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예멘 내전의 현황과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아프리카ㆍ 중동 기타 Gamal Gasim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부교수 2016/06/21

지난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예멘의 시아파 반군을 공습하면서 예멘의 내전에 개입했다. 예멘 내전은 표면적으로는 쿠데타를 일으킨 반군과 국제적 인정을 받는 정부군의 전투로 보여진다. 그러나 사우디와 이란의 대리전이라는 정치적 의미가 부여되면서 1년이 지났지만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위와 관련하여, Middle East Studies,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의 Gamal Gasim 부교수에게 예멘 내전의 현황과 전망에 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Q1. 예멘 내전이 발생하게 된 배경과 현황은 무엇인가?


▲ 예멘은 지난 1990년 5월 22일 남북이 통일된 이후 정치적 불안과 갈등을 겪어왔다. 1993년에 있었던 첫 자유 총선(free Parliamentary election) 직후, 1994년에 살레(Saleh) 정권과 예멘 사회당 사이에 내란이 발생했다. 내란은 약 2개월 이후 끝이 났지만, 내란의 여파는 예멘의 정치와 경제에 향후 20년 동안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1990년대 초, 북부 예멘에 후티(Houthis)라고 불리우는 소규모 조직이 등장했고, 이 조직은 10년 이후 무장단체로 성장했다. 살레 정권은 2004년부터 2011년 사이에 후티와 다섯 차례의 내전을 벌였다. 하지만, 살레 대통령이 2012년 걸프 이니셔티브(Gulf Initiative)의 결정에 의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그는 이슬람당, 이슬라(Islah)과 같이 예멘인들의 폭동을 담당하는 정치 세력들을 공공의 적(common enemy)으로 내세워 과거에 적이었던 후티와 위험한 동맹을 맺었다. 후티와 살레 전 대통령의 동맹은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Abdu Rabbu Mansour Hadi) 대통령 정부의 기반을 약화시켰다. 후티-살레 동맹은 후티가 2014년 9월 21일 예멘의 수도인 사나(Sana’a)에 진입하게 될 때까지, 예멘의 도시를 하나하나 함께 장악해갔다. 하디(Hadi) 대통령은 아덴으로 피신했다가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로 가기 이전에 후티-살레에 잡혀 자택 감금을 당하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새 국왕 살만 빈 압둘(Salman ben Saud)은, 살레 전 대통령과 후티의 동맹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직접적인 위협을 줄 수 있다고 여겼다. 살만 국왕은 하디 대통령이 지원을 요청해 오자,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후티-살레 군을 공습하도록 지시했고 일부 아랍군의 합류에 힘입어, 아덴과 그 외에 지역에서 후티를 쫓아냈다. 그러나 수도인 사나를 포함한 예멘의 북부지역은 아직도 후티의 통제 하에 있다.


Q2. 예멘에서 내전이 장기화 된 이유는 무엇인가?


▲ 현재의 전쟁이 1년 이상 지속된 데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첫째, 전쟁에서 연합군을 이끌었던 사우디아라비아의 군사작전이 실패했다. 사우디 연합군은, 수도 사나와 같은 주요 거점을 장악할 수 있도록 지상군을 적절하게 투입해야 했으나, 공군에만 과도하게 의존하였다. 둘째, 친(親)하디 대통령의 예멘군 재편성 과정이 극히 느렸으며 수적으로도 부족했다. 살레 전 대통령은 대통령 시절 당시 자신을 충성스럽게 보좌하던 특수부대원들이, 그의 해임 이후에도 그의 아들인 아마드 알리 살레의 휘하에서 수년간 활동해왔으며, 이 병력에 대한 실권은 여전히 자신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예멘 대통령의 재임 기간을 “Dancing over the heads of snakes”로 표현하기도 했던 알리 살레는, 예멘에서 어떤 세력이 실권을 쥐고 있는지 극히 잘 이해하고 있었고, 지난 30년간 자신에게 충성하는 세력들과의 두터운 관계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하디 대통령은 이러한 기술이 부족했다. 그는 본인을 지지하는 세력과의 관계구축을 위해 어떠한 정치적 자본도 투자하지 않았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개입하지 않았다면 하디 대통령은 살해당했거나 추방되었을 것이다.


Q3. 내전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어느 정도이며, 피해 상황은 어떠한가?


▲ 내전이 발생하기 이전부터 예멘은 매우 빈곤한 아랍국가 중 하나였다. 비록 내전이 종결되지 않아 정확한 피해규모를 집계하기는 어렵지만, 내전으로 인한 피해의 규모는 상당할 것으로 파악된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예멘의 인도주의적 위기로 인해 이미 34,000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사망자 5,955명, 부상자 28,111명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발표했다. 내전에 따른 경제적인 영향 역시 상당히 부정적인 상황이다. 더불어, 사우디 연합이 예멘을 대상으로 경제적 제재를 가하여, 예멘 현지 중소기업들의 폐업 및 통화 가치 하락 등 (미국 $1=250 YR, 암시장에서는 290 YR)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황들은 예멘의 내부경제 악화를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중소기업들의 폐업 등으로 인하여 예멘의 실업률은 내전 발생 이전보다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회복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예멘이 이번 사건을 통해 입은 피해 중에서도 막대한 노력으로 가장 먼저 회복되어야 할 부분은, 너무 훼손되어버려 그 피해 규모조차 파악할 수 없게 되어버린 예멘의 사회적 기본 구조이다.


