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2019년 10월 아프리카 한눈에 보기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 - 2019/11/01

□ 나이지리아, 2020년 예산안 발표

 

나이지리아 정부가 2020년 새해 예산안을 발표했다. 해당 예산안에 따르면, 도로 및 철도 사업 등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채무 상환에 가장 많은 양의 자금이 투입되었고, 국내 석유 자급과 인적자원 개발을 위해 에너지 및 대학 교육 개선에도 상당 부분의 예산이 할당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또한 세입 목표를 상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일각에서는 실제 예산 집행과 세입 목표 사이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인재 양성 중심의 교육 인프라 개선 투자, 인프라 및 채무 상환에 예산 할당 최대
지난 10월 8일 무함마두 부하리(Muhammadu Buhari)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최대 규모의 2020년 새해 예산안을 발표했다. 해당 예산안은 10조 3,300억 나이라(한화 약 33조 8,816억 원) 규모로, 국내 경제 환경 개선, 경제 구조 다변화 그리고 경쟁력 강화를 통한 경기 회복을 목표로 편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본 예산안을 통해 원유 수출 의존에서 탈피해 비석유 부문 성장을 통한 세입 증대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본 예산안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정부는 인적 자원 개발과 고용 창출 기여도가 높은 교육 기관의 수준 향상을 목표로 대학 교육 인프라 개선을 위해 제3차 교육 신탁기금(TETFUND)에 2,720억 나이라(한화 약 8,915억 원)의 예산을 할당했으며, 도로와 철도 사업을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건설 사업에 2조 4,600억 나이라(한화 약 8조 645억 원)를 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정부의 기존 채무 및 이자 상환에 2조 4,500억 나이라(한화 약 8조 318억 원)가 할당되었는데, 나이지리아 정부는 GDP 대비 1.52%에 달하는 2조 1,800억 나이라(약 7조 1,460억 원)의 예산 적자분을 공기업 국유화와 대내외 대출로 해결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에너지 부문 예산안 발표, 완전한 석유 자급 목표
나이지리아 정부는 또한 유류 보조금 지원을 위해 4,500억 나이라(한화 약 1조 4,752억 원)를 할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석유 자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지난 9월 나이지리아 국영 석유 회사(NNPC)는 석유 수입 감축을 위해 포트 하코트(Port Harcourt)와 와리(Warri)를 포함한 4곳의 정유 시설을 재가동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레 캬리(Mele Kyari) 나이지리아 국영 석유 회사 사장은 포트 하코트 석유화학회사(PHRC)를 방문한 자리에서 2020년 1월에 정유소 보수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하며, 2022년까지 해당 정유 시설들이 완전 가동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정부는 석유 부문뿐만 아니라 NNPC가 시행할 석유 가스 부문 개발 사업을 위해 1조 2,200억 나이라(한화 약 3조 9,995억 원)의 예산을 배정하고, 전력 개발 사업에도 610억 나이라(한화 약 1조 9,997억 원)를 할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입 목표 상향 조정, 실제 예산 집행 시 격차 발생 가능
한편, 나이지리아 정부는 예산안을 발표하며 부가가치세를 현행 5%에서 7.5%로 인상했으며, 전략적 세입 증대 계획(SRGI)에 따라 GDP 대비 정부 세입 목표를 15%대로 설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나이지리아 정부가 제시한 세입 목표와 예산 집행이 실제와는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 남아공 공식 방문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국은 무역,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30여 건의 협약을 체결했으며, 1년에 두 번 영사급 포럼 재개를 약속했다. 남아공 대통령은 또한 나이지리아 교민을 포함한 외국인 운영 상점 약탈, 폭행 사건 등 이민자를 겨냥한 범죄 재발 방지 노력을 약속했다. 일각에서는 갈등 관계 개선을 위한 양국 정상의 외교적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역내 최대 국가들의 협력 강화를 통해 향후 국제사회에 대한 아프리카의 의존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을 제기했다.

