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2020년 1월 아프리카 한눈에보기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 - 2020/02/06

1. 2020년 1월 아프리카 권역 주요 키워드

 

 

2. 2020년 1월 아프리카 권역 주요 뉴스

 

 

3. 2020년 1월 아프리카 권역 주요 이슈 정리

 

□ 이집트, 나일강 댐 운영 합의 지연 및 관광객 증가 전망

 

이집트, 수단·에티오피아와 나일강 댐 운영 합의 지연
이집트·수단·에티오피아 간 나일강 댐 운영 방안에 대한 최종 합의가 결국 2월로 연기되었다. 지난 11월부터 에티오피아가 나일강 상류 지역에 건설 중인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ERD)의 운영 방안을 합의하기 위해 논의해온 3개국은 1월 16일에 잠정 합의에 도달했으나, 1월 28일부터 29일까지 워싱턴에서 진행된 회담에서 몇몇 세부 사항에 의견 차이가 해결되지 못하면서 결국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회담을 중재해온 미국과 세계은행은 1월 31일 댐의 안전보장과 당사국간 갈등 해결 방식에 대한 3국간 논의가 계속 진행될 것이며 2월 말에 최종 합의를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난 2011년 에티오피아가 자국의 전력 문제 해결을 위해 40억 달러(한화 약 4조 7,384억 원)를 투자하여 나일강 상류 청나일강에 발전용량 6천 MW급의 GERD를 건설하기 시작하면서 이집트와 에티오피아 사이 갈등이 촉발되었다. 수자원 대부분을 나일강에 의존하는 이집트는 에티오피아가 건설하고 있는 GERD를 이집트 수자원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규정하고 무력 대응 가능성까지 시사한 바 있다.

 

세계관광기구(WTO), 2020년도 이집트 방문 관광객 증가 전망
세계관광기구(WTO)는 2020년도 이집트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1,500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9년도 이집트의 관광객 규모는 약 1,360만 명에 달했으며 이집트 관광산업 수익은 164억 달러(한화 약 19조 6,258억 원)을 기록했다.

 

이집트의 주요 수익원인 관광 산업은 2011년 혁명과 2013년 무함마드 무르시(Muhamamd Mursi) 전 대통령 축출 이후 정치적 혼란과 치안 불안으로 큰 타격을 입었으나, 그랜드 이집트 박물관 건설 및 직항편 확충과 같은 정부의 관광업 부흥 정책의 성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독일인 관광객은 2018년 70만 7천명에서 2019년 248만 명으로 늘어나 4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독일 외에도 우크라이나인 관광객 149만 명, 사우디인 관광객 140만 명이 이집트를 방문했다. 사이드 알 바투티(Saeed al-Batouti) WTO 자문은 스페인과 이탈리아 관광객 유치 및 종교 관광 확충을 향후 이집트 관광업 성장 방안으로 제시했다.

 

□ 리비아, 불투명한 내전 종식 가능성 속 석유 수출 차질

 

휴전 협정이 결렬되면서 불투명한 리비아 내전 종식 가능성
리비아 내전 종식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세계 주요국 정상과 UN 사무총장 및 EU, 아프리카 연합 등 주요 국제기구 대표단 그리고 파예즈 알사라즈(Fayez al-Sarraj) 리비아통합정부(GNA) 총리와 칼리파 하프타르(Khalifah Haftar) 리비아국민군(LNA) 총사령관이 참여한 회담이 1월 19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다. 주요국 정상들은 리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 준수, 리비아 내정 불간섭, 민병대와 무장단체에 대한 지원 중단에 합의했다.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리비아 내전 종식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1월 13일 러시아와 터키의 중재로 모스크바에서 내전 당사자인 알사라즈 총리와 하프타르 사령관이 참석한 휴전 협정은 하프타르의 거부로 불발되었으며, 19일 베를린 회담에서도 양측 사이의 직접 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리비아에 이해관계가 결부된 주요국이 무기 금수 조치와 민병대 및 무장단체 지원을 실제로 중단할지에 대한 의문 역시 남아있다.

