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2019년 12월 아프리카 한눈에 보기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 - 2019/12/31

□ 나이지리아, 2030년 세계 빈곤층 1/4 집중 위험
세계은행이 나이지리아의 현재 경제성장 및 고용 추세가 이어질 경우  극심한 빈곤층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정부에 조속한 경기 부양 및 일자리 창출 정책을 촉구했다. 나이지리아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빈곤층에 속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난 2018년을 기점으로 나이지리아의 극빈 계층 인구 수가 인도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나이지리아의 경제 발전 저해의 주요 원인으로 공공사업 예산의 비효율적 운영과 인프라, 제조업 생산에 필요한 투입 요소 부족 등을 제기했다.

 

세계은행, “세계 빈곤 인구 25% 나이지리아 집중 위험” 정부에 개혁 촉구
지난 12월 2일 세계은행(World Bank)이 빈곤 인구 수 증가를 우려하며 나이지리아 정부에 조속한 경기 부양과 일자리 창출을 촉구했다. 세계은행은 나이지리아 정부가 경제성장을 위한 조치를 시급히 마련하지 않을 경우, 2030년 세계 빈곤 인구의 25%가 나이지리아에 집중될 것이며, 현재의 경제성장 및 고용 추세가 계속될 경우 극심한 빈곤을 겪게 될 국민 수가 약 3,000만 명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세계은행은 무함마두 부하리(Muhammadu Buhari)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세입 증대와 무역 제한 해제, 예측 가능한 경제 정책 도입 등의 개혁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으며, 정부가 과도한 국가 예산 지출을 초래하는 유류 보조금을 철폐하고, 시중 은행의 성장을 저해하는 중앙은행 대출을 감축할 것을 권고했다.

 

나이지리아는 인구의 절반인 약 1억 명이 빈곤한 상태에 놓여있으며, 지난 2018년을 기점으로 나이지리아의 극빈 계층 인구의 수는 인도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지리아, GDP 성장 지체, 실업률은 증가
나이지리아의 GDP 성장률은 인구 증가 속도보다 더딘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나이지리아의 연간 인구 증가율은 2.6%인 반면, 2020년과 2021년 나이지리아의 GDP 성장률은 각각 2.1%에 머물러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나이지리아는 지난 2016년 국제 원유 가격 폭락 이후 국가 GDP가 25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으며, 이후 현재까지도 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은행은 국제 유가가 현재 수준 대비 25% 하락한 배럴당 50달러로 하락하면 나이지리아 경제는 다시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 “나이지리아 공공사업 예산 비효율적 운영 및 인프라 부족” 지적
데몰라 아리요(Ademola Ariyo) 이바단(Ibadan)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나이지리아 국내에서 시행된 후 중단된 크고 작은 공공사업만 40만 개 이상이며 사업 예상 비용이 투명하게 책정되지 않아 국가 예산이 경제 개발을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나이지리아는 전력과 도로 등 기본적인 인프라와 제조업 생산에 필요한 투입 요소가 부족한 상황으로, 이에 따라 일자리 창출 역시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 UN 안보리, 대(對)리비아 무기 금수 조처 이행 촉구
UN 안보리가 리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제사회에 강력한 이행 촉구를 요구했다. UN 안보리는 아랍에미리트를 비롯한 일부 국가들이 리비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있다고 전했으며, 7월 발생한 난민 수용소 폭격에도 외국에서 들여온 무기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리비아는 가다피 전 대통령 축출 이후 국민협의정부와 반군 칼리파 하프타르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으로, 리비아 내전이 격화됨에 따라 최근 인근 이해 당사 국가들간의 리비아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UN 안보리, “리비아 내전 격화, 해외 무기 사용 가능성 높아”
지난 12월 1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UN 안보리)가 대(對) 리비아 무기 금수 조처가 공공연하게 위반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국제사회에 확실한 금수 조처 이행을 촉구했다. 유엔 안보리 측은 지난 4월부터 최소 45차례 요르단, 아랍에미리트, 터키를 비롯한 해외 국가들이 국제사회의 대(對)리비아 무기 금수 결의를 위반해왔다고 지적했으며, 또한 지난 7월 2일 54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타주라(Tajoura) 난민 수용소 폭격에도 외국에서 들여온 무기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리비아는 지난 2011년 무암마르 가다피(Muammar Gaddafi) 전 대통령이 축출된 이후, 수도 트리폴리(Tripoli)를 차지하고 있는 유엔이 인정한 합법 정부인 국민협의정부(GNA)와 동부 지방 군벌인 칼리파 하프타르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으로, 인접국인 수단의 민병대와 차드(Chad)의 군벌이 리비아 정부군과 칼리파 하프타르 측에 지상군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UN 안보리는 반군인 칼리파 하프타르(Khalifa Haftar) 진영이 사용한 판치르(Pantsir) S-1 지대공 미사일은 아랍에미리트가 유일하게 사용하는 무기 체계라고 지적했으나,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자국이 유엔 안보리의 모든 결의를 준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터키와 카타르는 GNA 정부를 지원하는 반면, 두 국가와 대립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요르단, 그리고 이집트 등은 칼리파 하프타르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리비아 내전 격화, 주변 국가들 해결 방안 모색
국제사회에 대한 UN 안보리의 대(對) 리비아 무기 제재가 강력히 촉구되는 가운데, 리비아 내전은 계속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부터 칼리파 하프타르가 트리폴리 공략을 위해 GNA 정부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으나 트리폴리 외곽에서 전선이 교착된 가운데, 전투로 인해 1,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14만 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 내전이 격화됨에 따라 이탈리아 외교부 장관이 리비아 정부 수반과 반군 지도자를 잇달아 만나는 등 주변 이해 당사국들도 내전 종식을 위한 합의점 마련을 위해 움직이고 있는 상황으로, 지난 12월 17일 루이기 디 마이오(Luigi Di Maio) 이탈리아 외무부 장관은 트리폴리를 방문해 이탈리아 정부가 유엔이 인정한 국민협의정부(GNA)를 지지한다고 거듭 밝혔다. 또한, 같은 날 루이기 디 마이오 이탈리아 외무부 장관은 리비아 동부에 있는 벵가지(Benghazi)로 건너가 반군 사령관인 칼리파 하프타르를 만났으나, 자세한 대화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탈리아 외에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Recep Tayyip Erdoğan) 터키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를 통해 리비아 문제를 풀기 위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 에티오피아, IMF와 29억 달러 금융 패키지 예비협정 체결
세계은행 역시 에티오피아 개혁 지원 위한 30억 달러 차관 제공 예정
국제통화기금(IMF)이 에티오피아와 29억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에 대한 예비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에티오피아 경제개혁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본 협정에 따르면 향후 IMF 집행위원회의 승인 이후 확대신용금융(ECF: Extended Credit Facility)과 확대신용공여(EFF: Extended Fund Facility)하에 IMF의 지원이 제공될 예정이다.