 

나이지리아-남아공 대통령 정상회담, 양국 관계 강화 약속
지난 10월 2일 무함마두 부하리(Muhammadu Buhari)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을 공식 방문했다. 부하리 대통령은 시릴 라마포사(Cyril Ramaphosa) 남아공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으며, 무역, 산업, 과학, 국방, 농업,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두 32건의 협정을 체결하고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서아프리카 국가 전체 교역량 가운데 나이지리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64%이며, 아프리카 전체로 볼 때도 나이지리아가 남아공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라고 전하며 나이지리아와의 무역 관계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아공 역시 나이지리아의 주요 경제 교역국 중 하나로, 남아공 매체인 인디펜던스 온라인(Independence Online)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의 아프리카 역내 수출액 가운데 남아공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46%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아공, 외국인 대상 폭력범죄 재발 방지 노력 약속
이번 방문은 남아공 내에서 반외국인 정서 및 외국인 대상 폭력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진행된 것으로,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에게 이민자를 겨냥한 폭력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기 경보 체계” 구축을 약속했다. 지난 9월 초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와 프리토리아(Pretoria) 등 남아공 대도시를 중심으로 외국인이 운영하는 상점을 약탈하고, 이민자를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해 최소 12명이 사망한 바 있다. 부하리 대통령은 나이지리아 교포 사회와의 간담회도 진행했으나, 남아공 현지 매체인 시티 프레스(City Press)에 따르면, 부하리 대통령이 남아공 정부에 피해를 입은 나이지리아 교민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나이지리아 교민 사회의 분노를 야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 정상의 외교적 갈등 해결 노력 긍정적 평가, 정치인 반외국인 정서 조장 발언 삼가야...
안보 위기관리 싱크탱크인 시그널 리스크(Signal Risk) 소속 라이언 커밍스(Ryan Cummings) 연구원은 양국 정상이 회담을 통해 외교적으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아프리카의 두 최대 국가가 협력을 통해 역내 교역을 강화하고 향후 국제 사회에 대한 아프리카의 의존도를 낮추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남아공 내 외국인 혐오증과 범죄 감소를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치인들의 개인적 노력 역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들은 일부 정치인들이 반외국인 정서를 조장하는 언행을 삼가고 피해 외국인들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상 노력이 뒤따라야 현재 갈등 상황이 완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에티오피아 반정부 시위 발생, 유혈 충돌 격화

 

같은 오르모족 출신 아비 총리 VS 자와르 모하메드 갈등, 국제사회 아비 총리 침묵 비판
지난 10월 25일 외신들에 따르면, 아비 아머드 알리(Abiyyii Ahimad Alii) 에티오피아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발생해 67명이 사망하고 2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신들은 시위 격화로 인한 유혈 충돌로 사망자가 급증했다고 보도했는데, 이는 아비 총리의 정적인 언론 활동가 자와르 모하메드(Jawar Mohammed)가 경찰이 아디스아바바에 위치한 자택을 포위하고 있다고 주장한 이후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측은 외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오로미아 주 폭력 시위는 끝난 상태라고 밝혔으나,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관계자는 여전히 공격, 폭행 등 폭력 사태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반정부 시위는 에티오피아 최대 민족인 오르모족 출신인 알리 총리와 자와르 모하메드 그리고 그들의 지지자들 간의 갈등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자와르 모하메드는 알리 총리가 국민들, 심지어 측근들까지도 이견을 보일 경우 위협 행동을 보이는 등 독재자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하며 2020년 대선 출마가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시위 격화로 사상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아비 총리가 현 사태에 침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짐바브웨, 전기세 320% 인상 발표

 

