산업으로의 육성정책을 포함함.

- 카자흐스탄 정부 자료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2012년까지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 2010~2014’에서 상정한 산업다변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으나 산업경쟁력은 제고된 것으로 평가됨. 

ㅇ 산업다변화 지표인 제조업의 GDP 비중이나 비원료제품의 수출비중 확대 등은 프로그램 상의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제고, 에너지원단위 감축 등은 이미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음.

표 2.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 2010~2014’의 주요 목표 지표 및 2012년 현황

주요 목표 지표

2015년 목표치

(2008년 대비)

2012년 현황

(2008년 대비)

GDP 대비 제조업 비중

12.5% 이상 확대

12%

전체 수출액 대비 비원료산업의 수출 비중

40% 이상 확대

23%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1.5배 이상 향상

1.65배 향상

총 운영기업 중 혁신기업의 비중

최대 10%까지 확대

7.6%

에너지원단위

10% 이상 감축

13.6% 감축

자료: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 2010~2014’, ‘산업개발 프로그램 2015~2019’ 초안 

카자흐스탄 정부는 제2차 산업다변화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향후 해외투자자 유치와 합작기업 설립을 통한 기술 혁신에 집중할 것으로 보여 투자 여건은 더 좋아질 전망임.

- 제1차 산업다변화 프로그램이 산업다변화보다는 산업경쟁력 제고에 효과적이었던 것을 감안할 때 제2차 산업다변화 프로그램은 수출제조업 육성을 통한 산업다변화가 적극 추진되어야 하는 상황임. 

- 또한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총 재원의 90%를 민간투자에 의존할 계획이고 중위권 국가로써 노동집약적 제조업보다 기술집약적 제조업 육성을 통한 산업다변화가 수출산업 육성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카자흐스탄 정부는 외국인투자자 유치와 합작기업 설립을 통한 기술 혁신에 주력할 것으로 보여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여건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판단됨. 

실제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비자원부문의 외국인투자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6월 13일, 투자유치 종합법안을 발효하였으며 여기에는 투자자에 대한 면세혜택과 투자장려금 지급, 노동허가조건 완화, 비자면제 등이 포함됨. 또한 민영화 대상인 106개 국영기업 중 94개 기업을 2014~16년 중 민영화할 예정임.

 

1) 카자흐스탄 정부는 지난 5월에 정부안을 확정하고 대통령의 재가를 위해 대통령실에 제출함. 이 프로그램은 6월에 대통령 승인을 얻은 것으로 보도되었으나 아직 정부 홈페이지 등에는 탑재되지 않아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임. 이 동향 내용은 카자흐스탄 외국인투자자 위원회(Foreign Investors' Council, 대통령이 의장)의 홈페이지에 탑재된 프로그램 초안을 분석한 것임.

2) 6조 6천억 텡게는 미화 약 367억 달러(1달러=180텡게 기준)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