 

휴전 압박에 반발하여 LNA가 유전 봉쇄하며 리비아의 석유 수출 차질
휴전 협상이 GNA에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1월 16일에는 터키가 GNA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을 결정하자 LNA는 유전 봉쇄로 대응했다. 1월 17일 하프타르를 지지하는 부대가 리비아 북동부의 주요 원유 수출항인 라스 라누프를 봉쇄했으며 1월 18일에는 엘샤라라, 엘필 등 주요 유전을 점령하고 유전과 원유 처리시설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차단했다. 리비아 국영석유회사인 NOC는 LNA의 봉쇄로 인해 리비아의 산유량이 하루 130만 배럴에서 7만 2,000배럴로 감소했으며 경제적 손실은 하루 7,700만 달러(한화 약 896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후 1월 25일에는 NOC는 1월 넷째 주 리비아의 산유량이 이전보다 75% 가량 감소해 30만 배럴에 그쳤으며 경제적 피해규모는 2억 5,600만 달러(한화 약 3,019억 5,200만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내전 종식 가능성이 여전히 불투명한 가운데 석유 수출까지 차질을 빚으면서 리비아가 입을 피해는 더욱 누적될 전망이다.

 

□ 알제리, 부패 척결과 경제난 해결 주력

 

정치 혼란 끝에 알제리 내각 구성 완료
대규모 반정부 시위 끝에 지난 2019년 4월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Abdelaziz Bouteflika) 알제리 전 대통령이 퇴임한 이후 정치적 혼란에 빠져 있던 알제리가 1월 2일 마침내 내각 구성을 완료했다. 2019년 12월 대선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된 압델마지드 테분(Abdelmadjid Tebboune) 대통령은 1월 2일 신임총리로 압델아지즈 제라드(Abdelaziz Djerad)를 임명했으며 2017년부터 2019년 3월까지 재무부장관을 지낸 압델라흐만 라우이아(Abderrahmane Raouia)을 재무부장관으로 다시 임명했다.

 

그러나 에너지부, 내무부, 외교부, 법무부 등 부테플리카 정권 시기 임명된 장관 대부분이 거의 교체되지 않고 유임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내각구성은 불완전한 개혁으로 평가된다. 부테플리카 퇴진 이후에도 구정권 인사들의 영향력 아래에서 치러지는 대선을 거부하는 시위가 이어지면서 대선이 두 차례 연기되는 등 알제리 국민은 부테플리카 정권에 대해 깊은 불신을 품고 있으며 따라서 대부분 구정권 인물로 구성된 테분 내각이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받기 위해서는 개혁이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테분 대통령, 부패 척결과 경제난 해결 모색
내각 구성을 마친 테분 대통령은 부패 척결과 경제난 해결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1월 21일 알제리 대법원은 아흐메드 우야히야(Ahmed Ouyahia) 전 총리, 유세프 유세피(Yousef Yousefi) 전 광산업부장관, 아마르 굴(Amar Ghoul) 전 공공사업부 장관을 부패 혐의로 재소환했다. 우야히야 전 총리와 유세피 전 장관은 이미 부테플리카 전 대통령의 비자금 조성과 정경유착 혐의로 각각 징역 15년형, 10년형을 선고받았다. 압델말리크 셀랄(Abdelmalek Selal) 전 총리 역시 부패혐의로 징역 12년을 선고받는 등 테분 정부는 적극적으로 부패한 구정권 인사를 처벌하고 있다.

 

테분 정부는 또한 경제난 해결을 위해 원유 산업에 대한 해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국영석유회사인 소나트라크(Sonatrach)의 사장을 교체하여 지난 10년간 정체된 천연자원 탐사를 재개하기로 했다. 그러나 재정적자의 압박으로 2020년도 예산에서 공공지출이 9% 삭감되면서 반발 시위가 발생하는 등 경제난 해결과 국민의 신뢰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남아공의 전력난과 국영항공기업의 위기 

 

국영전력회사 에스콤의 전력 생산량 부족으로 전력난에 처한 남아공
1월 4일부터 남아공 전체 전력의 95% 가량을 담당하는 남아공 국영전력회사 에스콤(Eskom)이 전력생산량 부족으로 여러 차례 송전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1월 8일 에스콤은 새벽 1시부터 오전 6시까지 일시적으로 단전한 데 이어 1월 30일 밤 9시부터 1월 31일 오전 6시까지 다시 전력공급을 중단했다. 2007년부터 대두되기 시작한 남아공의 전력난은 에스콤이 가동하는 화력발전소의 고질적인 시설 노후화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4,500억 달러(한화 약 521조 7,750억 원)의 부채를 지닌 에스콤은 시설 개선과 교체를 위한 투자에 손을 놓은 상황이다.