 

에티오피아의 경제개혁 프로그램은 외화부족, 환율제 유연화 그리고 부채 문제 완화를 위한 국영기업 감시 및 관리 강화 등을 중심으로 구성될 예정으로,  IMF는 에티오피아의 빈곤 감축과 필수 인프라 지출을 위한 국내 수입 확보, 민간 투자 지원을 위한 금융 부문 개혁, 통화정책 현대화, 감독체제 및 금융 안전망 강화 등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IMF뿐만 아니라 세계은행(World Bank) 역시 에티오피아 경제개혁을 위해 약 30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아비 아흐메드 알리(Abiy Ahmed Ali) 에티오피아 총리는 세계은행과의 차관 조건에 대한 세부사항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자신의 트위터(Twitter) 계정을 통해 IMF와 세계은행 외에 익명의 개발 파트너들이 30억 달러 이상의 지원을 약속했다고 전했으며, 해당 금액은 거시경제적, 구조적, 부문적 개혁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알제리 대선, 압델마지드 테부네 전 총리 당선
알제리 대통령1차 선거에서 압델마지드 테부네 전 총리가 과반 이상 득표로 결선 없이 대통령직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알제리 국민들은 지난 4월 사임한 부테플리카 전 대통령의 측근임을 비판하며 반대 시위를 벌였다. 이에 압델마지드 테부네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식에서 헌법 개정과 대국민 담화를 약속했으나, 사실상 시위대의 구체제 인사 축출 요구는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압델마지드 테부네 전 총리 과반 득표로 대통령 당선
지난 12월 12일-13일 실시된 알제리 대통령 1차 선거에서 압델마지드 테부네(Abdeladjid Tebboune) 전 총리가 총 유효 투표수의 58%를 확보해 결선 없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알제리 선거관리위원회(Anie)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는 900만 명만 참여하는 데 그쳐 투표율이 40%로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나, 알제리 현지 정치 평론가인 아흐메드 미자브(Ahmed Mizab)는 “투표율이 만족스럽게 나왔고, 신임 대통령이 개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힘을 받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알제리 국민들, “선거 정당성 없다” 대선 결과 반대 시위 발생
그러나, 알제리 국민 수 천명은 압델마지드 테부네 전 총리의 대통령 당선 결과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선거 기간 동안 알제리 국민들은 압델마지드 테부네 대통령 당선인을 포함한 다른 후보 4명이 지난 4월 오랜 독재정권 이후 사임한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Abdelaziz Bouteflika) 전 대통령의 측근 인사라고 비판하며 전면적 정권 교체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여왔다. 투표일인 12월 12일에는 알제 동부 지역의 카빌리에(Kabylie)에서 선거의 합법성을 부정하는 시위대가 투표소를 급습하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델마지드 테부네 대통령 당선인, 대국민 담화 제안
지난 12월 19일 압델마지드 테부네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식에서 시위대에 대화를 제안하고, 대통령 임기를 2회로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 새 헌법 입안 작업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부테플리카 전 대통령 하야 이후 실세로 군림해 온 아흐메드 가이드 살라(Ahmed Gaid Salah) 알제리 국군 사령관에게 선거 승리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고, 메달을 수여하는 등 시위대의 구체제 인사 축출 요구를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은 알제리 정부가 시위대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설 것을 권고하며 알제리 국민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