Q4. 예멘 내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입장은 어떠한가?


▲ 국제사회는 남아있는 아랍의 봄 국가들이 모범으로 삼기를 바라면서, 걸프 이니셔티브(Gulf Initiatives)으로 알려진 걸프 국가들의 중개로, “2012 세력 전이 협력(power transition agreement)”을 열었다. 후티가 2014년 9월 21일 예멘의 수도 사나를 장악하기 전에 걸프 이니셔티브에 가입했던 예멘 전쟁 참전국들이 모두 국제회담에 참가하였다. 미국은 예멘이 아라비아 반도에 있는 알-카에다(AQAP: Al-Qaeda in the Arabian Peninsula)의 지배권에 포함되지 않기를 바랐다. 그러나 알카에다의 아라비아반도 지부는 2011년 예멘에서 일어난 폭동과정에서 발생한 정치적 혼란을 틈타 남부 예멘의 정치에 개입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은, 이번 예멘에서 일어나는 전쟁이 평화적 해결방법 없이 계속 지연되기만 한다면, 알-카에다 척결을 위한 아라비아반도 지부와의 싸움에 대한 그들의 노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러시아 측은 (정확하지 않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있는 하디 대통령을 지원하고 있다. 예멘의 수도인 사나에 있는 러시아 대사관은 아직도 운영 중이며, 러시아 외교관들은 후티-살레 동맹의 간부들과 가까이 지내고 있다. 수단, 아랍에미리트 등의 아랍국가들은 사우디 연합에 가입하고 있다.


Q5. 예멘의 내전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패권 경쟁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 필자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실제로 많은 사람이 예멘 전쟁은 지역적 강국인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사이에 발생한 패권 다툼이라고 생각한다. 2003년 미국이 이라크에 침투한 이후, 이란은 사담 후세인 이후의 중동에서 지역 강국이 되려고 노력해왔다. 이란은 시아(Shi’a)파라고 일컬어지는 소수집단을 통해 지역을 지배하였다. 이란의 이러한 노력은 성공적이었고, 현재까지 레바논, 이라크, 시리아와 같은 국가들을 장악하고 있다. 예멘에서 활동하는 다수의 후티의 간부들은 주로 이란에서 종교적인 교육을 받았다. 후티-살레 동맹 덕분에 이란 정부는 (전례 없이) 홍해(Red Sea)와 바브엘만데브(Bab Al-Mandeb) 해협 사이를 드나들 수 있게 되어 후티-살레를 두둔하려 한다. 하지만, 사우디 정부는 예멘을 항상 자신들의 속국이라고 여기고 있으며, 예멘이 전략적인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수니(Sunni)파의 입지가 강한 사우디 정부와 시아(Shi’a)파의 대표로 간주 되는 이란 정부의 이념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번 예멘전쟁에서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개입은, 전쟁을 통해 새롭게 정립될 예멘의 정계에 새롭고 흥미로운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현재 예멘 내전은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전쟁의 대리전쟁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사우디 연합이 예멘에서 얻은 군사적인 승리는 이란의 시아(Shi’a)이념 선전의 패배로 간주되기도 한다.


Q6. 앞으로 예멘의 내전과 관련한 평화회담은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는가?


▲ 예멘은 군사적인 충돌 발생 시 평화적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해결해 온 오랜 역사가 있지만, 이번 전쟁에서 평화협상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최종 평화협상의 핵심은 ‘후티와 같은 군사단체를 해산하고 국가 내에 현대적이고 전문적인 정식군사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될 것이다. 후티, 히락(Hirak)운동단체, 이슬람당, 국민 전체 회의, 예멘사회당처럼 서로를 끊임없이 신뢰하지 못하는 예멘 내부의 정치세력들보다는, 차라리 막강한 힘을 가진 타국이 개입하여 평화협정을 중개하는 것이 예멘에 가장 필요한 것이 아닐지 생각한다. 막강한 강대국의 긍정적인 역할이 올바르게 수행된다면, 대립 중인 각국의 군사해산과 같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예멘의 도시인 타이즈의 포위 작전이 종식될 수 있으며, 예멘 수도인 사나에 정당한 정부가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정치인 포로들이 해방되고, 예멘이 처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해소하는 등의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UN이 예멘에서 이러한 역할을 해 내고자 책임감을 가지고 열심히 활동하고 있지만, 노력에 대한 실제 성과는 기대에 비해 저조하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