 

정부 정책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불신을 키우고 공장과 산업체 가동을 방해하는 전력난은 남아공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은행은 전력난을 이유로 2020년 남아공의 경제성장률이 0.9%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1월 13일 남아공의 주요산업인 광산업계는 광산업에 악영향을 주는 전력난 해결을 위한 전력 공급원 다각화를 정부에 촉구하기도 했다. 안드레 드 로이테르(Ander De Ruyter) 에스콤 사장은 전력생산 효율화를 위해 에스콤을 분할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일자리 상실을 우려하는 노조의 반발에 직면한 상황이다.

 

남아공 정부, 남아공항공에 긴급구제금융 지원
에스콤 외에 남아공의 또다른 국영기업인 남아공항공 역시 경영난에 처해있다. 2011년 마지막 흑자를 기록한 이후 계속 경영이 악화된 남아공항공은 결국 지난 2019년 11월 직원들의 임금을 지급하지 못할 상황에 이르러 12월 정부에 파산보호와 구제금융을 신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정부는 부도와 대량 실업을 막기 위해 1월 28일 남아공항공에 35억 란드(한화 약 2,829억 원)의 구제금융을 제공하며 총 지원액 중 20억 란드(한화 약 1,616억 원)을 즉시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남아공항공의 경영난은 남아공 국영기업 내에 만연한 방만한 경영과 부패가 가져온 결과로 분석된다. 남아공항공의 경영정상화 여부는 시릴 라마포사(Cyril Ramaphosa) 남아공 대통령이 추진하는 경제구조 개혁의 향후 성패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짐바브웨, 식량 위기 속 UAE에 지원 요청

 

UN 세계식량계획, 짐바브웨 식량 위기 경고
1월 9일 UN 세계식량계획(WEP)은 짐바브웨를 식량안보 위기국으로 지정했다. 심각한 가뭄에 직면한 짐바브웨는 2019년도 옥수수 수확이 전년에 비해 절반으로 줄고 다른 곡물류 작황도 수요에 미치지 못하면서 지난 10년 사이 최악의 식량난을 겪고 있다. WEP 현재 410만 명이 식량난에 직면한 상황이며 2020년에는 짐바브웨 국민의 절반 이상인 770만 명이 식량 원조를 받아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WEP는 국제사회의 원조를 촉구하며 원조가 없을 경우 2020년 2월에는 식량이 고갈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WEP가 추산한 필요 원조액은 2020년 전반기에만 2억 달러(한화 약 2,323억 원)이다.

 

짐바브웨는 식량난과 더불어 외환 보유액 고갈과 전력 부족,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다. IMF는 짐바브웨의 경제규모가 2019년에 비해 6%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세계은행 또한 경제성장률이 2.7%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1월 13일 음툴리 은쿠베(Mthuli Ncube) 짐바브웨 재무부장관은 비공식 경제분야의 산업기여도가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며 2020년도 경제성장률이 3%를 기록할 것으로 낙관했다. 은쿠베 장관은 또한 1억 3,300만 달러(한화 약 1,540억 원) 규모의 정부 보조금을 통해 식량위기를 해소하고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짐바브웨 정부는 경제난 해결을 위해 UAE의 투자 유치 노력
심각한 경제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 투자 유치에 나선 짐바브웨 정부는 특히 UAE의 투자와 지원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에머슨 음낭가과(Emmerson Mnangagwa) 짐바브웨 대통령은 짐바브웨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UAE 투자자들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또한 짐바브웨 정부는 연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부다비 국영석유기업(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을 통한 연료 공급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짐바브웨 정부는 국영석유기업인 NOIC의 지분 25%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낭가과 대통령은 UAE 외에도 투자 유치와 지원을 받기 위해 러시아 등 구소련 국가를 두 차례 방문하여 짐바브웨 백금 채굴 산업 방안을 논의하는 등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짐바브웨는 또한 1월 21일에는 중국과 통화 스와프 협정을 체결하여 일대일로 계획을 통해 아프리카로의 진출 확대를 추구하는 중국과도 관계 강화에 나섰다.

 

※ <월간정세변화>는 PDF 다운이 가능합니다(본문 하단부 참고).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