짐바브웨 정부가 국내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해 전기 요금을 대폭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짐바브웨 에너지 관리국에 따르면, 인상된 전기세 수입은 발전 시설 보수 및 전력 수입 대금 결제에 사용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짐바브웨 국영 송전배급사가 11월부터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전기세 징수를 결정해 소비자 실질 부담금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 한편, 짐바브웨의 주요 전력 수입처인 남아공이 전력 부하 차단을 결정해 향후 국내 전력 공급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 공급 안정화 위해 전기 요금 대폭 인상
지난 10월 9일 짐바브웨 정부가 전력 생산 증대 및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전기 요금을 320%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짐바브웨 에너지 관리국(ZERA)은 국영 송전배급사(ZETDC)의 전기 요금 인상 계획안을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에 따라 전기 요금은 현행 킬로와트당 38.61센트에서 162.16센트로 인상될 예정이다. 짐바브웨 에너지 관리국은 국내 물가가 2019년 8월 기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추산 300%나 증가하면서 전기세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전기세 수입, 발전 시설 보수 및 대금 결제 충당 사용
짐바브웨 에너지 관리국은 전기 요금 인상을 통해 거둬들인 수입으로 발전 시설을 보수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짐바브웨는 흐왕게(Hwange) 화력 발전소의 시설 노후로 전력 생산에 큰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따른 잦은 정전으로 광산과 산업체가 피해를 겪고 있으며, 수도 하라레(Harere) 에서는 하루 18시간 이상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등 전력난이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당국은 또한 전기세 수입을 통해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국영 전력 회사인 에스콤(Eskom)과 모잠비크 정부 측에 매월 지급해야 할 1,950만 달러의 전기 수입 대금을 결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실질 소비자 부담 가중 전망, 남아공 전력 부하 차단으로 국내 전력 수입 차질 예상
일각에서는 물가 상승과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 만회를 위해 국영 송전배급사가 11월부터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전기세 징수를 결정함에 따라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실질 전기 요금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짐바브웨에서는 지난 3개월 사이에 전기 요금이 두 차례 인상되었으며, 연료와 기초 생필품 가격이 폭등하면서 주민들이 큰 생활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에스콤이 국내 전력 공급 안정을 위해 2,000메가와트의 부하 차단에 나선다고 발표해 짐바브웨로의 송전량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짐바브웨는 에스콤으로부터 400메가와트의 전력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으로, 짐바브웨 국영전력회사는 전력 수입이 정상화될 때까지 전력 제한 공급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해, 에어컨과 온수 장치 등 전력 소모량이 많은 전자 제품 사용을 줄일 것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 IMF, 이집트 GDP 성장률 5.9%로 상승 전망

 

정부 긴축정책 영향, 빈곤 문제 심화 등 부작용 나타나기도…
지난 10월 16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이집트의 2019/2020 회계연도 GDP 성장률이 5.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지난 2018/2019 회계연도에 이집트의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가 3.1%로 증가했지만, 이번 2019/2020 회계연도에는 2.8%로 낮아져 경상수지 적자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IMF는 이집트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역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며 해당 물가 상승률을 종전의 12.3%에서 10%로 하향 조정했다.

 

IMF는 이집트가 2016년 120억 달러 규모의 구제 금융안 합의 후, 강도 높은 경제 개혁을 단행한 것으로 평가했는데, 이집트 정부는 파운드(pound)화 50% 평가절하, 재정 적자 감소를 위한  에너지 보조금 삭감 및 14%의 부가가치세(VAT) 도입 등의 경제 정책을 단행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긴축 정책 여파로 2017/2018 회계연도 기준 국민의 약 1/3이 정부가 정한 빈곤선인 연 소득 8,827파운드(한화 약 63만 8,200원) 이하로 생계를 유지하는 등 빈곤 문제가 심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IMF는 11월 이집트와의 구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이 종료됨에 따라 다음 금융 지원안을 논의하며 이집트 공기업 민영화를 통한 경제 구조 조정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하드 아주르(Jihad Azour) IMF 중동·중앙아시아 지국장은 이집트 정부가 공기업 민영화를 추진해 민간 부문의 국내 시장비중을 높이고 친기업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구조 조정을 다음 개혁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